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보도_
[일일브리핑]‘민중연합당=통진당’이니 ‘찍지 말라’는 동아·조선 (D-12 신문보도)1. 민중연합당에 대한 동아·조선에 대한 과도한 관심
동아일보와 조선일보는 3월 한 달간 민중연합당과 관련해 각 4건씩 보도했다. 동아일보는 <통진당 전의원, 민중연합당 소속으로 출마 잇따라>(3/25, 6면, https://me2.do/xTRokYni), <민중연합당 후보 67% 통진당 출신>(3/29, 6면, https://me2.do/G7BIvbfb), <사설/헌재가 해산시킨 통진당 출신, 간판만 바꿔 출마하나>(3/30, https://me2.do/FTjlf9Yf)의 보도를 내놨으며, 조선일보는 <김선동·김재연 민중연합당에…통진당 재건?>(3/21, 6면, https://me2.do/xfOdUWwi), <‘RO 회합’했던 전통진당 12명 출마>(3/31, 1면, https://me2.do/IG3gF7FP), <이석기 키즈, 통진당 전력 쏙 빼고 ‘민중당 비례1번’>(3/31, 6면, https://me2.do/5uXEjFtL)를 보도했다. 여기에 31일 또 민중연합당을 주요 소재로 다룬 보도가 각각 1건씩 추가된 것이다.
같은 기간 단순 판세분석 등을 제외하고 원내정당인 정의당을 주요하게 다룬 보도는 동아일보가 4건, 조선일보가 2건이다. 녹색당의 경우 총선 출마 현황표 등에서나 언급됐을 뿐 후보나 정당에 대해 주목한 보도는 단 한건도 없었다. 이는 동아일보와 조선일보의 민중연합당에 관한 관심이 상당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문제는 이들이 민중연합당과 관련해 내는 기사가 모두 민중연합당에 통합진보당 잔존 세력이 대거 투입됐으며, 정책 기조 역시 동일해 통진당의 부활이라는 마찬가지라는 메시지만 반복해서 담고 있다는 것이다. 두 신문의 보도 8건은 모두 ‘민중연합당=통진당’의 연관성을 지적하는 보도였다. 그리고 이 같은 지적은 ‘민중연합당’이 사실상 ‘통진당’이기에 ‘투표해서는 안 된다’는, 사실상의 ‘낙선 운동’으로 이어졌다.
■ 동아 “민중연합당, 이석기 지하조직 잔당으로 구성”
동아일보 <민중연합 주요 공약 ‘통진당 판박이’>(4/1, 10면, https://me2.do/GGJXTOiP)는 민중연합당이 “국가정보원 해체와 평화협정 체결을 주요 공약으로 내걸”었으며, “북한의 4차 핵실험에 대한 비판 없이 개성공단 재개와 북한과의 평화협정 체결을 주장하고 있는 것”등이 “헌법재판소의 위헌 정당 해산 결정으로 사라진 옛 통합진보당이 주장했던 내용과 같은 것”이기에 “민중연합당이 사실상 ‘제2의 통진당’”이라는 주장을 펼쳤다.
이후의 보도 내용 역시 ‘민중연합당과 통진당의 같은 그림 찾기’ 작업에 집중된다. 이를테면 “동아일보가 중앙선관위 선거 통계 시스템에 등록된 60명의 민중연합당 후보자 명부를 조사한 결과 40명(66.7%)이 옛 통진당 출신 인사”이며 “무소속 후보 10명까지 합치면 50명이 옛 통진당 출신”이고 “통진당 경력을 적지 않은 후보까지 합치면 그 수는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는 것이다. 동아일보는 “이처럼 옛 통진당 인사들이 대거 민중연합당에 입당하고 당 지도부를 사실상 장악한 상황을 감안할 때 이 같은 공약이 우연히 나온 게 아니”라 강조했다.
민중연합당에 통진당의 잔존 세력이 합류했다는 주장은 “한편 옛 통진당 이석기 전 의원의 지하 조직으로 지목된 ‘혁명조직(RO)’의 2013년 5월 ‘마리스타 비밀 회합’에 참석했던 인사 12명이 이번 총선에 출마하는 것으로 밝혀졌다”는 것으로 이어진다.
■ 조선 “민주적 기본질서 유린한 이들, 원내대표 진출 안 된다”
조선일보는 사설을 통해 보다 강한 주장을 쏟아냈다. <사설/총선에 간판 바꿔 비집고 나온 종북 통진당 잔존 세력>(4/1, https://me2.do/Fi6wBHUC)는 “대법원이 ‘내란 선동 비밀 회합’으로 판단한 통합진보당 내 ‘RO(혁명조직) 모임’ 참석자 12명이 이번 총선에 민중연합당이라는 간판으로 출마”했으며 “만약 비례대표 정당 투표에서 이 당이 3% 이상을 얻으면 또다시 국회의원을 내게 된다”고 먼저 ‘우려’를 표했다.
이 같은 우려의 원인은 통진당에 대한 ‘추억’ 때문이다. 이를테면 “RO를 구심으로 하는 통진당 종북파 사람들은 2005~2006년 무렵 구(舊)민주노동당을 장악한 뒤 국고보조금과 당 조직을 틀어쥐고 온갖 패악질을 거듭했”으며 “2012년 19대 총선 때 만천하에 공개된 비례대표 경선 부정과 이후 수습 과정에서 노출된 폭력 사태는 이들이 얼마나 무서운 사람들인지를 똑똑히 보여줬다”는 것이다. 조선일보는 또 “이번에는 자신의 통진당 전력(前歷)을 감추면서까지 정계 진출을 노리는 사람도 등장”했다고 지적했다.
