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 모니터_
6월 22∼24일 방송3사 저녁종합뉴스 일일 브리핑(2012.6.25)
등록 2013.09.25 23:29
조회 377
6월 22∼24일 방송3사 저녁종합뉴스 일일 브리핑
‘이유 있는’ 화물연대파업, ‘이유 없는’ 방송3사 보도

 
■ ‘이유 있는’ 화물연대파업, ‘이유 없는’ 방송3사 보도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화물연대)가 25일 총파업에 돌입했다.
화물연대는 앞선 22일 국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총파업을 예고했다. 이들은 정부에 △물량에 따라 운임을 표준화하는 표준운임제 도입 △운송료 30%인상과 면세유 지급 △화물운송법 제도 전면 재개정 △노동기본권 보장 △산재보험 적용 등 5개안을 지킬 것을 요구했다.
 
화물연대의 요구안의 핵심은 화물운송노동자들의 생존권 보장 장치를 마련해달라는 것과 노동자성을 인정해달라는 데 있다.
현재 운송노동자들은 월평균 노동시간 약 320시간, 평균수입 약 월100만원으로 열악한 노동환경에 처해있다. 화물연대는 “2008년 대비 수도권 왕복운임은 7% 인상되는 데 그친 반면, 유류값은 24.2%가 오르는 등 직접비용 부담과 물가는 늘어가는 데 운송료는 현실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생활임금 보장을 위해서 운송에 쓰이는 실제 비용과 화물노동자의 수입을 산정해 표준 운임을 결정하고 법적 강제력을 부여하는 표준운임제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화주-운송회사-노동자로 연결되는 다단계 하청계약도 문제로 지적된다. 운송 수입의 10~30%가 중간단계의 수수료로 빠져나가는데다, 정부의 유가보조금 역시 노동자들이 아닌 업체 및 화주들에게 지원된다는 것이다.
아울러, 화물노동자들은 법적으로 개인사업자로 분류돼 4대 보험을 포함한 노동법을 일체 적용받지 못하는 부분도 생존권을 위협하는 요인 중 하나로 지적된다.
 
이러한 화물연대의 요구는 정부가 이미 수차례 약속한 내용이다. 2008년 6월, 2009년 6월 파업에 이어, 세 번째 파업에 돌입한 화물연대가 같은 내용의 요구조건을 제시한 것은, 달리 말하면 이명박 정부가 임기 4년 동안 화물 노동자들의 열악한 노동환경을 방치해왔다는 반증이라는 비판이 일고 있다.
그럼에도 정부는 화물연대가 총파업을 예고하자 대안을 제시하는 대신 “불법 집단행동에 대해 엄정 대응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콜롬비아를 방문한 이명박 대통령도 화물연대 파업을 비난하는 데 앞장섰다.
 
한편, 24일 울산, 부산 등지에서 차량 연쇄방화사건이 일어났는데, 경찰이 용의선상에 화물연대가 올라 있음을 암시해 파장이 일었다. 이에 대해 화물연대는 본 사건과 무관하다는 입장을 밝힌 뒤 “당국이 여론을 몰아가고 있다”면서 “교섭을 거부하고 파업을 장기화해 물류대란을 조장하기 위한 의도”라고 반발했다.
 
방송3사는 22일~24일 화물연대 파업에 관한 보도를 내놨지만 차량 ‘연쇄 방화사건’, ‘물류대란’ 등 화물연대 파업의 부정적 측면을 부각하는데 앞장섰다. 반면 화물연대가 파업에 돌입하게 된 배경은 제대로 다루지 않았다. 
KBS는 차량 방화사건 보도에 초점을 맞췄다.
MBC도 차량 방화사건과 물류대란 우려 등 부정적 측면을 부각했다.
SBS도 다르지 않았는데, 과격한 파업 구호 등을 부각하며 화물연대 파업의 부정적 측면을 주요하게 다뤘다.
 
<[간추린단신]화물연대, 오는 25일부터 총파업 돌입>(KBS, 앵커단신/22일)
<내일 파업…연쇄방화>(KBS, 이현진/24일)
 
KBS는 차량 방화사건을 부각하고 나섰다.
24일 두 번째 꼭지 <내일 파업…연쇄방화>는 “화물연대가 내일 총파업을 예고한 가운데 오늘 새벽 울산과 경남 등에서 화물차 20여대가 불에 탔다”는 앵커멘트로 시작해, 제목, 앵커멘트, 화면까지 아직 범인이 밝혀지지 않은 방화사건을 화물연대 파업과 연관지어 부각했다. 
보도는 울산 방화 현장을 비추면서 “화물연대 총파업을 하루 앞둔 오늘 새벽 울산의 한 물류회사 주차장이 화염에 휩싸였다”고 전했다. 보도는 피해 상황을 전한 뒤, 곧바로 “경찰은 파업 참여를 압박하기 위한 조직적인 방화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면서 경찰의 입장을 상세히 전했다.
그러나 정작 화물연대가 왜 파업을 벌이는지는 제대로 다뤄지지 않았다. 보도 말미에 “화물연대는 표준운임제 법제화와 운송료 30% 인상 등을 요구하며 내일 오전 7시부터 조합원 만여 명이 무기한 운송 거부에 들어간다고 밝혔다”는 언급이 전부였다. KBS는 22일에도 화물연대의 총파업 예고 기자회견을 단신으로 짧게 보도하는데 그쳤다.
 
