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 모니터_
‘유튜브 노란딱지 음모론’, 나서서 부풀리는 보수언론
등록 2019.10.28 18:38
조회 592

최근 보수 언론들은 ‘유튜브 광고제한 정책이 정치적 목적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유튜브는 정책에 따라 유해한 동영상을 노란 달러 표시로 구별하고 있는데, 이 표시가 붙은 동영상에는 광고가 제한되거나 배제됩니다. 유튜브는 부적절한 언어, 폭력, 성인용 콘텐츠, 논란의 소지가 있는 문제 및 민감한 사건 등에 노란 달러 표시를 부여한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유튜브 AI가 영상을 검토하고 광고 제한을 거는 방식입니다. 그런데 보수언론들은 현 정권에 비판적인 의견을 나타내는 유튜브 동영상에만 노란딱지가 부여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이는 전혀 근거 없는 주장입니다.

 

친문 네티즌들이 ‘신고’ 눌러 노란딱지 붙었다는 조선일보

조선일보는 ‘구글의 우파 유튜브 저격설’을 적극적으로 펼쳤습니다. 보수 유튜버 뿐만 아니라 진보 매체와 유튜버에도 노란달러 표시가 붙었다는 것이 여러 차례 확인됐지만, 주장은 사그라들지 않았습니다. 자유한국당 의원들은 24일에는 ‘유튜브 노란딱지, 무엇이 문제인가’ 토론회를 여는 등 구글 정책을 강하게 비판했고 조선일보는 받아썼습니다.

조선일보는 <"빈 영상만 올렸는데 2분만에 노란딱지" 보수 유튜버 반발>(10/22, 윤수정, 강다은 기자)에서 친문 네티즌들이 보수 유튜버들을 신고하는 캠페인을 벌이고 있어 보수 유튜버들에게 노란딱지가 쏠렸다고 주장했습니다.

 

최근 친문 진영은 보수 유튜브 채널 목록을 인터넷에서 공유하며 집단으로 신고 버튼을 눌러 벌칙을 유도하는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한국당 주장은 '구글이 실제 유해성 여부를 따지지도 않고 친문 네티즌의 명단에 오른 보수 유튜버는 무조건 규제하고 있다'는 것이다.

 

조선일보는 신고의 개수와 노란딱지 부여에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봤습니다. 하지만 존 리 구글코리아 대표는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신고 개수와 노란딱지는 전혀 관련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조선일보는 구글의 입장을 실어주면서도 노란딱지가 부여되는 이유가 불명확하다는 입장을 고수했습니다. 조선일보는 문재인 정부 지지자들이 신고를 많이 넣어 보수 유튜버들이 쇠퇴하고 있다는 식의 주장을 펼쳤습니다.

조선일보는 다음날 칼럼에서 직접적으로 의견을 드러내기도 했습니다. <만물상/ 한쪽에만 붙는 노란딱지’>(10/23, 한현우 논설위원)에서는 “현 정권을 비판해 온 한 유튜브 채널이 올리는 영상마다 노란 딱지가 붙자 '방송 테스트'라는 글씨만 나오는 영상을 올려봤다. 2분 만에 노란 딱지가 붙었다고 한다. 이 채널은 "구글코리아가 정권 눈치를 보느라 '블랙리스트'를 만들어 우리 영상에 무조건 노란 딱지를 붙이고 있다"고 했다”고 말했습니다. 한현우 논설위원은 기사 말미에 “친정부 유튜버가 노란 딱지를 불평했다는 소리는 들어본 적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러나 이미 11일 전의 한국경제 기사 <수십만 구독자 있어도노란딱지붙어 적자 운영>(10/12)에서 “지금까지 올린 영상 중 80%에 노란딱지가 붙었다. 사실상 후원금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보면 된다”는 백은종 서울의소리 대표의 발언이 소개됐다는 점에서 한현우 논설위원의 주장은 설득력이 떨어집니다.

사진1.jpg

△한쪽에만 노란딱지가 부여된다고 주장하는 조선일보 기사(10/23)

 

중앙일보, 광화문 집회와 노란딱지 엮어서 보도

중앙일보는 이와 같은 주장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10월 9일 있었던 보수 결집 광화문 집회 이후 노란 딱지 발부가 잦아졌다는 의견을 보도했습니다. <유튜브 '노란딱지'…보수 유튜버 "광화문집회 뒤 발부 잦아졌다">(10/23, 한영익 기자)에서 중앙일보는 “성씨(보수성향 유튜버)에 주장처럼 “10월 들어, 특히 지난 9일 광화문 집회 이후 노란 딱지 발부가 더 잦아졌다”는 게 보수성향 유튜브 관계자들의 공통된 주장이다. (중략) 노란 딱지가 급증하면서 우파 유튜버들의 수입도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광화문 집회와 노란딱지를 엮어서 보도한 중앙일보는 근거 없는 한 유튜버의 주장을 그대로 옮기며 음모론 생성에 가세했습니다. 서울경제 역시 <유튜브 노란딱지기준이 뭡니까?>(10/7, 임진혁 기자)에서 일부 유튜버와 야당의 주장을 소개하는 데 그쳤습니다.

