신문방송 모니터_
조국 딸 5757건 VS 심우정 딸 255건, 특혜의혹 보도 23배 차이났다
등록 2025.04.07 17:23
조회 275

한정애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3월 24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 현안질의에서 심우정 검찰총장 딸 특혜 채용 의혹을 제기했습니다. 심우정 총장 딸이 자격요건을 갖추지 못했음에도 2024년 국립외교원 기간제 연구원으로 8개월 근무한 데 이어 2025년 외교부 연구원에 최종 합격했다는 것입니다. 한정애 의원은 채용과정에서 외교부 채용공고가 바뀐 경위도 석연치 않으며 심 총장 딸의 인턴활동을 경력으로 인정한 것도 부적절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심우정 딸 특혜의혹, 해소는커녕 커지는 파문

한정애 의원의 의혹 제기에 외교부는 채용절차는 법령에 따라 투명하고 공정하게 진행되고 있다고 해명했습니다. 심우정 검찰총장 딸 특혜채용 의혹이 제기된 것은 2024년 9월 심 총장 인사청문회, 2025년 3월 14일 시민단체 사법정의바로세우기시민행동의 심 총장과 조태열 외교부 장관 공수처 고발에 이어 벌써 3번째입니다.

 

심 총장은 3월 25일 입장문을 내고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이미 상세히 소명하고 검증을 거친 내용”으로 “근거 없는 의혹 제기”라며 강한 유감을 표했습니다. 문제없다는 외교부 해명도 거듭됐습니다. 그러나 의혹 해소는커녕 파문만 지속됐습니다. 결국 외교부는 4월 1일 감사원에 공익감사를 청구하고 심 총장 딸 채용을 유보하기로 했습니다.

 

언론의 심 총장 딸 특혜채용 의혹 규명 촉구도 나왔습니다. 한겨레는 <사설/심우정 검찰총장 딸 외교부 특채 의혹, 투명히 밝혀야>(3월 25일)에서 “자녀 ‘입시 비리’ 논란을 일으켰던 조국 전 법무부 장관 부부가 어떤 수사를 받고 지금 어떤 상황에 놓여 있는지 모두 알고 있다”며 “(심 총장이) ‘내로남불’ 논란을 피하기 위해서라도 이 의혹을 그냥 넘어가선 안 된다”고 지적했습니다.

 

정치권에서도 야권 중심의 진상규명 촉구 움직임이 나타났습니다. 황명필 조국혁신당 의원은 3월 31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심 총장 딸 특혜채용 의혹을 거론하며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사례와 다른 검찰 대응을 비판했습니다. 조승래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은 4월 1일 “심우정 검찰총장 자녀 특혜채용비리 조사단을 당내에 설치”해 “철저하게 진상을 물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조국 VS 심우정 딸 의혹 언론잣대 다르다

황명필 조국혁신당 의원은 “(언론이)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의 딸 조민’이라는 기사를 수만 건 쏟아냈음을 기억한다”, “심우정, 한동훈, 나경원의 딸은 왜 실명을 밝히지 않냐”고 일갈했습니다. 조국 전 법무부 장관 딸 입시 비리 의혹과 심우정 검찰총장 딸 외교부 특혜채용 의혹을 대하는 언론의 잣대가 다르다는 지적은 정치권뿐만 아니라 누리꾼 사이에서도 제기됐습니다.

 

1.jpg

△ 조국 전 법무부 장관과 심우정 검찰총장 딸 의혹 비교표(왼쪽)와 이를 살펴보는 정치권(오른쪽) (출처 : 딴지일보, 뉴스1)

 

딴지일보에 올라온 <조민 vs 심우정 딸 심민경 비교표 (기간검색 실명기사 전부 캡쳐)>(4월 1일)는 단시간에 공감을 얻으며 각종 소셜미디어를 타고 퍼졌습니다. 다음 날인 4월 2일 국회에서 정청래 법제사법위원장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김민석 최고위원과 함께 비교표를 살펴보는 모습이 언론에 포착되기도 했습니다(뉴스1 <조국vs심우정 자녀 의혹 비교>(4월 2일 안은나 기자)).