<화물 연대 25일부터 총파업>(MBC, 앵커단신/22일)
<화물차 27대 불타 “방화추정”>(MBC, 김성민/24일)
<내일 총파업 물류대란 우려>(MBC, 신교영/24일)
 
MBC도 화물차 방화사건 등 화물연대 파업의 부정적 측면을 부각하고 나섰다.
24일 첫 번째 꼭지 <화물차 27대 불타 “방화추정”>은 ‘화물차량 방화사건’을 전하며 “경찰이 내일 있을 화물연대 파업과의 관련성을 집중 수사하고 있다”는 앵커멘트로 시작했다. 보도는 화재 피해 상황을 전한 뒤, “경찰은 이번 화재의 시간대와 범행 수법이 비슷하고, 피해 차량 대부분이 비노조원 화물차인 점으로 미뤄, 방화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는 경찰 추정을 그대로 전달했다.

이어진 <내일 총파업 물류대란 우려>는 화물연대 파업 소식을 전하며 “철도와 공항, 항만 운송노조도 대체 수송을 거부하고 있어, 물류대란이 우려되고 있다”는 앵커멘트로 시작했다. 기사 제목과 앵커멘트 등 시작부터 화물연대 파업으로 인한 ‘문제’를 부각하고 나선 것이다.
보도는 화물연대의 요구사항이 “표준운임제를 전면 실시하고, 운송료를 30% 올려달라는 것, 그리고 기름값을 지원해 달라는 것”이라며 “최저임금을 보장받지 못하고 있는데다, 턱없이 낮은 운송료 때문에 생계유지도 어렵다는 게 화물연대의 주장”이라고 전했다. 그러나 화물연대가 최저임금을 받지 못하는 원인, 운송료 인상을 요구한 배경 등에 대해서는 제대로 설명하지 않았다.
그리고는 “물류대란이 우려된다”고 전한 뒤, 정부의 엄정 대응 방침을 설명하고, 콜롬비아를 국빈 방문 중인 이명박 대통령의 화물연대 비난 발언을 싣는 등 정부 입장을 적극 보도했다.
 
<화물연대 내일 총파업..곳곳 방화 추정 불>(SBS, 이달우/24일)
<운임 30% 인상 요구.. 물류 대란 우려>(SBS, 하대석/24일)
 
SBS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24일 첫 꼭지 <화물연대 내일 총파업..곳곳 방화 추정 불>은 “화물연대가 내일(24일)부터 총파업을 예고해 놓고 있는데, 오늘 전국에서 화물차 수십대에 누군가 불을 질렀다”면서 “내일 운행을 위해서 짐을 실었던 차들이어서 경찰이 파업과의 연관성을 수사하고 있다”는 앵커멘트로 시작했다.
보도는 피해 상황을 상세히 전한 뒤 “이것은 화물연대 (파업에) 동참하지 않는다고 보복성으로 한 것으로 판단된다. 너무 황당하다”(화물연대 조합원)는 차량피해자의 추정을 그대로 실었다. 그리고는 “경찰은 화물연대의 파업 선포식 이후 새벽시간대 집중적으로 차량화재가 잇따라 발생한 점으로 미뤄 방화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수사를 벌이고 있다”면서 경찰 관계자의 인터뷰를 실었다. 그러나 “화물연대 파업과 무관하다”는 화물연대 측의 입장은 보도하지 않았다.
 
<운임 30% 인상 요구.. 물류 대란 우려>에서도 제목 등에서 ‘물류 대란’ 운운하며 화물연대 파업에 대한 부정적 측면을 부각했다.
보도는 시작부터 빨간 색 글씨의 “나오면 죽는다”라는 과격한 구호가 담긴 현수막을 거는 조합원들을 비추며 기자가 “‘나오면 죽는다’는 게 무슨 말이에요?”라는 질문을 하는 등 파업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심고 나섰다.
이어 “기름값은 올라갔고 운송료는 하락하고 있다. 이번에는 끝장을 보자. 만약이 안되면 다른 업종으로 전업을 하겠다는 조합원이 많다”는 화물연대 관계자의 인터뷰를 실은 뒤, “화물연대는 운임요금 30% 인상과 산재보험 전면 적용, 표준운임제 법제화를 요구하고 있다”고 화물연대의 입장을 간단하게 전했다.
그리고는 “과거 파업 때처럼 비조합원의 참여도가 높을 경우 물류대란이 불가피하다”며 “정부는 매년 1조 5000억 원의 유류보조금을 지원하는데도 집단 운송거부를 하는 건 정당성이 없다며 엄정 대응 방침을 밝혔다”며 파업을 비난하는 정부 입장을 전했다. 그러나 다단계 방식의 구조로 인해 유가보조금이 노동자에게 제대로 전달되지 않은 점, 열악한 노동환경 등 근본적인 문제는 언급하지 않았다.
 
2012년 6월 25일
(사)민주언론시민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