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 모니터_

093

문재인, ‘빨갱이’인지 꼭 검증하자는 조선일보 김대중
2017년 2월 14일
등록 2017.02.14 17:13
조회 1218

2월 14일 신문에서 조선일보 김대중 고문이 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를 겨냥해 또다시 ‘색깔론’ 카드를 꺼내들었습니다. 대통령이 되고 싶다면, 안보관과 대북관을 분명히 밝혀야 한다는 주장인데요. 내용을 살펴보면 이미 여러번 해명했거나, 무엇을 구체적으로 밝혀야 한다는 것인지 요구 자체가 불분명한 것이 대부분입니다. 

 

1. 오늘의 유감 보도, ‘빨갱이’론은 문씨가 스스로 제기했을 뿐이라는 조선일보 김대중 고문


K-018.jpg

△ 문 전 대표 겨냥해 색깔공세 나선 조선일보 김대중 고문(2/14)


조선일보 김대중 고문이 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를 겨냥해 또다시 ‘색깔론’ 카드를 꺼내들었습니다. 대통령이 되고 싶다면, 안보관과 대북관을 분명히 밝혀야 한다는 주장인데요. 내용을 살펴보면 이미 몇 차례나 해명이 끝난 부분이거나, 무엇을 구체적으로 밝혀야 한다는 것인지 불분명한 내용이 대부분입니다. 


<김대중 칼럼/“북한 먼저 가겠다”와 색깔론>(2/14, https://goo.gl/5QprK3)에서 김 고문이 대표적으로 트집 잡은 사안은 크게 “대통령에 당선되면 북한부터 먼저 가겠다”는 문 전 대표의 발언과 ‘문재인 빨갱이론’에 대한 문 전 대표 측의 반박 행보 등입니다. 


김 고문은 칼럼의 시작부터 문 전 대표가 당시 언론 인터뷰에서는 ‘북한에 먼저 가겠다’는 주장을 “단호히” 해 놓고는 “3개월 뒤인 지난 9일 한 TV 프로”에서는 “본질은 회피하면서 ‘왜 그런 질문을 주고받아야 하나’며 ‘사상 검증처럼 그러니…’라고 말꼬리를 흐렸다”고 지적했습니다. “문씨의 답변은 ‘그것이 뭐 그리 대단한 문제냐’는 투”였는데 “더 이상 말꼬리를 잡히고 싶지 않다는 것인지, 아니면 사상 검증의 올가미를 씌워 피해가겠다는 것인지 도대체 납득하기 어렵다”는 것이죠. 이 내용만 읽으면 마치 문 전 대표가 불리한 질문을 어물쩍 넘어간 것 같습니다. 


그러나 지난 9일 JTBC <썰전>에 출연한 문 전 대표는 전원책 변호사의 “(대통령에 당선되면) 정말 북한에 먼저 갈 것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미국이든 북한이든 일본이든 러시아든 우리 국익에 도움 되는 곳이라면 누구든 만나야한다. 한국으로서는 북한과의 핵 해결문제가 무엇보다 중요하니 핵 해결에 도움 되면 미국과도 긴밀히 협의해서 북한에 갈 수도 있다고 말한 부분이다”라고 대답한 바 있습니다. 


문 전 대표는 12일 방송한 SBS <대선주자 국민면접>에서도 “우리 국익에 도움이 된다면 미국이든 북한이든 어디든 가야한다. 누구든 만날 수 있다. 미국보다 먼저 가겠다고 한 게 아니다. 북핵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면 미국과 충분히 협의해서 북한에 먼저 갈 수 있다고 한 것이다”라며 해당 사안에 대해 재차 해명했습니다. 김 고문이 제기한 “새 대통령이 우방을 제치고 북한 먼저 방문하는 문제”에 대해 당사자가 ‘발언의 본질’이 무엇인지, 자신의 입장을 방송을 통해 반복적으로, 분명히 밝힌 셈입니다. 그런데도 이 김 고문은 이 같은 내용을 칼럼 말미에서야, 문 전 대표가 “나중에 해명이랍시고 한 발언에서 ‘미국이든 일본이든 러시아든 상의해서 하겠다는 뜻’”을 밝혔다고 한껏 축소․폄훼해서 언급하고 있을 뿐입니다. 


