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방송 모니터_
국힘 논평 내자 ‘문형배 행번방’ 가짜뉴스 보도량 7배 늘었다
등록 2025.02.21 17:27
조회 122

윤석열 탄핵심판의 최종 변론기일이 2월 25일로 지정됐습니다. 이로써 2024년 12월 27일 첫 변론준비기일이 시작된 후 60여일 만에 탄핵심판 변론이 마무리 국면에 접어들게 됐습니다. 그러나 내란수괴 윤석열과 내란피의자, 국민의힘 소속 정치인, 극우매체, 극우유튜버를 중심으로 시작된 ‘헌재 흔들기’는 더욱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특히 극우언론과 극우유튜버들이 퍼뜨린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에 대한 허위정보가 국민의힘 정치인 발언과 공식입장 등으로 기사화되면서 윤석열 극렬지지자들은 탄핵반대 집회와 문 권한대행 자택 앞 시위에서 허위정보에 기반한 원색적 구호를 연일 외치고 있습니다.

 

‘문형배 허위정보’ 확산 249건 › 정정 84건

민주언론시민연합은 포털사이트 네이버에서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 관련 허위정보가 처음 보도된 2월 11일부터 18일까지 8일간 키워드 ‘문형배 카페’로 검색한 보도내용을 모니터링했습니다. 문 권한대행 허위정보 확산 기사는 249건, 허위정보 정정 기사는 84건 보도됐습니다. 허위정보 확산이 허위정보 정정보다 약 3배나 더 많습니다.

 

허위정보 확산과 허위정보 정정 기사 보도건수 추이를 일별로 살펴봤습니다. 2월 11일 단 2건으로 시작된 허위정보 확산 기사는 2월 13일 157건을 기록하며 폭발적으로 증가했습니다. 박민영 국민의힘 대변인이 극우커뮤니티와 극우매체, 극우유튜버를 통해 확산된 허위정보를 바탕으로 문 권한대행 사퇴를 촉구하는 논평을 발표한 것이 바로 2월 13일입니다. 짜깁기와 허위조작을 통해 헌법재판소를 흔들려는 의도가 다분한 허위정보였지만 상당수 언론은 검증이나 비판은커녕 국민의힘 입장을 주로 실으며 허위정보를 확산하는 데 일조했습니다.

 

표1.jpg

△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 허위정보 확산 vs 정정 일별 보도건수(2/11~2/18) ©민주언론시민연합

 

극우커뮤니티에서 시작된 허위정보, 극우매체‧극우유튜버 통해 확산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이 동문 온라인카페에서 음란게시물에 댓글을 달았다거나 이를 방관했다는 허위정보는 극우커뮤니티에서 처음 나왔습니다. 윤석열 극렬지지자들이 주로 모이는 디시인사이드 ‘국민의힘 갤러리’, ‘국민의힘 비대위 갤러리’, ‘미국 정치 갤러리’에 2월 11일 오후 2시경 문 권한대행의 동문 온라인카페에 음란게시물이 게시됐다는 글이 잇달아 올라왔습니다. 이후 또 다른 극우커뮤니티 ‘일간베스트’에도 오후 3시경 같은 내용이 올라왔습니다.

 

극우커뮤니티에 나돌던 내용은 뉴데일리 <단독/‘문형배 헌재소장 대행 가입’ 대아고 동문 카페서 음란물 공유 파문… ‘행번방’ 논란>(2월 11일 박아름 기자), 더퍼블릭 <“처제와 뜨밤”…문형배 고교 동창 카페, 음란물 논란>(2월 11일 김종연 기자) 등 극우매체를 통해 기사화됐습니다.

 

다음 날인 2월 12일, 구독자 122만 명의 극우성향 유튜브채널 <고성국TV>는 오전 8시 생방송에서 “(문 권한대행이) 음란물이 공유되고 있는 동문 카페에 가입해서 글도 올리고 했던 것들이 확인됐다”며 허위정보를 퍼뜨렸습니다. 마찬가지로 구독자 90만 명의 극우성향 유튜브채널 <가로세로연구소>는 저녁 7시 생방송에서 문 권한대행이 동문 온라인카페에서 음란게시물에 댓글을 달고 미성년자 음란물을 공유했다는 허위정보를 퍼뜨렸습니다.

 

언론의 극우‧국민의힘 받아쓰기 반복

배현진 국민의힘 의원은 2월 12일 저녁 소셜미디어에서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의 동문 온라인카페에서 미성년 음란물에 음담패설성 댓글까지 오고갔고 문 권한대행이 묵과했다는 보도도 있는데, 사실이라면 도의적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박민영 국민의힘 대변인도 2월 13일 논평에서 “해당 커뮤니티(문 권한대행 동문 온라인카페)에는 ‘사법부 최고 존엄도 거부하기 힘듬.. 여고생 XX는 못 참지’라는 내용의 미성년자 음란물까지 게시되었으며 문형배 재판관은 해당 게시물에 직접 댓글까지 달았다”며 극우커뮤니티, 극우매체, 극우유튜브채널에서 떠도는 허위정보를 그대로 옮긴 뒤 문 권한대행 사퇴를 촉구했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오마이팩트/“문형배 재판관이 음란물에 댓글 달았다” 주장은 ‘새빨간 거짓’>(2월 13일 김시연 기자)을 통해 가장 먼저 관련 팩트체크 보도를 냈습니다. 그러나 상당수 언론은 국민의힘 소속 정치인, 국민의힘 논평 등을 인용한 허위정보 확산 기사를 계속 내보냈습니다.