 

보수 유튜버만 노란딱지 받는 것 아니다

보수성향 유튜버 블랙리스트 설이 돌자, 언론들은 펙트체크에 나섰습니다. 먼저 미디어오늘은 <문정부, ‘노란딱지로 정부비판 유튜버 탄압?사실은>(10/15, 정철운 기자)에서 “이 같은 일부 유튜버들의 불만은 ‘신임 방통위원장 취임 이후 정부비판 유튜버들이 언론탄압을 받는다’는 식의 프레임으로 확산될 조짐이지만 사실과 다르다. 소위 ‘친정부’ 성향 유튜버들도 노란딱지를 받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노란딱지를 받은 유튜브 채널에는 ‘서울의소리’가 있었는데, 콘텐츠의 90% 이상에 노란딱지가 붙고 있다고 합니다.

KBS 유튜브 채널인 ‘KBS더라이브’도 <우파 차별이라던 노란딱지, 더라이브에도 붙었다>(10/22) 노란딱지 음모론을 다뤘습니다. KBS더라이브는 자사 콘텐츠 내역 가운데 노란딱지가 붙은 동영상을 공개했습니다. 노란딱지가 붙은 더라이브 콘텐츠로는 ‘조국 전 장관’, ‘화성연쇄살인사건’, ‘여상규 법사위원장 욕설’ 등이 있었습니다.

사진2.jpg

△노란딱지 붙은 자사 영상 공개한 JTBC 보도 캡처(10/24)

JTBC <펙트체크/'노란 딱지' 보수 탄압?>(10/24, 이가혁 기자)도 펙트체크에 나섰습니다. JTBC는 노란딱지를 받은 유튜버들 중에 “진보 성향으로 분류된 유튜버 또 심지어 그냥 귀농생활을 올리고 있는 정치적 색깔과는 관련이 없는 유튜버도 많습니다. (중략) 조국 전 장관 등 정치 상황 때문에 이번에 새롭게 나온 그런 문제가 아닌 겁니다”라고 말했습니다. JTBC역시 자사 콘텐츠에도 노란딱지가 부여된 경우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서 “광고주 입장에서는 최대한 논란거리가 없는 그런 영상에 자신의 광고가 붙기를 원하기 때문에 만약에 영상을 올린 사람이 수익을 내려면 그런 영상들을 올리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보수 유튜버 탄압이다, 또는 블랙리스트가 있다 이런 주장은 객관적인 근거가 더 없다면 말 그대로 주장일 뿐인 상황입니다”라고 전하며 음모론을 일축했습니다.

심지어 자유한국당이 10월 24일 연 긴급간담회 “유튜브 노란딱지, 무엇이 문제인가?”에 참가한 ‘보수 유튜버’중 가장 규모가 큰 ‘신의 한수’의 대표조차도 이런 음모론에 동의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토론회에 참석한 신혜식 대표는 모두발언에서 “10대 유튜버도 계속(노란 딱지) 다 붙는다. 엔터테인먼트 하는 분들, 먹방하는 분들 다 붙는다”며, “이것이 마치 특정 우파 유튜버만 피해 본다고 인식하지는 않았으면 좋겠다”고 말했습니다.

 

근거 없는 소문 부풀리기 자제해야

물론 유튜브 광고제한 가이드라인에 대한 문제제기는 예전부터 있어왔습니다. 유튜브는 2017년 8월 현행 노란딱지 제도를 정착시켰는데, 이때부터 가이드라인에 대한 유튜버들의 반발은 있어왔다고 합니다. JTBC 역시 펙트체크 보도에서 구글이 “광고를 붙이기에 적합하지 않은 영상을 좀 과하다 싶을 정도로 골라내기 시작한 겁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구글 유튜브가 거대한 콘텐츠 산업이 된 만큼 광고 제한은 유튜버들에게 매우 시급한 문제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상황에서 언론이 진영논리로 사안을 해석해 근거 없는 주장을 이어가는 것은 어느쪽에도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언론은 적어도 근거를 명확하게 말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근거가 없다면 이들 보도는 전형적인 받아쓰기식 보도이고, 음모론 생성 보도일 뿐입니다.

 

* 썸네일 : 미디어오늘 이우림 기자

* 모니터 기간과 대상 : 2019년 10월 7일~24일 유튜브 노란딱지를 다룬 언론 보도

<끝>

문의 공시형 활동가(02-392-0181) 정리 주영은 인턴

 

monitor_20191028_336.hw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