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보도_
전북일보, 국민의당 각종 논란에도 더불어민주당에는 ‘불리한 제목’만, 국민의당에는 ‘유리한 제목’만 달아
등록 2017.04.24 16:54
조회 286

신문 모니터의 목표는 선거보도의 보도량을 집계하고, 공정성, 유익성, 유해성을 판단하는 데 있습니다. 보도의 공정성은 정당의 등장빈도 및 정당별 유‧불리를 나타내는 제목 표현의 경향성으로 살펴보겠습니다. 보도의 유익성은 크게 세 가지를 점검합니다. ① 정책의 소개나 정책 검증 보도가 있었는지 ② 의혹 제기에 대한 사실 확인 혹은 사실 검증 보도가 있는지 ③ 시민사회 여론을 소개하고 반영하였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보도의 유해성은 그동안 선거관련 보도에서 지속적인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던 여러 문제유형의 등장유무를 통해 판단해보고자 합니다.

 

2017대선미디어감시연대는 대선 관련 전북 지역 신문보도 모니터를 진행하고 매주 1회 양적 분석 보고서를 발행하고자 합니다. 대선 관련 보도란 신문의 경우, 총 4개 신문의 지면에서 “후보, 선거, 대선, 공약, 지지율, 지지층, 대통령” 등과 같은 단어가 제목 혹은 본문 중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로 한정했습니다.

 

 

1. 보도량: 선거 관련 보도 일주일간 182건… 전북일보 54건으로 가장 많아

 

5당의 5.9 대선 후보자가 확정된 다음날인 4월 6일부터 4월 14일까지 총 7일 간 4개 신문의 선거 관련 보도를 양적으로 분석했다. 각 신문의 선거 관련 보도 건수를 살펴보면 전북일보가 54건, 전북도민일보가 52건, 전라일보 39건, 새전북신문 37건이다.

총 182건의 대선 기사는 스트레이트 기사가 전체 139건(76.4%)을 차지했고, 기획기사는 14건(7.7%), 사설과 칼럼이 각각 13건(7.1%), 인터뷰는 3건(1.7%) 순으로 나타났다. 

 

271C733858FDA4C822EFB8 

 

지난 7일 동안 선거 관련 보도가 게재된 면으로 분석해 봤다.

 

전북일보와 전북도민일보의 경우 대선 관련 보도가 1면과 오피니언면에 비중 있게 실렸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대선’이 중요한 의제로 작용했음을 반영한다. 전북일보는 1면에 보도된 기사가 20.3%(11건)로 나타났다. 이는 자체 기획기사인 <전북일보가 제안하는 대선공약> 보도와 함께 전북일보 회장, 사장 부사장이 활동하고 있는 <새만금새전북21포럼>과 <정책행동-전북앞으로> 모임에서 자체 제안한 7대 대선공약을 주요하게 보도한 결과로 보인다. 전북도민일보의 경우도 1면에 17.3%(9건)의 기사를 배치했는데 주로 전북도가 제시한 공약과 후보들이 제시한 공약을 ‘전달’하는데 집중하고 있다.

 

반면 전라일보와 새전북신문의 경우 대부분의 보도가 2~5면(종합면, 사회면)에 집중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라일보는 전체 보도 중 79.5%(31건)가 2~5면에 배치되어 있었으며 새전북신문은 83.8%(31건)가 배치되어 있었다.

 

자체 기획기사는 전북일보와 전북도민일보에서만 진행되었다. 전북일보는 <전북일보가 제안하는 대선공약>이라는 제목으로 언론사 자체적으로 지역에서 주요한 의제를 설정해 대선공약으로 제시하고 있다. 전북도민일보는 <19대 대선과 전북>이라는 제목으로 연령별/ 부동층/ 스윙층 등으로 나누어 민심과 판세를 분석했다.

  2462273858FDA4CB1385F4

 

기사 작성 주체별 분석을 보면 눈에 띄는 지점이 있다. 통신사 제공/ 서울 주재 기자 작성/ (한국지역언론인클럽과 같은) 공동 기획 기사로 구분한 결과 새전북신문의 통신사에서 제공한 기사 이용 빈도가 가장 높다. 선거 관련 기사의 24.3%(9건)가 통신사 제공 기사다. 또한 서울 주재기자가 작성한 기사가 전체 선거보도의 51.4%를 차지한다. 이는 주로 수도권에서 발생한 대선 뉴스를 전북지역에 전달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고 유추할 수 있다.

 

 

2. 보도의 유익성 판단: 단순 정책 제공 보도 많고 정책․사실검증 보도는 찾기 어려워

 

선거 관련 보도에서 유익성은 크게 3가지 항목을 중심으로 파악했다. 첫째 공약이나 정책에 대한 정보 제공 여부다. 이는 다시 세부적으로 정당, 후보자, 또는 지자체에서 제시하는 정책을 단순 소개하는 경우, 정책을 소개하거나 구체적인 내용을 비교 혹은 실현 여부를 언론사에서 검증한 경우, 언론사 자체적으로 정책을 제안하는 경우다.

