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니터위원회_

민언련 신문모니터위원회

[민언련 신문모니터위원회] 8·2 부동산 대책 보도, 반응 뒤의 수상한 ‘그림자’
등록 2017.09.20 17:05
조회 502

8월 2일, 정부는 천정부지로 치솟는 집값을 잡겠다며 8·2 부동산 대책을 발표했다. 이 대책의 핵심은 서울 25개구 전역을 투기과열지구로 지정하는 것으로, 이와 함께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 및 LTV(주택담보인정비율)·DTI(총부채상환비율) 관련 규제까지 포함된 강력한 대책이다. 중요 대책 발표에 대한 보도가 으레 그러하듯 이를 둘러싼 보도에는 정부 관계자와 정치인들, 교수와 연구원, 부동산 업계 관계자와 금융권 관계자, 정책 대상자인 시민들까지 다양한 사람들의 반응이 인용되었다. 해당 보도에서 언론은 시민들을 대상으로, 정책이 집값 안정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긍정적인 반응보다는 부정적인 반응을 중점적으로 보도했다. 또한 조선일보의 경우 편향성이 의심되는 전문가를 지나치게 자주 소개한 정황도 드러났다.


민주언론시민연합 신문모니터위원회는 8월 2일 대책 발표 다음날인 8월 3일부터 19일까지 약 2주 남짓한 기간 동안의 5개 언론사 보도를 모니터 범위로 설정하고, 각 일간지의 보도가 어떤 사람들의 목소리를 어떻게 보도했는지 양적, 질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1. 양적분석 : 대책에 대해 ‘부정적’인 조선․동아

 

8월 3일부터 19일까지의 모니터링 기간 동안 5개 일간지를 통틀어 총 204건의 8·2 부동산 대책 관련 보도가 있었다. 본 보고서에서는 해당 대책 관련 보도 건수를 모두 집계한 뒤, 각 보도 안에서 인터뷰 대상자의 수를 다시 집계하였다. 대상자의 발언들 가운데 정치적 이해관계를 배제하고 실제 현장에 집중하기 위해 정치권 및 정부 관계자의 발언 개수를 제외하였다. 직종별로 나눈 집계 분류는 교수, 연구원, 부동산/건설업 관계자, 금융권 관계자, 일반 시민들이다. 각 반응들은 정책이 정부의 발표대로 집값을 안정시키는 데 효과가 있으리라고 언급했는지, 혹은 시장 원리 등을 들어 효과가 없거나 경제에 악영향을 줄 것이라고 언급했는지 등에 따라 긍정·부정 등으로 분류되었다. 즉, 정책에 긍정적인 반응(이하 ‘긍정’), 정책에 부정적인 반응(이하 ‘부정’), 긍정과 부정이 함께 나타난 반응(이하 ‘긍정+부정’), 미분류(긍정·부정으로 분류하기 힘든 예측이나 설명 및 팁)의 4가지이다.

 

 

경향신문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부동산 관련 보도 총량

29

54

39

44

38

인터뷰 인용 보도량

(정치권 및 정부 관계자의 발언, 정부 보도자료 제외)

13

23

28

17

15

직군별

인터뷰

대상자

구분

교수

5

11

22

11

1

연구원

4

1

14

1

1

부동산/건설업 종사자

12

37

33

18

15

금융권 관계자

5

17

10

11

8

시민

11

16

23

9

0

기타

3

2

16

2

0

인터뷰 대상자수(반응)

40

84

118

52

25

△ 8·2 부동산 대책 5개 일간지 보도 양적 분석(8/3~8/19) ⓒ민주언론시민연합

 

5개 일간지들 중 8·2 부동산 대책 관련 보도는 동아일보(54건)가 가장 많았으며, 가장 적은 보도를 경향신문(29건)이었다. 이 보도들 중 인터뷰 인용 보도(정치권 및 정부 관계자의 발언, 정부 보도자료 제외)가 가장 많은 신문은 조선일보(28건)이며 가장 적은 보도 신문은 경향신문(13건)이었다. 정치권 및 정부 관계자의 발언을 제외한 인터뷰 대상자수는 조선일보(118명)가 가장 많았고, 한겨레(25명)가 가장 적었다. 

 

가장 많은 인터뷰이는 ‘부동산/건설업 종사자’, 당연히 8·2대책에는 부정적

모든 신문들이 부동산/건설업 종사자들의 반응을 가장 많이 보도했다. 구체적으로 보면 한겨레에서 총 반응 25개 중 15개로 보도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조선일보는 118명의 인터뷰 대상자 중 33명, 중앙일보는 52명 중 18명, 동아일보는 84명 중 37명, 경향신문은 40명 중 12명이 부동산과 건설업 종사자였다. 거의 모든 언론에서 부동산과 건설업 종사자들의 인터뷰를 가장 많이 담았음을 볼 수 있다. 

