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시비비(~2023)_
언론개혁 필요성을 증명한 조선일보와 TV조선의 역설
<조선>의 속 보이는 가상통화 보도 프레임김성원(민주언론시민연합 이사)
올해 들어 가상통화를 둘러싼 사회적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가상통화의 밑바탕인 블록체인 기술이 새로운 먹거리가 될 것이라는 기대와 함께 지나친 가상통화의 시세 급등에 따른 거품 논란도 제기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서 최근 잇달았던 가상통화 관련 정부의 엇박자는 가상통화에 대한 정책이 조속히 마련돼야 함을 역설해주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언론은 가상통화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보다 생산적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관련 논점과 갈등 양상들을 보다 명쾌하게 보여줘야 한다. 그럼에도 조선일보 계열 매체들은 왜곡된 프레임으로 가상통화에 대한 기사를 보도하고 이를 이용하려는 듯한 모습을 드러냈다.
TV조선, “가상화폐 규제가 국정농단보다 더 나쁘다”
가상통화에 대해 가장 황당한 보도를 한 매체는 TV조선이다. 지난 12일 TV조선은 메인뉴스인 뉴스9에서 <2030부글부글... “국정 농단보다 코인 규제 더 나빠”>라는 기사를 내보냈다. 16일 발표된 민주언론시민연합 방송모니터 보고서에 따르면 이 보도는 “‘가상화폐 주된 투자자인 이삼십대 청년층’이 문재인 정부에 분노하고 있으며 일각에서는 ‘가상화폐 규제를 박근혜 정부의 국정농단과 비교’까지 하고 있다는 황당한 내용”으로 채워졌다.
△ 가상통화에 대해 가장 황당한 보도를 한 매체는 TV조선이다. 지난 12일 TV조선은 메인뉴스인 뉴스9에서 <2030부글부글... “국정 농단보다 코인 규제 더 나빠”>라는 기사를 내보냈다. 이 보도는 “‘가상화폐 주된 투자자인 이삼십대 청년층’이 문재인 정부에 분노하고 있으며 일각에서는 ‘가상화폐 규제를 박근혜 정부의 국정농단과 비교’까지 하고 있다는 황당한 내용”으로 채워졌다. (사진 : TV조선 <뉴스9> 보도화면 갈무리)
더욱 어처구니없는 일은 정작 기사 내용에서는 “국정 농단보다 코인 규제 더 나빠”라는 기사 제목과 뉴스 자막을 뒷받침하는 인터뷰가 없었다는 것이다. 해당 기사를 보면 기자가 “가상화폐 규제를 박근혜 정부의 국정농단과 비교하기도 합니다”라고 말한 뒤, 마치 이러한 해설을 뒷받침하는 시민 의견인 양 붙인 인터뷰가 나온다. 그런데 그 인터뷰에 등장하는 시민이 정작 한 말은 “박상기 법무부장관이 그렇게 얘기한 거는 독단적으로 한 거라 생각하거든요. 그 발언 한마디로 투자자들 심리가 위축되고...”라는 얘기뿐이었다. 그럼에도 “국정 농단보다 코인 규제 더 나빠” 운운한 TV조선의 행태는 과연 시민들의 여론을 제대로 취재한 게 맞는지 절로 의구심을 갖게 하고 있다.
조선일보, ‘반(反) 민생’ 정책 기조가 가상통화 희망 건 청년세대 살리는 길?
한편 조선일보 역시 가상통화와 관련해서 어처구니없는 논조를 보였다. 13일 사설 <“가상 화폐가 마지막 희망”이라는 2030세대의 절규>에서 조선일보는 20~30 청년세대가 가상통화 규제에 반발하는 이면에 “우리 사회에서 희망이 안 보인다는 절박한 현실 인식이 담겨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조선일보는 청년들에게 일자리와 기회를 주기 위해서는 “규제 개혁과 노동·교육·공공·금융 등의 구조 개혁”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조선일보는 “하지만 노조가 반대하고 인기가 없다고 모두 방치해 왔다”면서 “이런 나태와 무책임이 쌓이고 쌓여 사면초가와도 같은 청년 세대의 역경을 낳았다”고 강조했다.
