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영방송의 정상화는 과거 정권의 흔적 지우기나 새 정권의 정책 지향에 부합하는 체제를 구축하는 차원의 문제가 아님이 분명하다. 공영방송의 정상화는 급변하는 시청각 미디어 환경 속에서 새로운 정체성과 역할을 정의하고, 그에 부합하는 지배구조를 제도화하며, 이를 위해서 선행적으로 지난 과거의 적폐를 청산하고 개혁의 기반을 마련하는 작업이다.
독일 공영방송 TV 카메라 기자 위르겐 힌츠페터는 외국인이니까 5·18광주의 공수부대 폭력을 좀 더 객관적으로 관찰했을 것인데, 그도 광주 시민에 대한 공수부대의 난폭한 폭력에 흥분했다. 그는 광주의 시민들과 대화하면서 그들과 독재에 반대하는 공감대를 발견했다. 그들을 돕는 것이 “사람의 도리”이고 언론인의 도리라는 것을 확신했다. 그는 시민들 사이의 공감과 연대의식을 보고 자신이 하고 있는 일이 옳다는 것을 재확인했다.
3기 방송통신심의위원회(방통심위) 임기가 종료된 지 두 달이 넘었지만 4기 구성이 기약 없이 미뤄지고 있다. 핵심 원인은 자유한국당이 자당 몫의 위원 추천을 늘려달라고 생떼를 부리고 있기 때문이다. (중략) 4기 방통심위 구성이 늦어지면서 방송과 통신에서의 규정 위반을 제 때 심의하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지난 3월 종편3사에 대한 재승인 조건으로 부과한 ‘법정제재에 대한 감시는 물론 가까스로 재승인에 통과한 TV조선의 심의규정 위반에 손도 못 대고 있다.
중앙일보는 <결정적 물증 없이 “정경유착” 단정>이라고 제목을 뽑아 판결에 대한 불만을 노골적으로 표현했습니다. 해당 기사는 “하지만 재판부 스스로 밝혔듯이 명시적인 부정 청탁은 없었다” “유죄 근거로 ‘정경유착’을 내세웠지만 이를 입증할 결정적 물증은 끝내 없었다” “기업의 어려운 현실적 상황도 고려되지 않았다”라고 보도하며 삼성 측의 “납득하기 어려운 판결”이란 주장에 힘을 실어줬습니다.
7개 방송사 중 관련 소식을 저녁종합뉴스를 통해 아예 전하지 않은 곳은 MBC와 MBN입니다. (중략) TV조선은 ‘국면 전환용’이라는 야권의 반발과 박근혜 청와대 관계자의 ‘문서 파일 복원’ 주장을 함께 부각하여 전했습니다. 실제 <‘안봉근 파일’ 9천건 발견…논란> 보도는 앵커 멘트에서부터 “‘방사포 논란’을 덮기 위한 국면 전환용”이라는 야권의 반발을 전하고 있고요.
김종석 기자는 “저희가 한번 자동차로 먼저 집중을 해보려고 합니다”라며 본격적으로 대담을 시작했습니다. 그 ‘다른 측면’은 고작 ‘자동차’였던 겁니다. 이후 방송은 재산 공개의 공익적 의미와 관계 없이 ‘청와대 참모의 자동차’라는 소재를 자극적으로 부풀리는 ‘시청률 장사’로 흘러갔습니다. 이 과정에서 특정 업체의 로고와 자동차 브랜드가 모두 노출되었고 심지어 특정 업체의 자동차 방송 광고까지 인용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