북한 방문 논란에 이어 김 고문이 꺼내든 것은 ‘빨갱이론’입니다. “문 전 대표는 그동안 6~7차례에 걸쳐 보수 세력이 자신을 ‘빨갱이’로 몬다며 이는 ‘가짜 안보 세력의 안보장사에 불과하다’고 역습했”지만 “‘빨갱이’론은 문씨가 스스로 제기한 것”일 뿐 “정치권의 누구도, 어느 공직자도, 어느 논객도 그를 가리켜 공개적으로 ‘빨갱이’라고 언급한 기록이 없”고 “‘빨갱이’는 SNS에서 나돌기 시작”했다는 것이죠. 


그러나 ‘문재인은 빨갱이’라고, 그 특정 단어를 사용해 지적하지 않았다고, 종북몰이를 하지 않았다는 식의 주장을 펼치는 것은 말장난일 뿐입니다. 실제 조선일보는 송민순 회고록 관련 북한 조평통의 공식 반응에 대해, 문 전 대표가 “북한은 우리 정치에 어떤 형식으로든 개입하지 말라”고 단호히 대응했음에도 <북이 편드는 듯하자 화들짝 놀란 문재인>(2016/10/25) 보도를 통해 ‘북한이 문 전 대표를 편들려 했다’는 식의 악의적 프레임을 씌운 바 있습니다.

 

그 외에도 개성공단 폐쇄와 같은 정부의 비합리적 대북정책을 비판하거나 사드 졸속 배치를 지적했다는 이유로 문 전 대표를 “과거 좌파·운동권식 대북·안보관으로 되돌아가고 있다는 인상을 지우기 힘들다”(<사설/‘전쟁 불안감’ 또 부추기는 야, 핵 위기에도 선거만 보이나>(2016/2/16)), “대북관과 안보관이 흐릿해 보이는 후보가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켜야 하는 대통령으로 선택받을 가능성은 크지 않다”(<여론&정치/대선 승부처는 후보의 안보 신뢰감이다>(2016/9/12))라 지적한 사례는 이루 다 셀 수조차 없습니다. 말 그대로 ‘빨갱이’라 말만 하지 않았을 뿐, 할 수 있는 다른 말은 다 했던 셈입니다. 이래놓고 ‘빨갱이론’이 “자기 그림자에 놀란 문씨가 제 발 저려 던진 화두”라 지적하는 것은 염치없는 주장이 아닐 수 없습니다.  


여기에서 멈추지 않고 김 고문은 문 전 대표가 “말끝마다 특전사를 거론하는데, 특전사 갔다 오면 사상적으로 건전하다는 불문율이라도 있는가? 군대 복무를 하지 않은 사람을 ‘종북’으로 모는데 그러면 이 나라의 얼마가 종북이란 말인가?”라는 질문을 쏟아냈는데요. 문 전 대표가 군대 복무를 하지 않은 사람을 종북으로 몰았다는 기록은 어디에도 없습니다. 애초 이 ‘특전사 논리’는 ‘의무는 다 하지도 않고 종북몰이에만 앞장서며 국방 안보의 전문가인 양 떠들어대는 일부 정치인’들을 겨냥해 나온 것이니까요.

 

“문씨는 자신을 빨갱이로 모는 것이 분열주의자들의 책동이라고 했는데 지금 북한 문제로 국민을 좌우, 또는 보수-리버럴로 양분시켜 그 반사이익을 취하는 사람은 누구인가?”라는 질문은 당혹스럽기까지 합니다. 색깔론 띄우기에 앞장서 온 조선일보와 조선일보 김대중 고문은 이런 질문을 할 사람이 아니라 받아야 할 사람이니까요. 실컷 주먹질을 해 놓고 ‘이렇게 폭력사태를 만들어서 이득을 볼 사람이 누구냐?’고 묻는 꼴입니다.


이어 김 고문은 문 전 대표의 “대북관은 우리 5000만 국민의 생명과 안녕을 좌우할 것이며 그의 안보관은 우리의 발전과 평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기에 그가 친북인지 종북인지 빨갱이인지 또는 평화 지상주의자인지 북한 우선주의자인지의 여부는 국민이 심도 있게 따져야 할 요소”라 재차 강조했습니다. “문씨가 북한에 대한 배려는 강조하면서 북한의 핵, 김정은의 대남 도발 등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언급이 없는 점, 당장 내일이라도 전쟁에 빠질 수 있는 위급한 안보 상황에서 동맹국을 하대하고 대북 경계론을 색깔론으로 매도하는 점”과 “김정은 집단과 대한민국이 양립할 수 있다고 보는지” 등을 꼭 검증해야 한다는 것이죠. 


