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 모니터_
보 개방에 ‘외지인’ 환경단체 ‘지역’ 농민 대립구도 부각한 조선
등록 2017.06.02 18:43
조회 598

1일 4대강 16개 보 중 6개 보의 수문이 일제히 개방됐습니다. 이번 보 수문 개방을 둘러싸고 불거지는 우려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하나는 가뭄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수문 개방으로 농업용수 확보에 차질이 생기는 것 아니냐는 것. 다른 하나는 반대로 이 정도의 소극적인 방류로는 녹조 문제 해결 등 수질개선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정부는 가뭄 우려에 대해서는 환경부·농림축산식품부·국무조정실·국토교통부 합동 브리핑을 통해 농업가뭄이 심한 경기 남부와 충남 서부 지역과 이번에 개방되는 보는 거리가 멀어 집수유역이 다른 만큼 별 관련이 없음을 밝혔습니다.


또한 개방 수위 문제에 대해서는, 지난 정부에서 양수장 취수구 높이를 높여 놓아 당장 ‘수문 전면 개방’ 수준으로 수위를 낮추게 되면 취수구가 수면 위로 올라오기에 내린 결정이라며 농업용수 사용 시기가 끝나면 보의 수위를 더 내릴 것이라 설명했습니다. 


이날 6개 일간지는 이와 관련해 모두 현장 르포 기사를 내놓았습니다. 수문이 개방된 보를 찾아 농민과 주민, 환경단체의 반응을 전달하고, 거기에 추가적으로 전문가 해석이나 정부의 입장을 덧붙이는 식이었습니다. 그러나 이번 보 수문 개방을 바라보는 입장 차이는 뚜렷했습니다.  

 

하나. 가뭄 지역과 보 개방 지역이 불일치한다는 것을 전달했는가

 

지도와 함께 ‘가뭄과 무관’ 부각한 경향·한겨레
우선 이날 정부가 공개한 ‘농업가뭄지역과 상시 개방되는 4대강 6개 보 위치’ 지도를 지면에 실은 매체는 경향신문과 동아일보, 한겨레뿐이었습니다.

 

이 중 경향신문과 한겨레는 각각 <상시 개방 6개 보, 가뭄지역과 직접 연관 없다>(6/2 송윤경 기자 https://goo.gl/mkP1JK)와 <가뭄지역, 4대강 보와 떨어져…수문개방과 무관>(6/2 김정수 선임기자 https://goo.gl/1axgqY)이라는 별도의 기사를 통해 보 개방 지역과 가뭄지역의 집수유역이 달라 직접적 연관이 없음을 부각했습니다.

 

특히 한겨레는 환경운동연합의 “현재의 가뭄 보도와 정부의 대책은 다분히 과장된 측면이 있다. 가뭄 대책을 핑계로 타당성 검증도 없이 도수로 사업, 저수지 증설, 관정 개발 등을 남발하고, 4대강 보 수문 개방을 반대하는 명분으로 삼는 것은 아닌지 우려스럽다”는 논평을 덧붙이기도 했습니다. 

 

 

‘가뭄’과 ‘4대강 보 방류’ 정보 뒤섞어 전달한 동아  
동아일보의 경우 지도는 르포 기사인 <농민들 “농사 못짓는다” 반발… 환경단체는 “완전 철거” 시위>(6/2 강정훈·장영훈·이형주 기자 https://goo.gl/yafJpn)에 첨부해 놓았는데요. 해당 기사에는 지도에 대한 설명이나 해설이 담겨있지 않습니다. 


대신 동아일보는 별도의 <가뭄 20일까지 이어지면 저수지 123개 ‘바닥’>(6/2 이미지 기자 https://goo.gl/bXr0ZW) 보도를 통해 집수 유역이 달라 농업용수 조달에 문제가 없을 것이라는 정부의 입장을 전달했습니다. 그러나 문제가 없었던 것은 아닙니다.


우선, 정부가 이미 “보들이 위치한 강의 본류에 물을 내려 보내는 상류의 다목적 댐 저수율이 40.7%”로 “예년 평균 저수율 39.1%와 비교할 때 104% 수준”에 달하고 있음을 밝힌 바 있고, 동아일보도 기사 내에 “현재 6개 보 상류의 다목적댐 저수율은 예년 대비 104% 수준을 보이고 있다”고 전달해놓고, 동아일보는 이 뒤에 곧바로 “하지만 기준 전국 저수지의 평균 저수율은 57%로 평년(73%)보다 한참 낮다. 따라서 이달 10일까지 큰비가 내리지 않으면 저수지 57곳, 20일까지 안 오면 123곳이 바닥을 드러낼 것으로 전망된다”는 지적을 덧붙였습니다. 이는 다소 납득하기 어려운 구성인데요. 수문 개방과 가뭄의 연관성을 지적하려면 중요하게 봐야 할 것은 ‘전국 저수지의 평균 저수율’이 아니라 ‘6개 보 상류의 다목적댐 저수율’이기 때문입니다. 