조선일보는 “현행법상 RO 모임 참석자라 해도 유죄 판결을 받지 않은 사람들의 정치 활동까지 막을 방법은 없”다면서도 “민주적 기본 질서를 유린한 사람들이 바로 그 민주주의 질서를 활용해 입법부에 활동 거점을 마련하는 것을 그대로 두고 볼 수는 없는 일”이라는 주장을 쏟아냈다. 민중연합당에 통진당 세력이 합류했다는 사실관계 전달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이들을 비판할 명분을 제시하려 안간힘을 쓰고 있는 것이다.
해당 사설의 마무리는 “이번에 출마한 통진당 출신 모두를 과격 종북 세력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 “국민이 그들의 숨겨진 정체를 똑똑히 목격한 이상 이번 선거에서 그들이 노리는 대로 될 리가 없다. 다시는 이런 시도조차 하지 못하도록 유권자들이 표로 똑똑히 보여줄 필요가 있다”는 일종의 낙선운동으로 이어진다.
민중연합당에 통진당 잔존세력이 합류했고, 정책 기조가 거의 같다는 것을 언급하는 것은 가능하다. 그러나 정책이나, 하다못해 판세 분석 관련 보도 하나 없이 오직 ‘민중연합당=통진당’임을 강조하며 ‘이석기 사태’를 반복적으로 언급하는 속내는, 일종의 낙인찍기로밖에 볼 수 없다.
조선일보가 사설에서도 언급했듯, “현행법상 RO 모임 참석자라 해도 유죄 판결을 받지 않은 사람들의 정치 활동까지 막을 방법은 없”다. 또한 “통진당 출신 모두를 과격 종북 세력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는 것이다. 그런데도 마치 관련 인물은 모두 ‘민주적 기본 질서를 유린한’양 몰아가며, 정책이나 여타 행보에 대해서는 그 무엇도 언급하지 않고 그저 출신만을 강조해 ‘찍지 말 것’을 종용하는 것은 매우 악의적인 보도 태도라 할 수 있다.
2. 동아·조선의 기승전 ‘친노=폐족’
동아일보와 조선일보는 ‘친노 세력은 폐족’임을 운운하며 계파 가르기에 골몰하는 보도를 내놓기도 했다.
■ 동아 “문재인, 친노 깨고 고용 사장 벗어나야”
먼저 동아일보 박제균 논설위원은 <박제균의 휴먼정치/‘노무현 도그마’깨야 문재인이 산다>(4/1, 39면, https://me2.do/FwyoZno5)에서 ‘이번 대선의 강자는 거의 이전 대선 2위다’는 자신만의 대선공식을 제시한 뒤, 그럼에도 “(문재인 전 대표를) 이번 대선의 강자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아직 드물다. 답은 간단하다. 자기 실력으로 치른 선거가 아니었기 때문”이라 평가했다.
이어 노무현 대통령의 “저 사람(문재인)은 정치할 사람이 아예 아니야. 전혀 (정치와) 안 맞아”라는 발언을 언급한 뒤 “그런 문재인을 ‘폐족(廢族·벼슬을 할 수 없게 된 일족)’이던 친노가 노무현의 비운(悲運)으로 기사회생하자 ‘고용 사장’으로 내세워 치른 게 지난 대선”이라 평가했다.
이 같은 평가에 이어 동아일보는 문 전 대표를 향해 “‘친노의 고용 사장’이라는 태생적 이미지를 걷어내지 못하면 미래는 없다”는 조언을 내놓고 “지난 대선 때도 ‘문재인은 괜찮은데 친노가 무섭다’는 말이 나오지 않았던가. 그러려면 무엇보다 노무현을 넘어서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을 넘어서는 방법으로는 “노 전 대통령에 대해 불편한 얘기라면 입도 뻥긋 못 하게 하는, 친노의 종교적이라고 느껴지리만치 무서운 ‘노무현 도그마’를 깨야 한다”, “대선 가도에서 적당한 시점이 되면 문재인이 먼저 노 전 대통령의 공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 제시됐다. 그래야 “많은 국민도 그를 고용 사장이 아닌 ‘오너’로 보고 안정감을 느낄 것”이라는 것이다.
■ 조선 “친노, 김종인 대표 앞세워 ‘털갈이’”
같은 날 조선일보 이동훈 정치부 차장은 <동서남북/친박이 사라지지 않으려면/이동훈 정치부 차장>(4/1, 35면, https://me2.do/xpxhuP9T)에서 친박, 친노, 친이 등의 계파를 일종의 브랜드로 풀이한 뒤 “브랜드 가치가 떨어지면 계보원을 아무리 많이 모아도 소용없다”, “차기 주자를 재생산해내는 일도 어려워”진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서는 “대다수 국민의 용인(容認)과 동의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정치인들을 친박, 친노, 친이 등으로 계파를 부각해 분류한 뒤 이를 ‘브랜드’라 풀이한 것은 ‘계파 가르기’를 합리화 하는 것에 다름 아니다.
그런데 이 같은 주장에 뒤이어 나오는 주장은 동아일보의 주장과 놀라울 정도로 닮아있다. “친노(親盧)는 폐족(廢族)의 위기에 내몰렸지만 문재인이라는 주자를 발굴해내며 살아났다”, “친노는 골수 지지층은 있었지만 국민적 비난의 대상이 되면서 폐족이 될 뻔했다”는 것이다. 이 같은 친노에 대한 혐오감은 “최근 친노가 김종인 대표를 앞세워 ‘털갈이’를 하려는 것도 국민의 미운털을 뽑으려는 시도로 이해된다”는 평가로 연결된다. 동아일보나 조선일보나 모두 더민주를 대상으로 낙인을 찍으려는 보도태도를 계속 이어가고 있는 셈이다.
* 모니터 대상 : 경향신문,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한국일보 종이신문에 게재된 보도에 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