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 모니터_
경향은 5‧18 진상규명하고 조선은 전두환 재판에 입 ‘꾹’민주언론시민연합은 518기념재단과 함께 꾸준하게 5·18광주민주화운동 관련된 보도를 감시해왔습니다. 2013년 TV조선과 채널A가 5·18 북한군 침투설이라는 허위조작정보를 방송하는 것을 비롯해 그동안 보수언론이 5‧18 정신을 훼손하는 보도들이 끊임없이 반복 생산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민언련은 2018년에는 <5·18 가짜뉴스 신고센터>를 만들어 온라인상의 5·18 왜곡 가짜뉴스들을 수집해 모니터보고서를 발표하고,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 통신심의 민원을 제기했습니다. 민언련은 언론이 5·18 광주민주화운동의 정신을 올바르게 계승하고, 광주의 진실을 왜곡하지 않도록 2019년에도 꾸준히 모니터를 진행하겠습니다.
올해는 5·18 광주민주화운동(이하 5·18)이 일어난 지 39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1980년, 전두환 신군부는 민주화를 염원하는 광주 시민들을 무자비하게 진압했습니다. 우리는 당시 군부 독재에 맞서 싸운 시민들의 정신을 기리고 당시 계엄군의 민간인 학살과 성폭력 등 반인륜적인 행위를 기억해야 할 것입니다.
그러나 올해도 어김없이 5·18이 북한군의 소행이라는 유언비어가 나왔습니다. 그것도 공당이 주최한 공청회에서 말입니다. 게다가 올해 초, 광주 시민들을 총과 칼로 제압하고 이를 은폐, 모욕한 전두환 씨가 수십 년 만에 광주로 내려가 재판 받은 일도 있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우리 언론은 어떤 역할을 했을까요. 5·18에 대해 망언을 일삼는 자에 대해선 어떻게 보도하고, 전두환 씨의 재판에 대해선 또 어떤 시선을 갖고 보도했을까요.
경향‧한겨레, 보도량에서 압도적
민주언론시민연합은 3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주요 일간지 경향신문‧동아일보‧조선일보‧중앙일보‧한겨레(가나다순)를 대상으로 5‧18 관련 보도를 살펴봤습니다. 총 보도량은 156건으로, 이중 절반 이상(73.08%)이 경향신문과 한겨레에서 나왔습니다.
가장 많이 다뤄진 사안은 ‘전두환 재판’입니다. 전두환 재판이란 전두환 씨가 자서전 <전두환 회고록>에서 5‧18에 대해 증언한 고 조비오 신부를 두고 ‘파렴치한 거짓말쟁이’라고 써 이에 대해 명예훼손 혐의를 받고 있는 사건입니다. 전두환 씨의 재판은 지난 3월 11일 광주에서 열려 이 시기에 기사가 몰렸습니다. 조사 기간 총 68건 보도돼 5‧18을 다룬 전체 보도에서 43.59%를 차지했습니다. 물론 이 또한 경향신문이 20건, 한겨레가 22건 보도해 61.76%에 달하는 기사가 이 두 일간지에서 나왔습니다.
|
자유한국당 망언 |
전두환 재판 |
5·18 진상규명 |
진상조사위 |
기타 |
합계 |
경향신문 |
14 |
20 |
14 |
2 |
9 |
59 |
동아일보 |
3 |
9 |
2 |
- |
3 |
17 |
조선일보 |
3 |
7 |
- |
- |
1 |
11 |
중앙일보 |
4 |
10 |
- |
- |
- |
14 |
한겨레 |
16 |
22 |
5 |
3 |
9 |
55 |
합계 |
40 |
68 |
21 |
5 |
22 |
156 |
△5·18 관련 주요 일간지 주제별 보도량(3/1~4/30) ©민주언론시민연합
자유한국당에서 나온 5‧18 관련 망언은 40건으로 그 다음을 차지했습니다. 이 또한 경향신문(14건), 한겨레(16건)가 많이 보도했습니다. 자유한국당이 망언 3인방에 대해서 징계를 어떻게 내렸는지, 그것이 솜방망이인지 아닌지, 그 외에 국회 윤리특별위원회에 제소된 상황은 어떠한지 등이 이 기사들에 포함됐습니다.