 

같은 특혜의혹, 심우정 딸 실명보도 ‘전무’

민주언론시민연합은 조국 전 법무부 장관 딸 입시 비리 의혹과 심우정 검찰총장 딸 외교부 특혜채용 의혹을 전하는 데 보도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로 했습니다. 조국 전 법무부 장관 딸 의혹은 2019년 8월 19일 곽상도 자유한국당 의원의 의혹 제기를 기점으로 보도량이 급증했습니다. 심우정 검찰총장 딸 의혹은 한정애 의원의 2025년 3월 24일 의혹 제기를 기점으로 보도량이 급증했습니다.

 

따라서 2025년 1월 8일 기준 포털사이트 네이버뉴스 ‘언론사 편집판’ 구독자 수 200만 이상인 49개 언론사를 대상으로 △조국 전 법무부 장관 딸 입시 비리 의혹은 2019년 8월 19일부터 27일까지 9일간 키워드 ‘조국 딸’로 검색한 기사 전체 △심우정 검찰총장 딸 외교부 특혜채용 의혹은 2025년 3월 24일부터 4월 1일까지 9일간 키워드 ‘심우정 딸’로 검색한 기사 전체를 모니터링했습니다.

 

2.jpg

△ 조국 전 법무부 장관 VS 심우정 검찰총장 딸 의혹 보도건수 ©민주언론시민연합

 

조국 전 법무부 장관 딸 의혹은 전체 5,757건으로 하루 평균 640건 보도됐습니다. 심우정 검찰총장 딸 의혹은 전체 255건으로 하루 평균 28건 보도됐습니다. 약 23배 차이입니다. 또한 조 전 장관 딸 의혹을 전하며 딸의 실명을 공개한 보도는 20건인데 반해, 심 총장 딸 의혹을 전하며 딸의 실명을 공개한 보도는 1건도 없습니다. ‘고위공직자 자녀 특혜 의혹’이라는 본질은 동일한데 전체 보도건수와 자녀 실명 공개 보도건수에서 엄청난 차이를 보인 것입니다.


뉴스1, 조국 딸 의혹 397건 V S심우정 딸 의혹 21건

조국 전 법무부 장관과 심우정 검찰총장 딸 의혹을 가장 많이 보도한 상위 10개 언론사도 살펴봤습니다. 조국 전 법무부 장관 딸 의혹을 가장 많이 보도한 언론은 뉴스1으로 397건입니다. 다음으로 연합뉴스(317건), 중앙일보(280건), 세계일보(272건), 조선일보(224건), 뉴시스(223건), YTN(216건), KBS(215건), 노컷뉴스(195건), 채널A(190건)순입니다.

 

3.jpg

△ 조국 전 법무부 장관 VS 심우정 검찰총장 딸 의혹 보도건수 상위 10개 언론사 ©민주언론시민연합 ※ 일치할 경우 붉은색 표시

 

심우정 검찰총장 딸 의혹을 가장 많이 보도한 언론은 연합뉴스와 뉴스1으로 각 21건입니다. 다음으로 KBS(18건), 뉴시스(14건), MBC(13건), SBS‧YTN‧경향신문‧한겨레(각 10건) 등의 순서입니다. 조 전 장관과 심 총장 딸 특혜 의혹을 가장 많이 보도한 언론은 뉴스1으로 동일했지만 보도건수는 397건 대 21건으로 약 19배 차이를 보였습니다. 더불어 조 전 장관 딸 의혹 보도에서 상위 10개 언론사에 이름을 올렸던 조선일보와 채널A는 심 총장 딸 의혹 보도에서는 각 2건씩 저조한 보도량을 보였습니다.

 

검증 빙자해 조국 딸 사생활 캐던 언론, 심우정 딸은?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이 후보자로 지명된 지 열흘 만인 8월 19일, 곽상도 자유한국당 의원은 조 전 장관 딸 입시 비리 의혹을 제기했습니다. 언론은 후보자 정책 검증보다 조 전 장관 딸 의혹에 초점을 맞춰 보도를 집중했습니다.