두 번째는 선거법 위반과 같은 문제에 대한 검증, 의혹 제기에 대한 사실 검증 여부다.

세 번째는 시민사회 여론을 소개한 경우를 체크했다. 선거에 대한 온오프 통합 시민 반응, 매니페스토 운동, 시민단체 정책 제시, 투표 독려와 같은 캠페인 등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다.

 

위 세 가지 사례를 살펴본 결과 유익한 보도로 총 55건의 보도가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세부적으로 정책‧공약을 제공한 기사는 총 34건이 보도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전북일보가 13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전북도민일보 9건, 새전북신문 8건, 전라일보 4건 순으로 정책 제공 보도량이 집계됐다. 하지만 전라일보와 새전북신문의 경우 제공된 정책 보도는 검증이나 제안보다는 단순 정보 제공에 머무르고 있었고 네 신문사 모두 공약과 정책을 검증하는 시도는 거의 전무했다. 각종 의혹 관련 사실검증을 진행한 보도도 찾기 어려웠다.

 

시민사회 여론을 소개한 보도로는 전북일보가 11건으로 가장 많았고 전북도민일보 5건, 새전북신문 3건, 전라일보가 2건이었다. 하지만 이를 자체 기사와 외부 칼럼으로 나눠보면 전북도민일보 , 전라일보, 새전북신문은 자체적으로 시민사회 여론을 소개하는데 소극적이었음이 드러난다.

  2334DD3858FDA4CD159D6A

 

 

3. 보도의 유해성 판단:

    더민주 국민의당 학생 동원 논란에 정당 공방•주장•견해 그대로 옮긴 “따옴표 보도”만 있어

 

대선 관련 신문보도를 일일이 읽어보면서, 문제의 유형을 나눴다. 모니터 기간 중 드러난 문제 유형으로는 ‘경마성 보도’, ‘지역주의 보도’, ‘정치혐오성 보도’, ‘후보 줄서기’로 나타났다.

 

263B763858FDA4CF0DA2E9

 

가장 두드러지는 문제 보도 유형은 <정치혐오성 보도>로 총 30건의 보도가 있었는데 이는 이 시기에 국민의당의 ‘원광대 학생 경선 불법 동원 논란’, ‘안철수 후보 조폭 연관 논란’이 발생하면서 민주당과 국민의당 간 공방과 의혹 제기가 있었기 때문으로 파악된다. 특히 네 신문사 모두 앞의 의혹 제기 내용에 대해 정당 간 감정 다툼과 공방을 중개하는데 머무르면서 정치 전체에 대한 유권자의 냉소를 가져오게 할 우려가 있다. 정책에 대한 문제도 실현 가능성에 대한 평가나 검증 없이 후보자 간 정치공방으로 보도하고 있는 상황이다.

 

전라일보는 정치혐오성 보도가 가장 많은 것(11건)으로 분석되고 있는데 따옴표 보도의 문제가 심각하다. 신문의 제1제목(큰제목)에서 큰따옴표 안에 한 정당의 주장이나 논평을 그대로 옮겨 놓은 경우를 지적했는데 이 경우 해당 정당의 주장이나 견해를 신문사가 밀어주는 경향이 있다고 보여 문제성 보도라고 지적된다. 예를 들면 <김춘진 "안철수, 김종인, 박지원 정치적 욕심에 이탈">(4/10), <"국민의당 '차떼기 불법 경선' 반성해야">(4/12), <"국민의당 경선 대학생 동원, 개인이 한 일">(4/13), <"국민의당, 경선 대학생 동원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 민주당 도당, 책임감 촉구>(4/14) 등이 있다. 전북도민일보에서도 10건의 보도가 있었으며 전라일보와 유사한 흐름을 보인다.

 

지역주의 보도도 24건이 있었다. 대선 후보자가 전북 출신은 아닌지라 출신지역에 대한 연고주의는 없었지만 대신 전북 의원들이 주요 직책을 맡는지에 대한 보도가 주요하게 등장했다. 또한 전북 표심을 강조하는 경우도 잦았다.

이러한 경향은 전북도민일보에서 두드러진다. 예를 들면 <국민의당 선대위 구성 전북 ‘홀대’>(4/14), <“전북민심 잡으려면 ‘메가플랜’ 내놔라”>(4/6), <文-安, 전북 벌써 잊었나 - 경선 중 현안 지원 약속하며 '농익은 구애' 보내더니 2주 이상 발길' 뚝 '찬밥 신세 전락 우려 볼멘소리>(4/12), <"전북 퍼스트" 외친 국민의당, 선대위 구성은 변방 취급>(4/13), <안 보면 멀어진다는데… 전북 몇 번이나 올까>(4/14), <도의원 47% "적정 전북 몫은 도민 수긍할 수준">(4/7) 등이다.

 

 

4. 신문 제목으로 보는 정당별 유불리 파악:

    전북일보 더불어민주당에는 불리한 제목만, 국민의당에는 유리한 제목만 달아

 

신문의 제목을 중심으로 해서 정당별 유불리를 분석했다. 특정 정당에게 유리하거나 긍정적으로 작용할 경우와 이와는 반대로 불리하거나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 경우를 별도로 코딩했다. 제목은 표제와 부제를 모두 포함해서 분류했으며 사설의 경우는 본문까지 모두 읽고 유불리 작용을 판단했다. 제목의 표현으로 반사 피해나 이익을 얻는 경우에도 유불리를 체크했다.