눈에 띄는 것은 5‧18 진상규명에 대한 경향신문의 보도량입니다. 자유한국당의 망언을 보도한 것과 같은 양(14건)으로 5‧18에 대한 새로운 사실을 다뤘습니다.
전두환 씨 재판에 입 다문 조선일보
가장 많이 보도된 ‘전두환 재판’ 항목을 ‘비판’과 ‘전달’로 구분해 일간지들의 보도 추이를 살펴보겠습니다. ‘비판’으로 분류한 경우 제목과 내용에서 확실히 전두환 씨가 재판에서 자신의 혐의를 부인했단 사실을 전하며 이를 비판하고, 또한 전두환 씨의 사죄를 구하는 것이 잘 드러난 기사입니다. 전두환 씨 재판이 열렸다는 점, 재판에서 어떤 소명이 오갔는지 등을 짚은 경우 ‘전달’로 분류했습니다.
|
경향신문 |
동아일보 |
조선일보 |
중앙일보 |
한겨레 |
합계 |
비판 |
10(4) |
3(1) |
1(1) |
2(2) |
6(3) |
22 |
전달 |
10 |
6 |
6 |
8 |
16 |
46 |
합계 |
20 |
9 |
7 |
10 |
22 |
68 |
△전두환 재판에 대한 일간지 보도 분류(괄호는 사설‧칼럼 수)
(3/1~4/30) ©민주언론시민연합
전두환 재판 보도량이 많았던 경향신문과 한겨레가, 이를 비판하는 내용의 기사 또한 각각 10건, 6건으로 많이 냈습니다. 반면 동아일보‧조선일보‧중앙일보는 총 보도량도 비교적 적었고, 대부분 재판을 전달하는 내용에 그쳤습니다.
신문사의 의견을 전하는 지면인 오피니언(사설‧칼럼)면에 실린 기사의 경우도, 경향신문과 한겨레가 비교적 많았습니다. 경향신문의 경우 <사설/광주 역사의 법정에서 거짓과 궤변으로 일관한 전두환>(3/12), <정희진의 낯선 사이/전두환씨와 기억전쟁을>(3/20)이나, 한겨레의 경우 <사설/39년만의 ‘광주 법정’서 여전히 발뺌한 전두환씨>(3/12), <편집국에서/예루살렘의 아이히만, 광주의 전두환>(3/18 석진환 기자) 등이 오피니언에 실린 전두환 씨 재판에 대해 비판적인 사설‧칼럼들입니다.
동아일보 <사설/전두환, 5·18 과오 용서 구할 마지막 기회다>(3/11), 중앙일보 <사설/전두환 전 대통령, 23년 만의 피고인 출석 참담하다>(3/12)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조선일보는 사설이나 칼럼에선 전두환 재판을 다루지 않고 1면 ‘팔면봉’ 코너에 한 마디를 남겼습니다. 팔면봉은 한두 줄 가량으로 된 정치‧사회‧국제부장들의 논평입니다. 3월 12일 팔면봉에서 조선일보는 “광주 간 전두환, ‘사죄 의사’ 물으며 달려드는 기자에게 “왜 이래!” 버럭. 일생 그렇게 살아온 사람.”이라고 평했습니다. 이를 ‘비판’으로 분류해 통계를 내긴 했으나, 내용상 전두환 씨를 비판한 것이 맞는지 참 애매모호합니다.