 

조 전 장관 딸 의혹에 집중된 보도는 합리적 의혹제기보다 조 전 장관 딸 사생활 캐기에 가까운 내용이 적지 않았습니다. 채널A는 <단독/부산대 의전원 소개서 5만 원에 팔아>(2019년 8월 21일 최선 기자)에서 “대학생들이 이력서나 자기소개서, 리포트 등을 사고 파는 인터넷 사이트”에서 “조국 후보자의 딸과 관련된 자료가 6건” 올라와 있고 “비싸게는 통상 가격의 25배인 5만 원에 거래”됐다고 보도했습니다. 입시 비리 의혹과 관련된 양 보도했지만 조 전 장관 딸이 대학생들의 각종 문서 거래 사이트에서 자신의 자료를 거래했다는 사생활을 전한 것에 불과합니다. 채널A의 사생활 보도는 계속됐습니다. <강남 입시학원서 ‘구술 조교’ 알바>(2019년 8월 22일 조영민 기자)에서 조 전 장관 딸이 “강남의 입시학원에서 합격 노하우를 전수하는 아르바이트”를 했다는 사생활을 전한 겁니다.

 

조선일보는 <단독/‘빠른 91년생’ 조국 딸, 의전원 지원한 해 주민번호 바꿔 생년월일 7개월 늦춰>(2019년 8월 23일 김명지‧손덕호 기자)에서 조 전 장관 딸이 “2014년 8월 주민등록상 생년월일(을) 7개월 늦게 태어난 것으로 변경”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조씨(조 전 장관 딸)가 쓴 것으로 추정되는 부산대 의전원 합격 후기”에서 “나이, 자기소개서, 면접이 (합격의) 관건”이라고 나오는데, “이 수기를 쓴 사람이 조씨가 맞는다면 그가 나이를 합격의 관건”으로 보고 주민등록상 생년월일 변경을 신청한 것 아니냐고 주장한 겁니다.

 

그러나 조선일보는 같은 기사에서 “(조 전 장관 딸의 입시) 당시 부산대 의전원 수시 모집 요강에 나이 제한은 명시돼 있지 않다”, “조씨의 주민등록 변경이 당락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증거는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조선일보 스스로 증거는 없다면서도 ‘주민등록상 생년월일 변경’이라는 조 전 장관 딸의 사생활을 입시 비리 의혹과 연관된 것인 양 보도했습니다.

 

반면 심우정 검찰총장 딸 외교부 특혜 채용 의혹 보도는 더불어민주당의 의혹제기, 야권의 진상규명 요구, 외교부와 심우정 검찰총장의 해명, 외교부의 공익감사 청구 등 단순사실 보도가 주를 이뤘습니다.

 

* 모니터 대상

2025년 1월 8일 기준 포털사이트 네이버 뉴스 ‘언론사 편집판’ 구독자 수 200만 이상인 49개 언론사를 대상으로 ① 2019년 8월 19일부터 27일까지 키워드 ‘조국 딸’로 검색한 기사 전체 ② 2025년 3월 24일부터 4월 1일까지 ‘심우정 딸’로 검색한 기사 전체

 

2025년 1월 8일 기준 포털사이트 네이버 뉴스 ‘언론사 편집판’ 구독자 수 200만 이상인 49개 언론사 : JTBC, YTN, MBC, SBS, 국민일보, 한국경제, 조선일보, 중앙일보, 매일경제, 아시아경제, KBS, 한겨레, 경향신문, 동아일보, 머니투데이, 서울경제, 서울신문, 연합뉴스, 이데일리, 조선비즈, 한국일보, 헤럴드경제, 파이낸셜뉴스, MBN, 뉴스1, 뉴시스, 디지털타임스, 부산일보, 연합뉴스TV, 한국경제TV, 문화일보, 세계일보, 노컷뉴스, SBS비즈, 미디어오늘, 농민신문, TV조선, 경기일보, 강원일보, 데일리안, 매일신문, 비즈워치, 시사저널, 아이뉴스24, 오마이뉴스, 전자신문, 채널A, 프레시안, KBC광주방송

 

<끝>

 

monitor_20250407_023.hw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