 

결국 국민의힘은 허위정보에 기반한 논평을 낸 지 하루 만인 2월 14일, 문 권한대행이 미성년자 음란게시물에 직접 댓글을 달았다는 논평은 사실관계 점검이 부족했다며 사과했지만 반쪽짜리에 불과했습니다. 박민영 대변인이 같은 날 다른 논평에서 문 권한대행이 동문 온라인카페의 음란게시물을 방관했다는 허위주장을 지속했기 때문입니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2월 17일 문 권한대행 동문 온라인카페에 음란게시물이 공유됐다는 의혹 관련해 총 211건의 신고를 접수했지만, 2009년 일이라 공소시효가 지났기에 문 권한대행의 방조에 초점을 맞춰 보기엔 무리가 있다고 답했습니다.

 

뉴데일리 허위정보 보도건수 20건 압도적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 허위정보 확산 기사 보도건수 상위 5개 언론사를 살펴본 결과, 뉴데일리가 20건으로 압도적이었습니다. 다음으로 더퍼블릭(11건), 파이낸셜뉴스(9건), YTN‧뉴스1(각 8건), MBN‧연합뉴스TV(각 7건)순입니다.

 

표2.jpg

△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 허위정보 확산 기사 보도건수 상위 5개 언론사(2/11~2/18) ©민주언론시민연합

 

박민영 국민의힘 대변인이 허위정보를 바탕으로 2월 13일 문 권한대행 사퇴 촉구 논평을 발표하면서 국민의힘 정치인과 국민의힘 입장을 반영한 허위정보 확산 기사가 폭발적으로 증가한 만큼 여당 주장을 반영한 허위정보 확산 기사가 얼마나 되는지도 살펴봤습니다.

 

표3.jpg

△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 허위정보 확산 기사 ‘여당 주장’ 반영 보도건수 상위 5개 언론사(2/11~2/18) ©민주언론시민연합

 

여당 주장 반영 기사는 총 128건으로 허위정보 확산 기사 249건의 절반을 넘는 51.4%에 달했습니다. YTN이 6건으로 가장 많았고, 뉴데일리‧연합뉴스(각 5건), KBS‧뉴스1‧서울신문‧파이낸셜뉴스(각 4건) 등의 순서입니다.

 

행번방‧야동‧포르노 부적절 용어까지 확산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 허위정보 확산 기사의 문제는 허위정보 확산 자체에만 있지 않습니다. 허위정보와 함께 ‘행번방’, ‘야동’, ‘포르노’, ‘소아성애’ 등 부적절한 용어까지 그대로 확산되는 것이 더욱 큰 문제입니다. 허위정보 확산 기사 249건에서 행번방은 89건, 야동은 14건, 포르노는 7건, 소아성애는 2건 등장했습니다.

 

특히 허위정보 확산 기사에서 가장 많이 등장한 명칭이 ‘행번방’입니다. 문 권한대행의 동문 온라인카페에 음란게시물이 올라왔다며 2020년 발생한 N번방 사건에 빗대어 ‘행번방’이라 칭한 것입니다. 허위정보 확산 기사를 가장 먼저 보도한 뉴데일리가 14건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더퍼블릭(7건), 파이낸셜뉴스(5건), 매일신문(4건), 서울신문‧아시아투데이(3건)순입니다.

 

표4.jpg

△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 허위정보 확산 기사 ‘행번방’ 보도건수 상위 5개 언론사(2/11~2/18) ©민주언론시민연합

 

N번방 사건은 2020년 발생한 심각한 성범죄임과 동시에 인권유린 사태입니다. 디지털 성착취와 성착취 영상물 거래가 집단으로 이뤄졌고 미성년자까지 범죄대상으로 삼았습니다. N번방 사건을 처음 세상에 알린 추적단 불꽃 활동가 출신 박지현 전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은 2월 14일 소셜미디어에서 “N번방 사건으로 인해 고통받은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들을 생각해야 한다”며 “당신들은 성착취물 공유라는 범죄를 문제 삼고 있는가. 아니면 윤석열 탄핵반대를 위해 무리하게 모든 수단을 끌어다 쓰는 것인가”라고 일갈했습니다. 박지아 서울여성회 성평등교육센터장도 2월 16일 경향신문과 인터뷰에서 “누군가를 공격하기 위해 N번방의 자극성만을 이용해 이름을 가져다 붙이면서 피해자의 고통만 재현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그러나 문 권한대행의 방조에 초점을 맞춰 보기엔 무리가 있다는 2월 17일 경찰의 공식 답변에도 허위정보 확산 기사를 처음 보도한 뉴데일리는 <취재수첩/문형배 '행번방' 논란, '물타기' 속 사라진 본질>(2월 18일 박아름 기자)에서 여전히 문 권한대행의 음란게시물 방조를 주장하며 ‘행번방’이라는 명칭을 쓰길 주저하지 않았습니다.

 

* 모니터 대상

2025년 2월 11일~18일 포털사이트 네이버에서 검색어 ‘문형배 카페’로 검색한 뒤 나온 관련 기사 전체

 

<끝>

 

monitor_20250221_015.hw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