△ 조선일보 역시 가상통화와 관련해서 어처구니없는 논조를 보였다. 조선일보는 지난 1월 13일 사설 <“가상 화폐가 마지막 희망”이라는 2030세대의 절규>에서 청년들에게 일자리와 기회를 주기 위해서는 “규제 개혁과 노동·교육·공공·금융 등의 구조 개혁”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조선일보는 “하지만 노조가 반대하고 인기가 없다고 모두 방치해 왔다”면서 “이런 나태와 무책임이 쌓이고 쌓여 사면초가와도 같은 청년 세대의 역경을 낳았다”고 강조하며 적반하장식의 주장을 내놨다. (사진 : 조선일보 1월 13일 사설 일부 갈무리)
이러한 조선일보의 논조는 한 마디로 적반하장이다. 20~30 청년세대가 가상통화 투자를 통해 일확천금의 꿈을 꾸게 될 정도로 민생이 피폐해진 배경이 바로 1997년 IMF 경제위기 이후 지난 20여 년간 계속된 재벌 ‘갑질’ 방관, 묻지마식 규제철폐, 요금 인상과 공공성을 해치는 민영화, ‘4대강 사업’과 같은 부동산 경기 부양, 비정규직 증가의 방치와 각종 노동탄압 등 반(反) 민생 정책 기조에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선일보는 청년세대의 가상통화 열풍을 빌미로 고장 난 레코드마냥 청년 실업과 사회적 양극화의 원인이 되었던 지난 20여 년간의 낡은 반(反) 민생 정책 기조를 또다시 주장하고 나선 것이다. 참으로 염치없는 일이 아닐 수 없다.
개혁 저지를 위한 <조선>의 속 보이는 프레임 씌우기
이렇듯 조선일보가 “가상통화 규제는 (박근혜·최순실) 국정농단보다 더 나쁘다”면서 ‘갑질’ 방관, 묻지마식 규제철폐, 민영화, 부동산 경기 부양, 노동탄압 등과 같은 반(反) 민생 정책 기조를 강조하고 나선 속셈을 짐작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경제 민주화를 위한 각종 개혁을 저지하기 위해 무슨 수를 쓰더라도 민심 이반을 부추기겠다는 것 아니겠는가.
작게는 바람직한 가상통화 정책 마련을 저해하고, 크게는 우리 경제를 살리고 사회 양극화를 해소하는 것을 가로막는 조선일보의 이러한 행태는 결코 좌시할 수 없는 일이다. 조선일보가 계속 경제 민주화를 위한 각종 개혁을 저지하기 위해 몸부림칠수록, 언론개혁이야말로 개혁의 1순위라는 점만 국민들에게 더욱 상기시켜 줄 따름이다.
*시시비비는? 시시비비는 고정 언론칼럼으로 매주 회원들을 찾아갑니다. 각자 자신의 영역에서 열정적으로 활동하면서도 한국사회의 언론민주화를 위한 민언련 활동에 품을 내주신 분들이 '시시비비' 필진으로 나섰습니다. 앞으로 김성원(민언련 이사), 김수정(민언련 정책위원), 김언경(민언련 사무처장), 김영훈(전 민주노총 위원장), 김유진(민언련 정책위원), 서명준(언론학 박사), 이기범(민언련 편집위원), 이병남(언론학 박사), 이명재(자유언론실천재단 편집기획위원), 이용마(MBC 기자), 장경호(녀름 농업농민정책연구소 부소장), 정민영(변호사)의 글로 여러분과 소통하겠습니다. |
- [2024/05/29] [언론아싸 32회] YTN 민영화 진짜 이유는 ‘줄리’ 보도? | 신장식 조국혁신당 당선인이 ...
- [2024/04/22] ‘건국전쟁’의 거짓말과 보수언론의 이승만 영웅 만들기 | [방방-곡곡 미디어 Talk] 시...
- [2023/05/30] 방송통신위원장 면직 재가는 윤석열 정권의 방송장악 신호탄이다
- [2023/04/11] 정치수사 ‘검찰’과 정파성 강한 ‘언론’의 닮은꼴을 우려하며
- [2023/04/04] ‘방송통신위원회’의 눈물, 악순환을 끊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