 

이들의 반응은 8·2 부동산 대책의 효과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

 

 

경향신문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긍정

0

0

2

1

2

부정

4

9

8

4

1

긍정+부정

1

0

0

1

1

미분류

7

28

23

12

11

12

37

33

18

15

총 인터뷰 보도량

40

84

118

52

25

△ 8·2 부동산 대책 보도 중 부동산/건설업 업계 종사자 인터뷰 반응 분석(8/3~8/19)  ⓒ민주언론시민연합

 

한겨레를 제외한 모든 언론이 부정적인 반응을 많이 인용했다. 조선일보에서는 총 33명 중 긍정적 반응은 2건이고, 부정적 반응이 8건이었다. 중앙일보에서는 18명 중 1건이 긍정적 반응이었고, 4건은 부정이었다. 동아일보는 37명 중 긍정적 반응은 없었고, 부정적 반응만 9건이었다. 경향신문은 12명 중 1건에서 긍부정 포함한 반응이었고, 4건은 부정적 반응이었다. 한겨레는 15명 중 2건이 긍정적 태도였고, 1건이 부정적 태도, 긍부정이 함께 있는 경우가 1건이었다.

 

부동산의 ‘실제 수요자’ 시민들의 부정적 반응, 그런데 실제 여론은?

반면 8·2 부동산 대책 관련 보도에서, 시민의 목소리는 많이 나오지 않았다. 인터뷰 대상자 중에서 시민은 조선일보가 118명 중 23명, 중앙일보가 52명 중 9명, 동아일보가 84명 중 16명이었다. 모든 언론사에서 시민은 전체 인터뷰 대상자의 1/5 이하를 차지했다. 경향신문만이 40개 중 11개로 전체 보도의 대략 1/4 정도를 차지했을 뿐이었다. 한겨레는 총 25명의 보도 중 시민의 인터뷰가 1건도 없었다. 

 

 

경향신문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긍정

0

1

0

0

0

부정

6

13

19

5

0

긍정+부정

2

0

0

0

0

미분류

3

2

4

4

0

11

16

23

9

0

총 인터뷰 보도량

40

84

118

52

25

△ 8·2 부동산 대책 보도 중 시민 인터뷰 반응 분석(8/3~8/19) ⓒ민주언론시민연합

 

이렇게 시민의 반응 자체가 비교적 많은 편이 아닌데다가, 시민의 반응 대부분이 부정적인 반응이었다. 조선일보는 시민 반응 23명 중 19건이 부정적 반응을 담은 것이었다. 중앙일보도 시민 9명 중 5건이 부정적이었으며, 동아일보는 16명 시민 중 1건만 긍정이었고, 13건이 부정적 태도였다. 경향신문은 시민 반응 11명 중 2건이 긍정적 의견과 부정적 의견이 함께 들어가 있었고, 6건이 부정적이었었다. 한마디로 신문만을 놓고 보면, 8·2 대책에 대해서 시민의 반응은 매우 부정적이다.


그러나 이런 인터뷰가 현상을 제대로 반영한 것이었을까? 8·2 부동산 대책 발표 이틀 뒤인 8월 4일, 리얼미터가 CBS의 의뢰로 성인 508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여론조사에서 정책이 “투기세력을 막을 정도로 효과가 있을 것이다”는 인식이 49.6%로, “투기세력을 막을 정도까지 효과는 없을 것이다”는 인식(30.3%)보다 19.3%p 높다. “잘 모름” 답변도 20.1%였다. 


발표 일주일 뒤인 8월 8~10일, 한국갤럽이 전국 성인 1,002명에게 현 정부가 부동산 정책을 잘하고 있는지 물은 결과에서도 44%는 “잘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23%는 “잘못하고 있다”고 답했고, 33%는 의견을 유보했다. 


이는 각 일간지의 보도에서 정책에 대해 긍정적으로 반응한 시민의 비율이 현저히 낮았던 것과는 큰 차이를 보인다. 시민들의 반응을 인용한 건수가 여론조사와 꼭 같아야 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언론은 시민들의 의견을 청취하고 기사에 반영함에 있어, 여러 가지로 나타나는 시민들의 의견을 공정히 반영할 필요가 있다. 실제 여론조사 결과 결과로는  8·2 부동산 대책에 대해 긍정적인 의견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성인 열 명 중 네 명 이상이 현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긍정적이라는 뜻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조중동을 중심으로 한 시민 인터뷰는 8·2 부동산 정책에 대해 부정적인 보도를 하기 위해 특정한 방향의 목소리만을 담은 것이 아니냐는 의심을 가능케 한다. 

 

한겨레를 제외하면 모두 ‘부정’비율 높아

모든 직군들의 반응을 총합해봐도 정책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보다는 부정적 반응이 높았다. 부정적 인터뷰 비중이 가장 큰 곳은 조선일보와 동아일보였다. 조선일보는 전체 118명 중 부정적인 인터뷰가 59건이었고, 긍정은 6건으로 현저히 적었다. 동아일보는 긍정적인 반응 2건에 비해 부정적 반응이 31건이었다. 중앙일보 역시 긍정적 반응이 4건인데 비해 부정적 반응은 15건이었다. 경향신문은 긍정적 반응 2건에 비해 부정적 반응이 14건, 긍정 및 부정적 반응 모두 언급한 경우가 7건로 타 매체에 비해 많았다. 