23490B3858FDA4D12A2A02

 

신문 기사의 제목에서 주초점 대상 중 특정 정당이나 후보자에게 유리하거나 긍정적인 표현(작용)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는 총 35건이었다. 반대로 제목에서 특정 정당에게 불리하거나 부정적인 표현(작용)의 경향을 사용한 경우는 총 48건으로 분석됐다.

 

특정 정당이나 후보자에게 불리하거나 부정적인 표현(작용)으로 사용된 제목 중에 쓰인 단어는 주로 “논란”, “의혹”, “특혜”, “수사”, “난타”, “홀대”, “변방” 등이 있었고 “반문연대”, “비문”의 경우도 더불어민주당에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경우로 분류했다. 이러한 표현이 가장 빈번하게 연결된 정당은 더불어민주당(22건, 45.8%)과 국민의당(22건, 45.8%)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북일보 <문재인 선대위 구성 잡음… 전북 인사 배려 미흡>(4/10), 전북도민일보 <"전북 퍼스트" 외친 국민의당, 선대위 구성은 변방 취급>(4/13)등이 있다.

국민의당의 경우 부정적 표현(작용)이 높았지만 긍정적 표현(작용)도 높았던 것으로 확인된다. 긍정적 표현 중 68.6%(24건)가 국민의당에 적용되었다. 예를 들면 새전북신문 <국민의당, 경선 '성공' 자평… 안 지지율 상승>(4/7), 전라일보 <"안철수 지지">(4/14) 보도가 그러하다.

 

- 전북일보, 더불어민주당에 부정적 표현만, 국민의당에는 긍정적 표현만 (4/6~14)

 

전북일보는 더불어민주당에 대한 긍정적 표현(작용) 보도가 전무하지만 부정적 표현(작용)의 경우는 7건이다. 반면 국민의당에 대해서는 부정적 표현은 없으며 긍정적 표현이 7건으로 분류된다. 전북일보는 눈에 띄게 더불어민주당에는 불리, 국민의당에는 유리하게 제목을 달았다고 평가된다. 예를 들면 같은 후보자 자녀 의혹에도 문재인 후보 측에는 <문측 "아들 취업특혜 의혹 제기 하태경 고발">(4/12>로 네거티브적인 표현을 사용했지만 안철수 후보에게는 <안측, 딸 재산내역 공개… "부동산, 주식 전무">(4/12)로 안 후보가 해명한 내용 중심으로 제목을 달았다.

 

 

5. 전북일보, 유익 보도 높지만 더불어민주당-국민의당 학생 동원 논란 침묵해

 

전북일보의 모니터 기간 중(4/6~14) 대선 보도 건수는 총 54건으로 네 개의 일간지 중 가장 보도량이 많다. 또한 전체 전북일보 대선 보도 54건 중 44.4%인 24건이 유익 보도 건수도 네 개 일간지 중 가장 높다. 반면 유해 보도 건수는 15건으로 네 개 일간지 중 가장 낮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데이터만 놓고 볼 때 전북일보의 보도 행태는 아주 바람직하게 평가된다.

 

하지만 전북일보는 3월 중순 지역 언론을 뜨겁게 만들었던 문재인 후보 지지모임 우석대 학생 동원 논란을 전혀 보도하지 않는다. 우석대 태권도 학과 학생 동원 논란의 원인인 <새로운 전북포럼>의 공동대표가 안도현 우석대 교수이다. 또한 우석대 태권도 학과의 경우 교수 자택과 학교에 검찰의 압수수색이 진행되면서 사건이 확대되었으나 이에 대한 보도는 전혀 없었다. 이는 우석학원 이사장을 맡고 있으며 전북일보 사주이기도 한 서창훈 회장의 입지를 고려한 전형적인 침묵 행태로 보인다.

4월에 있었던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 조폭 논란과 원광대 학생 국민의당 경선 동원 논란에도 전북일보는 보도하지 않았다. 이는 더불어민주당의 선거법위반 논란에 침묵하면서 국민의당 동원 논란에도 침묵할 수밖에 없는 자충수에 빠졌다는 평이다. 때문에 전북일보의 유해 보도 건수가 낮게 집힌 이유는 전북일보의 자발적 노력에 의한 것이 아닌 의혹 검증에 대한 의도적 회피에서 비롯된 것이다.

 

사주의 방패막 역할에 충실하기 위해 국민의 알권리를 제약하는 보도행태를 보인 전북일보, 의혹 검증이라는 언론의 역할을 언제까지 저버릴 것인가? <끝>

 

 

 

*모니터 기간과 대상 : 4월 6~14일, 전북일보, 전북도민일보, 전라일보, 새전북신문 (신문 지면에 한함)

문의 손주화 전북민주언론시민연합 사무국장(063-285-85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