전두환 재판 다음 날, 1면의 온도차
△ 전두환 씨 재판 다음 날 일간지 1면 사진 (3/11)
(좌측 상단 동아부터 시계 순서대로 경향‧중앙‧조선‧한겨레)
전두환 씨 재판 다음 날인 3월 12일, 일간지 1면 사진은 대부분 비슷했습니다. 전두환 씨가 11일 재판에 출석하면서 ‘(5‧18 당시) 발포 명령 부인하십니까’라고 묻는 기자의 질문에 “이거 왜 이래!”라고 소리친 것을 경향‧동아‧중앙‧한겨레가 1면 사진으로 실은 것입니다. 이는 앞서 ‘광주 시민들에게 사과할 생각 있으시냐’는 다른 기자의 질문에 대답하지 않은 후로, 그가 광주에 도착해 처음 꺼낸 말이었습니다. 재판 이후 전두환 씨 측은 언론을 통해 ‘취재진에 놀라서 나온 반응일 뿐’이라고 알렸지만, 당시 현장에 있던 광주 시민들은 매우 분노한 지점이었습니다.
조선일보의 이날 1면은 다른 일간지와 달랐습니다. 1면 기사 <32년만의 광주행…법정에 선 전두환>(3/12 김성현 조홍복 기자)의 사진으로, 전두환 씨가 재판을 마친 뒤 법정을 나서는 모습을 담았습니다. 사진 속 전두환 씨는 다소 놀란 표정을 짓고 있습니다. “이거 왜 이래!”하고 소리치는 대신 법원을 나서며 취재진에 당황한 사진을 조선일보는 1면에 실었습니다.
경향신문의 진상규명 보도 내용은?
경향신문은 5‧18과 관련해 총 59건을 보도하면서 그중 23.73%가량(14건)을 진상규명과 관련한 기사로 채웠습니다. 5개 일간지 중 진상을 알리는 보도가 많았던 경향신문의 기사는 대체 어떤 내용이었을까요.
경향신문은 지난 8일부터 11일까지 ‘5‧18 기간 계엄군이 공군 수송기로 시체를 운반했다’는 내용의 비밀문건을 입수해 보도했습니다. 시신이 광주 외부로 옮겨졌다는 기록이 담긴 군 문건이 발견된 것은 처음입니다. <단독/5·18 때 공군 수송기 김해로 시체 옮겼다>(4/8 강현석 기자)에 따르면 “경향신문이 입수한 ‘소요진압과 그 교훈’이라는 군의 3급 비밀문건에는 5·18 기간 공군 수송기를 이용해 ‘시체’를 옮긴 기록”이 나왔습니다. “이 문건은 육군본부가 5·18민주화운동 1년 뒤인 1981년 6월 ‘광주사태의 종합분석’이라는 부제로 243권만 만들”었습니다.
“문건 110쪽에는 5·18 당시 공군의 수송기 지원 현황이 ‘공수지원(수송기)’이라는 제목의 표로 작성돼 있”어 날짜와 함께 운항한 구간과 공군이 무엇을 실어 옮겼는지 등이 적혀 있습니다. 이중 “‘김해~광주’를 운항한 수송기 기록 옆에 ‘시체’라고 적혀 있”다고 경향신문은 밝혔습니다. “공군 수송기가 김해로 나른 화물 중에 시체가 포함됐다는 의미로” 경향신문은 해석했습니다.
<단독/군 사망자는 ‘영현’으로 표기…시체는 일반 시민 가능성>(4/8 강현석 기자)에서는 “군은 또 임무 중 사망한 군인을 ‘시신’이나 ‘시체’ 등으로 적지 않고 죽은 사람을 높여 부르는 ‘영현’으로 표기한다”면서 “공군 수송기가 수송한 ‘시체’는 군 사망자가 아”닌 일반 시민일 가능성이 높다고 경향신문은 밝혔습니다. “5‧18 당시 행방불명된 사람은 현재까지 76명에 이르지만 1997년부터 광주지역에서 진행된 11번의 암매장 발굴에서는 단 한 구의 시신도 찾지 못했다”는 사실을 돌이켜 볼 때, 신군부가 시민들을 학살한 증거를 숨긴 게 아니냐는 의혹을 가질만한 보도였습니다. 39년이 지나왔으나 상당 부분 의혹으로 남아 있는 5‧18. 우리가 알아내야 할 진실이 여전히 많다는 것을, 경향신문이 보여주었습니다.
* 모니터 기간과 대상 : 2019년 3월 1일~4월 30일 경향신문,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지면)
<끝>
문의 조선희 활동가(02-392-0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