한겨레의 경우 긍정적인 반응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한겨레가 인용한 총 25건의 반응 중 긍정적인 반응이 6건, 부정적인 반응과 긍정 및 부정을 모두 언급한 반응이 각 2건이었다. 한겨레는 긍정적인 측면을 중점적으로 보도하되, 부정적인 측면도 배제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경향신문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긍정

2

2

6

4

6

부정

14

31

59

2

2

긍정+부정

7

5

3

15

2

미분류

17

46

50

31

15

40

84

118

52

25

총 인터뷰 보도량

40

84

118

52

25

△ 8·2 부동산 대책 보도 중 전체 인용된 인터뷰 반응 분석(8/3~8/19) ⓒ민주언론시민연합

 

2. 질적 분석 : ‘조선일보의 특정 전문가 편애’

 

조선일보의 보도에는 유달리 자주 인용되는 전문가가 두 명 있었다. 그 중 한 명의 이력을 자세히 살펴본 결과, 조선일보의 보도에서 그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것이 수상하다고 판단할 이유가 있었다.

 

조선일보가 유달리 좋아하는 전문가, 그는 누구일까?

조선일보의 8·2 부동산 대책 관련 보도에는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장이 자주 등장한다. 대표적으로 <내 집 마련 어쩌라고… 3040 실수요자 '8·2 쇼크'> (8/4, A16면, https://goo.gl/7hzrTM) 및 <"다주택자 집 팔라면서… 살 사람 대출 묶으면 어쩌란 말이냐"> (8/9, A08면, https://goo.gl/nrFbQ9)에서 그는 8·2대책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드러냈다. 조선일보 보도 28건 중 고종완 원장의 인터뷰가 총 11건 등장하며, 그중 8개는 8·2 부동산 대책에 부정적 입장을 보인 것이었다.  조선일보 보도에서 반응이 10개 이상 등장하는 전문가는 고종완 원장을 제외하면 건국대학교의 심교언 교수(11건) 한 명뿐이다. 고종완 원장은 다른 4개 일간지의 보도에는 등장하지 않았으며, 오로지 조선일보의 보도에만 인용되었다. 심교언 교수의 경우에는 중앙일보에 6번, 동아일보와 경향신문에 각각 1번씩 인용되었다.


언론의 전문가 인터뷰는 전문적 평가와 전망을 통해서 사람들이 사안에 대해 올바르게 판단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이때 그 평가와 전망은 당연히 특정 정책에 대해 긍정적일 수도, 부정적일 수도 있다. 그것 자체에는 문제가 없다. 그런데 다른 언론에는 등장하지 않으면서 조선일보에만 이토록 높은 비중으로 등장하는 고종완 원장은 어떤 전문가일까? 그의 이력을 보면 고개가 갸웃거려진다.


고종완 원장은 2015년 10월부터 한국자유총연맹의 중앙이사를 맡은 바 있다. 이 단체는 보수 성향의 대표적인 관변단체인데, 뉴시스 보도 <청와대, 자유총연맹에 '관제 데모' 지시했다> (1/23, https://goo.gl/8aDyDG) 에 따르면 박근혜 정부 당시 청와대는 이 단체를 동원해 국정역사교과서 찬성 시국집회 등 이른바 ‘관제 데모’를 열기도 했다. 또한 이 단체는 지난 3월 1일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에 반대하는 보수 단체들이 집결한 ‘3·1절 태극기 국민운동 및 구국기도회’ 에 회원 참여를 독려해, 공직선거법상 정치적 중립 의무를 어긴 것 아니냐는 논란에 휩싸인 전력도 있다. 또한 2015년 6월부터 고종완 원장은 새누리당(현 자유한국당) 정책위원회의 국토교통정보위원회 정책자문위원을 맡았으며, 같은 당 산하 여의도연구원의 정책자문위원을 맡은 이력도 있다.


물론 부동산 전문가도 특정한 정치적 성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헌법은 양심과 사상의 자유를 보장하므로, 전문가가 특정 성향의 단체 또는 정당과 관련된 직책을 맡는 것을 비난할 수는 없다. 그러나 조선일보가 이렇게 보수적인 특정 인물에게 많은 인터뷰를 할애하는 것은 지나치게 획일적이고 편향적으로 인터뷰 대상자를 선정하는 것이 아닐까? 

 

* 모니터 기간과 대상 : 2017년 9월 14일 ~ 15일 경향신문,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한국일보 (신문 지면에 한함)

 

문의 김규명 활동가(02-392-0181) 정리 김형준 (민언련 신문모니터위원회 회원)

 

monitor_20170920_476.hw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