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 모니터_
‘환관 권력’ 언급하며 여전히 청와대 ‘주사파’ 거론하는 동아일보
등록 2017.12.19 19:42
조회 433
문재인 대통령의 중국 국빈 방문 일정이 마무리됐습니다. 주한미군 사드 배치 문제로 한중관계가 크게 흔들렸지만 이번 방중을 통해 다시 경제협력 관계를 정상화한 실리적 성과가 있었는데요. 그러나 동아일보는 그 가운데 ‘운명공동체’라는 단어를 트집 잡으며 여전히 ‘청와대 주사파’를 언급했습니다.
 
화해의 제스쳐 ‘운명공동체’에 ‘조공’ 거론하며 기겁한 동아일보
동아일보 <김순덕 칼럼/‘환관 권력’에 엮여버린 운명공동체>(12/18 김순덕 논설주간 https://bit.ly/2Bc5uTX)에선 “불과 4일만에 우리는 중국과 운명공동체가 돼버렸다. 어느 날 아침 불안한 꿈에서 깨어났을 때 침대 속에 흉측한 갑충으로 변신해 버린 자신을 발견하는 건 카프카의 소설에서나 가능했지만 이건 현실이다”라며 이번 발언을 ‘벌레’에 비유했습니다. 김 논설주간의 ‘운명공동체’는 문재인 대통령이 방중기간 “양국은 함께 번영해야 할 운명공동체”라고 말한 것을 뜻하는데요. 김 논설주간은 “‘운명적’이라는 표현은 국가 간 외교는 물론이고 연애하는 남녀 사이에도 쉽게 쓸 수 없는 말이다”라며 문 대통령의 표현에 질색했습니다.
 

동아 환관.jpg

 

△ 청와대 참모진에게 ‘환관 권력’이라며 모욕한 동아일보 (12/18)

 

물론 ‘운명적’이란 표현이 흔한 표현은 아닙니다. 그간 한중관계를 표현하는 단어는 ‘협력 동반자 관계’였는데요. 경향신문 <외교상 이례적 표현 ‘운명’ 언급…‘공동번영’ 강조>(12/16 유신모 외교전문기자 https://bit.ly/2D2dG6a)에서도 “문 대통령이 방중 기간 동안 ‘운명적 동반자’라는 비외교적 표현을 부각시키는 것은 현재 한․중관계의 실상을 있는 그대로 보자는 의미가 담겨있다”라며 “싫든 좋든 한국과 중국은 지근거리에서 부대끼며 살아가야 하는 처지를 벗어날 수 없다는 것을 강조함으로써 양국 관계에 부침이 있더라도 결국은 서로 협력해 나갈 수밖에 없다는 것을 설명했다는 것이다”라고 해설했습니다. 이웃나라로서 감정의 골이 남아있을 순 있지만 함께 할 필요성이 있다는 뜻인데요.

김 논설주간은 이 수사를 ‘조공국이 되려 하는 것’이라며 기겁을 한 것입니다. 그는 문 대통령이 ‘한반도 운전자론’을 주장했다는 점을 언급하면서 “운전자론을 주장하던 문 대통령이 중국에 나라의 운명을 바치는 패전국 수장이라도 된 형국이다”라며 비판했는데요. 문 대통령이 지난 11월에 시진핑을 만났을 때 ‘중국 주도 운명공동체’를 지지했다고 이야기하면서 “제2차 세계대전 종전 이래 미국이 주도해온 자유주의 국제질서 대신 중국이 새로 짜겠다는, 혹은 과거에 주도했다는 천하 위계질서로 들어가 조공국이 되겠다는 소리나 마찬가지다. ‘혼밥’을 먹었다는 국빈 홀대론 저리 가라는 외교 참사다”라고 해석했습니다. 이웃나라로서 관계 개선을 위한 표현을 확대 해석한 셈입니다. 김 논설주간은 “문 대통령이 이를 알고도 중국과의 운명공동체를 말했다면 위험하다. 모르고 써준 대로 읽었다면 더 위험하다. 대통령의 연내 방중을 위해 물밑 작업을 벌였다는 청와대 참모들이 대통령과 국민을 속이고 더 큰 목적을 이룬 셈이기 때문이다”라고 주장했습니다.
 