이 같은 ‘뜬금없는 딴지’는 동아일보가 ‘가뭄’과 ‘4대강 보 개방’이라는 별개의 사건을 뒤섞어 전달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 해당 기사는 네 단락으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첫 단락과 두 번째 단락에서는 환경부의 가뭄과 보 개방은 관련성이 적다는 해명과 이후 수위를 추가로 낮추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입장을 전달하고 있으나, 세 번째 단락과 네 번째 단락에서는 전국 저수지의 평균 저수율이 평년보다 낮아 큰 비가 없이는 상당수의 저수지들이 바닥을 드러낼 것이라는 사실과 국민안전처의 가뭄 대비 사업에 대한 계획을 전달하고 있습니다. 


즉 동아일보는 4대강 보 개방과 관련한 정보를 전달하다가 ‘전국 저수지 평균 저수율’을 운운하며 급작스럽게 전국의 ‘가뭄’ 문제로 시선을 돌리고 있는 셈인데요. 이렇게 ‘가뭄’과 ‘4대강 보 개방’이라는 별개의 사건을 뒤섞어 전달하면 사실관계와는 무관하게 두 사건이 연관이 있는 것처럼 보이기에 유의해야 합니다.

 

실제 한겨레와 한국일보의 경우 정부의 가뭄대책 추진 상황을 별도의 <농번기 심각한 가뭄에 정부, 166억 추가 지원>, <경기․충남 이어 전남까지 가뭄 확산… 정부 166억 긴급 투입> 기사를 통해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 줄로 ‘퉁 친’ 조선․중앙…한국은 언급 없음
조선일보와 중앙일보는 지도에 대한 설명 없이 관련 기사 말미 정부 입장을 한 줄 정도로 전달했습니다.

 

조선일보는 <보 열리자… 환경단체는 환호, 농민은 한숨>(6/2 박원수·조홍복 기자 https://goo.gl/Oexp25)의 마지막 문장으로 “환경부, 농림부, 국토부는 이날 합동 브리핑을 열고 ‘개방되는 6개 보는 가뭄 지역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고 했다”를 덧붙여 놓았습니다. 


중앙일보는 <4대강 보 6개 개방, 지켜본 농민·환경단체 말싸움>(6/2 신진호·김윤호·김호·이은지·김기환 기자 https://goo.gl/IstJJs)의 끝에서 두 번째 문단을 통해 “정경윤 환경부 물환경정책과장은 ‘농사 가뭄이 심한 경기 남부, 충남 서북부 지역은 이번에 개방하는 6개 보와 거리가 상당히 떨어져 있다’고 설명했다”고 전했습니다. 마지막 문장은 “정부는 국무조정실장 주재 ‘통합 물관리 상황반 회의’를 통해 가뭄 대책 추진 상황을 일일 점검키로 했다”입니다. 


한국일보는 이 사안을 지도로도, 기사 내 문장으로도 전달하지 않았습니다. 

 

 

둘. 현장의 각기 다른 목소리를 제대로 전달했는가

 

조선 제외하고는 모두 농민·주민 간에도 이견 있음을 전달
조선일보를 제외한 5개 일간지는 환경단체 뿐 아니라 지역 주민과 농민 간에서도 입장에 따라 수문 개방에 대해 각기 다른 의견이 있음을 전했습니다.  


경향신문은 <막힌 물길 다시 텄지만… 수문 더 열어야 녹조 개선>(6/2 김정훈·백경열·권순재·박태우 기자 https://goo.gl/yrXHOS)에서 보 철거를 요구하는 환경단체와 어민들의 목소리를 중점적으로 전달한 뒤 “농민들의 반응은 엇갈렸다”고 덧붙였습니다. “수문을 열어도 논이 강가에 있어 물 공급은 잘되고 있다”고 말하는 농민도 있지만 “일부 주민은 정부의 일방적 조치라며 반대의 뜻을 나타내기도 했다”는 것이지요. 


한겨레도 비슷합니다. <수문 앞 하얀 물거품…4대강 보 5년만에 ‘숨통 틔웠다’>(6/2 최상원·김일우·송인걸·안관옥 기자 https://goo.gl/ql8PoA)에서 한겨레는 “환경단체와 어민·농민들은 강이 예전의 모습을 회복하기 시작하는 것을 환영했다. 일부에선 가뭄에 물을 내보낸다며 반대하는 목소리도 나왔다”며 수문 개방을 기뻐하는 수박 등 하우스 작물 농사 농민의 입장과 가뭄을 걱정하는 주민의 목소리를 모두 전했습니다.  


