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영방송 MBC의 정상화를 위한 물꼬가 트였다. MBC 문화방송의 대주주인 방송문화진흥위원회(방문진)가 지난 11월 13일 이사회를 열고 정권홍보에 앞장섰던 김장겸 전 사장을 해임하면서 공영방송 MBC의 정상화를 위한 첫 단추가 끼워진 셈이다. (중략) 그렇다면, 이제 막 정상화의 길로 들어선 공영방송 MBC가 국민의 방송으로 거듭나기 위해서 해결해야 할 과제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그런데 경제지를 비롯해 이를 전하는 주요 신문의 기사와 사설 제목들을 보자. ‘전속고발권 폐지 너무 서두르는 것 아닌가’, ‘전속고발권 폐지, 묻지 마 고발 대책 있나’, ‘전속고발권 폐지 … 소송남발 대책은 있나’ 등의 제목에서 드러나듯 부작용과 문제점부터 앞세웠다. ‘공정위 전속고발권 폐지 국회도 협조해야’라는 논조는 예외적이었다.
민주언론시민연합은 공영방송 사장의 시선이 정치권이 아닌 국민을 향해야 한다고 본다. 공영방송 존립의 가장 큰 이유는 시청자인 국민의 이익을 대변하고 진실을 전달하는 데 있다. 그런 만큼 시청자인 국민이 공영방송의 사장 후보를 직접 선출하는 게 공영방송의 존재 양식에도 합당하다. 이를 위해 민주언론시민연합은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처럼 만 19세 이상의 국민 100명 이상을 무작위로 선발해 가칭 ‘사장추천위원회’를 구성하자고 제안한다.
문재인 대통령은 11일 ‘호찌민-경주세계문화엑스포 2017’에서 “한국은 베트남에 마음의 빚을 지고 있습니다”라고 영상 축전을 통해 발언했습니다. 베트남전 당시 한국군이 전쟁범죄에 동참한 점을 지적하고 이에 사과할 의사를 표현한 건데요. 전쟁의 당사자는 아니었지만, 우리 역시 참가자로서 사과해야 할 부분이 있었기에 사과 의지를 표명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발언에 대해 동아일보 김순덕 논설주간은 ‘리영희식 반미논리’라며 불쾌감을 드러냈습니다.
오보는 언론사로서는 매우 치명적인 모욕입니다. 따라서 오보가 아님에도 오보라는 비판을 받았을 경우, 대부분 언론사는 입장표명이나 대응을 내놓습니다. 그런데 도대체 어찌된 사정인지 지금까지 그 어떤 언론사도 이에 대한 공식적 반응이나 정정 보도를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민언련은 근거제시가 매우 부족하며 일방적으로 중앙일보의 주장만을 믿으라는 식의 미디어오늘 기사만 믿고 보고서를 정정하고 사과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민언련은 기존 민언련 보고서 속 ‘중앙일보 오보’라는 표현을 ‘중앙일보 오보 논란’으로 정정하겠습니다.
이때도 왜곡을 일삼은 것은 박민식 의원입니다. 박 씨는 “과거 김대중 대통령 또한 국정원의 독대보고를 받았다. 그 내용에는 불법적인 부분도 있었지만, 통치행위의 일환으로 봤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를 근거로 “이번 국정원과 사이버사령부에 대한 수사는 이명박 전 대통령을 포토라인에 세우고 감옥에 넣기 위한 시도로서 자제할 필요가 있다”고 결론내렸습니다“라는 주장을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