‘운명공동체’가 ‘자주파의 꿈을 이룬 꼴’이라는 동아일보
김 논설주간은 이번 방중이 10월 31일 양국 정부가 발표한 사드 합의문 덕분에 방중이 가능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른바 ‘3불합의’를 말 한 것인데요. 사드의 추가배치, 미국의 미사일방어체계 참여, 한미일 군사협력을 하지 않겠다는 합의는 우리 정부의 그간 입장과 크게 다르지 않았습니다. 중국 정부로서도 우리 정부의 입장을 다시 확인받고 협력관계로 나아갈 계기를 만든 수준이었는데요. 그러나 김 논설주간은 “핵무장을 완성한 북한이 무슨 짓을 할지 모르는 판”이라며 “사실상 안보주권을 포기한 대가로 한중 정상회담을 했다는 뜻인가”라고 평했습니다.

그러면서 김 논설주간은 당시 합의를 주도한 남관표 대한민국 국가안보실 제2차장을 언급했습니다. 남 차장이 “2004년 노무현 정부 외교통상부에서 대미 자주 외교노선을 강조한 이른바 ‘자주파’였다”는 것입니다. 김 논설주간은 “당시 청와대 386 참모들의 대미외교 정책을 반미적이라고 비판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윤영관 외교통상부 장관은 해임됐다. 그때 청와대 문재인 민정수석의 조사를 받았던 외교통상부 조약국 소속의 남관표가 오늘날 문재인 청와대의 참모가 돼 마침내 자주파의 꿈을 이룬 꼴이다”라고 정리했습니다.

게다가 김 논설주간은 ‘주사파’까지 언급했는데요. 김 논설주간은 “남 차장을 비롯한 자주파와 1980년대 위수김동(위대한 수령 김일성 동지)을 외치던 주사파 출신 86그룹이 상당수 지금 청와대에 포진해 있다”라며 색깔론을 펼치기도 했습니다. 이어 “‘한미동맹이 깨진다 하더라도 전쟁은 안 된다’는 자주파의 거두 문정인은 대통령통일외교안보특보다. 양국 정상이 14일 합의한 한반도 평화 안정을 위한 4대 원칙의 첫 번째 ‘한반도에서의 전쟁을 절대 용납할 수 없다’만 보면 문 특보가 외교 상왕이 아닌가 싶다”라고도 정리했습니다. 김 논설주간은 ‘전쟁을 용납할 수 없다’는 단순한 명제를 이야기하는 것도 ‘문 특보의 지시’에 의한 것으로 이해하는 것 같습니다.
 
‘자주파’ ‘주사파’라며 ‘환관들의 외교농단’이라 평가
청와대 참모들에 대해 ‘주사파’라며 공격적으로 색깔론을 펼친 김 논설주간은 임종석 비서실장의 권력을 설명했습니다. 국회에서 송영무 국방부 장관이 문 특보에 대해 비판하자 임 실장이 공개 경고를 했고, 송 장관이 바로 사과했다는 사례와 임 실장이 중앙부처에 법적 근거 없이 ‘적폐청산을 위한 태스크포스 운영계획’을 제출하라는 공문을 내렸다는 점을 거론했는데요. 김 논설주간은 “사실상 내각의 머리 꼭대기에 앉은 상태”라고 평가했습니다. 당시 청와대가 송 장관에게 ‘공개 경고’를 한 이유는 송 장관의 돌출 발언이 이어지고 외교․안보 라인에 갈등으로 보이는 것을 미리 차단하기 위함이었습니다. 임 실장이 내린 공문 역시 국정과제 이행을 위한 일상적인 업무 공문에 대해 무리한 해석이었는데요. 김 논설주간은 이렇게 무리한 근거를 두고 ‘내각의 머리 꼭대기’라며 과잉 해석했습니다.

김 논설주간은 “현재의 정부 여당은 전임 ‘제왕적 대통령’과 비서실의 월권을 ‘문고리 권력’의 국정 농단이라며 환관 정치를 비판했던 사람들이다. 대통령 보좌를 넘어선 국정운영도 모자라 그 흔한 공론화 과정도 없이 대한민국을 중국의 운명공동체로 엮어버린 환관들의 ‘외교 농단’이 어떤 운명을 맞을지 지켜볼 일이다”라며 칼럼을 마무리했습니다. 정부의 방중 외교성과에 대해서는 찬반을 논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단어 하나의 무리한 해석과, 과거 이력에 대한 색깔론 공격을 빌미로 ‘환관 권력’ ‘외교 농단’이라 표현하는 것은 상당한 모욕입니다. 단어 하나를 트집 잡고 과거 이력을 빌미로 인신공격을 자행한 김순덕 논설주간의 모습이야말로 참담할 지경입니다.
 
* 모니터 기간과 대상 : 2017년 12월 18일 경향신문,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한국일보 (신문 지면에 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