한국일보는 <“바닥의 썩은 뻘은 안 없어질 텐데…” “농민엔 물어보지도 않고…”>(6/2 이준호·전혜원·김민규 기자 https://goo.gl/nJgt16)를 통해 수문 개방에 일부 주민들은 환성을 질렀다면서도 “보 주변 농민들은 수문 개방으로 인한 농업용수 차질이 불가피할 것이라며 우려하고 있다”며 이와 관련한 다양한 우려의 목소리를 전달했습니다. 


동아일보조차 <농민들 “농사 못짓는다” 반발… 환경단체는 “완전 철거” 시위>(6/2 강정훈·장영훈·이형주 기자 https://goo.gl/yafJpn)에서 “환경단체는 개방을 환영하면서 철거까지 주장했다. 반면 농민들은 보 개방이 가뭄 피해를 키우지 않을까 우려했다”고 말한 뒤 기사 말미에는 “다만 마을의 위치와 재배하는 작물에 따라 다른 주장을 펼치는 농민도 있었다”는 사실을 덧붙였습니다. 

 

환경단체 VS 농민·주민 구도 부각한 조선
반면 조선일보는 ‘외지인’인 환경단체의 주장과 이에 반발하는 지역 농민들의 목소리를 단순 대결 구도로 부각해 전달했습니다. 

 

K-009.jpg

△ ‘외지인’인 환경단체와 지역 농민들의 대립구도 부각한 조선(6/2)

 

조선일보의 현장 르포기사인 <보 열리자… 환경단체는 환호, 농민은 한숨>(6/2 박원수·조홍복 기자 https://goo.gl/Oexp25)는 제목과 기사에서 모두 ‘환영 퍼포먼스’를 하는 시민단체 회원들과 “왜 남 농사짓는 데 외지인들이 와서 물을 빼라 말라 간섭이냐”며 수문 개방에 불만을 터트리는 농민들의 모습을 계속 대비하여 보여줬습니다. 다른 매체 기자들은 모두 만난 ‘보 수문 개방을 환영하는 주민과 농민’을 어째서인지 조선일보 기자들은 단 한 명도 만나지 못한 모양입니다. 덧붙여 조선일보는 이날 <팔면봉>(6/2 https://goo.gl/ydibkm)을 통해 “대통령 지시와 농심 사이에 낀 정부. 4대강 보 수문 제한 개방. 녹조도 못 잡고 농민 애만 태우는 꼴”이라 지적하기도 했습니다. 

 

 

셋. 기타 특이점  

 

기상스포츠 등 레저 문제 언급은 동아·조선만
농민의 고민을 앞세우면서도 이 와중 동아일보와 조선일보는 ‘수상스포츠’ 등의 운영에 차질이 빚어질 것을 우려하기도 했습니다. 


먼저 동아일보는 <농민들 “농사 못짓는다” 반발… 환경단체는 “완전 철거” 시위>(6/2 강정훈·장영훈·이형주 기자 https://goo.gl/yafJpn)에서 금강 공주보 개방과 관련해 충남도의회 윤석우 의장과 조길행 도의원(공주2)의 “가뭄으로 고통을 겪는 농민들은 물 한 방울이 아쉽고 백제문화제 수상공연, 수상스포츠 등에도 차질이 불가피하다”는 발언을 소개했습니다. 


조선일보는 더 노골적인데요. 아예 <기고/보 개방, 장마 시작 후 해도 안 늦어>(6/2 우효섭 교수 https://goo.gl/4RzEY6)를 통해 “지금의 수문 개방은 수질 개선 효과는 미흡하면서 아까운 물만 흘려보내는 것일 수 있다”며 “소수력 발전과 수변 공원 운영에도 지장을 주고 수상 스포츠 활동도 위축될 것”이라는 주장을 소개했습니다. 

 

한겨레는 MB정부에 녹조 책임 묻는 기사 1면 배치 
이날 한겨레는 1면에 4대강 녹조 문제의 책임이 이명박 정부에 있다는 지적을 담은 <4대강 사업때 ‘녹조라떼’ 예측 부실했다>(6/2 최상원·허승 기자·김정수 선임기자 https://goo.gl/0kWGfI)를 배치했습니다.

 

해당 기사는 ‘국토해양부 4대강 살리기 추진본부’가 2009년 7월 펴낸 <4대강 살리기 마스터플랜> 보고서와 이후 4대강 사업 계획 단계에서 정부가 펴낸 공식자료 등과 함께 “(이명박) 정부가 내부적으로 녹조 문제의 심각성을 파악하고도 4대강 사업을 빨리 진행하기 위해 ‘환경영향평가서’ 등 공식자료에 이 문제를 거의 언급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 “(이명박) 정부가 4대강 사업 추진 차질을 우려해 녹조 발생 가능성을 숨겼을 것이라는 합리적 의심을 할 수밖에 없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을 중점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모니터 기간과 대상: 2017년 6월 2일 경향신문,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한국일보 (신문 지면에 한함)

 

monitor_20170602_211.hw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