그러나 제대로 검증을 하려면 질문부터 기본적인 사실관계에 근거해 제시되어야 하는 것 아닐까요? 예를 들어 김 고문은 ‘북한의 핵, 김정은의 대남 도발 등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언급이 없’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문 전 대표는 지난해부터 북한의 핵, 김정은의 대남 도발 등에 대해 강경한 발언을 이어왔습니다. 9월 북한 5차 핵실험 당시에는 “북한이 핵무기를 개발하고 평화를 위협해서 얻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북한에 엄중하게 경고하고 싶다”고 발언했으며, 올해 1월 자신의 페이스북에 “추가로 핵이나 미사일 실험을 감행한다면 김정은 정권의 앞날은 예측할 수 없게 될 것”이라는 글을 올렸습니다. 지난 12일 북한이 중장거리탄도미사일 '북극성 2형'을 발사한 뒤에는 “북한이 이런 식의 도발을 계속한다면, 이제는 김정은 정권의 앞날도 예측할 수 없다는 것을 명심해야 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죠. 상식적으로 안보관을 의심받아야할 수준의 발언과 행보를 하고 있지 않음에도, ‘상대적으로’라는 말장난을 이용해 문 전 대표의 안보관을 도마에 올린 셈입니다. 심지어 문 전 대표가 동맹국을 하대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명백한 근거조차 찾을 수 없습니다. 


해당 칼럼은 “지금의 시대는 권력 유지를 위해 비판자를 공산주의자로 몰고 매카시적 수법으로 매도하는 것이 용인되는 시대가 아니”지만 “그렇다고 그 반대도 용납되지 않는다”며 “문씨도 어물쩍 넘겨버리려 해서는 안 되고 국민도 적당히 넘어가서는 안 된다”는 주장으로 마무리 됩니다. 하지만 이런 수준 이하의 억지성 검증이 정말 국민을 위한 것인지는 의문입니다.  
  
2. 오늘의 비교 ① 특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재소환
박영수 특별검사팀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을 뇌물공여 등 혐의에 대한 피의자 신분으로 13일 오전 재소환했습니다. 아래는 각 매체의 입장을 대표 코멘트로 정리한 것입니다.

 

경향신문 : “특검 내부적으로 ‘할 수 있는 것 다했다’는 내부기. 수사 충실히 진행됐다는 평가. 또 기각되면 특검 수사차일은 물론 특검 비판 여론 커질 수 있어 양날의 검’”
동아일보 : “이재용 구속영장 발표에 집착하는 것은 성과 내야 한다는 조급증에 빠진 결과 아닌가. 촛불집회에 기대 무리수를 둔다면 특검답지 못하다”
조선일보 : “삼성 측, 공정위 특혜 의혹을 비롯, 다른 의혹들 사실 아니라고 조목조목 반박. 특검 내부에선 재청구해야 한다는 쪽과 신중하게 결정하자는 쪽의 여론이 나뉘었었다”
중앙일보 : “증언을 토대로 정황증거에 매달린 채 뇌물죄라는 프레임을 짜놓고 무리하는 것은 아닌지 우려된다. 특검의 지나친 집착은 이미 ‘오기 수사’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한겨레 : “특검, 추가수사에서 뇌물 대가성 증거 대거 확보한 것으로 풀이됨. 박 대통령을 뇌물죄로 처벌하려는 강력한 의지의 표명”
한국일보 : “구속 여부는 법과 증거에 근거한 엄밀하고 합리적인 잣대에 따를 수밖에 없다”

 

3. 오늘의 비교 ② 새누리당, 자유한국당으로 당명 변경
13일 새누리당은 당 이름을 ‘자유한국당’으로 변경하는 당명 개정안을 의결했습니다. 이에 경향신문과 한겨레는 ‘눈속임’이라며 목소리를 높였고, 조선일보는 ‘제살길만 찾으려 하는 보수의 모습’이라 지적했습니다. 반면 중앙일보는 해당 사안을 단신으로 처리하는데 그쳤습니다. 아래는 각 매체의 입장을 대표 코멘트로 정리한 것입니다.

 

경향신문 : “당명만 바꾼 ‘쇄신 코스프레’”
동아일보 : “자유총연맹 당명 및 로고 비슷해 구설”
조선일보 : “보수의 부정적 모습이 그대로 드러나는 것만 같다”
중앙일보 : (단신) “자유한국당으로 당명 변경했다”
한겨레 : “개명만으로 국민 눈 속이려는 행태 가증스러워”
한국일보 : “자유한국당이나 바른정당이나 새롭게 태어나겠다는 각오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