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 모니터_
1월 6∼9일 방송 3사 저녁종합뉴스 일일 브리핑(2012.1.10)
등록 2013.09.25 16:40
조회 407
※ 오늘의 브리핑
1. MBC, 이제야 ‘내곡동’ 보도…계속 이어져야
2. 선관위 사이버 테러, 부실수사에 부실보도
 
 

1월 6∼9일 방송 3사 저녁종합뉴스 일일 브리핑
MBC, 이제야 ‘내곡동’ 보도…계속 이어져야
 
 
 
 

1. MBC, 이제야 ‘내곡동’ 보도…계속 이어져야
 
9일 MBC가 불법과 편법 동원으로 물의를 빚어 온 이명박 대통령의 ‘내곡동 사저’와 관련한 검찰 조사 상황을 전하며 이 대통령의 아들 시형씨가 내야 할 6억여원을 청와대가 더 부담했다고 보도했다.
 
MBC <“청와대가 6억 원 내줬다”>는 지난해 10월 불거진 이 대통령의 내곡동 사저에 대한 검찰 조사 상황을 다뤘다.
보도는 ‘내곡동 사저터’ 구입 과정에서 대통령 아들 시형씨와 청와대 경호처가 54억원에 공동 구입했는데 “(이 과정에서)이시형 씨가 냈어야 할 6억 원 정도를 청와대가 더 부담한 것으로 파악된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이어 “청와대는 검찰에 제출한 자료에서 이시형 씨 지분의 땅은 안 좋은 위치에 있어서 가격이 쌌던 거지, 돈을 덜 낸 게 아니라고 반박했다”고 언급한 뒤, “하지만 중개업자들은 이런 방식은 일반적이지 않다고 얘기한다”며 청와대의 입장을 재반박했다. 또 “검찰은 실제 계약을 한 청와대 경호처 재무관을 내일쯤 불러 부지 매입비용과 누구로부터 지시를 받고 계약을 했는지 등을 조사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기자의 리포팅이 끝난 후 앵커는 “검찰 판단이 맞다면 범죄가 되는 중대 사안”이라면서 이 대통령의 아들 이시형 씨가 부동산 실명제법 위반 혐의를 받고 있는 사실을 기자에게 확인했고, 기자는 “검찰은 이시형 씨 소환 조사가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다”고 답했다.
 
이명박 정권의 방송장악 이후 MBC 보도에서 날카로운 비판보도를 찾아보기 힘들었다. 이 대통령의 내곡동 사저 의혹이 처음 불거졌을 때도 MBC를 비롯한 방송 3사는 의혹을 파헤치기 보다는 청와대의 ‘해명방송’을 자처했다.(우리단체, 10월 17일 방송브리핑 참조)
이런 가운데 최근 MBC기자회는 보도책임자의 퇴진을 요구하는 등 비판보도를 회복하기 위한 움직임을 시작했다. 9일 ‘내곡동 보도’는 이런 배경 속에서 겨우 나온 것으로 보인다.
MBC가 적시에 ‘내곡동 보도’를 내지 못하다가 ‘뒷북보도’를 내놓고 ‘단독보도’ 운운하는 것은 민망한 일이다. 그러나 뒤늦게나마 정권을 비판하고 견제하면서 국민의 알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나선 것은 다행이다. 이런 움직임이 계속 이어져야 공영방송으로서 비판보도를 회복하기 위한 노력이 의미 있을 것이다
 

2. 선관위 사이버 테러, 부실수사에 부실보도
 
지난 6일 검찰은 선관위 홈페이지 사이버 테러 사건 수사 결과를 발표했다. 그러나 이른바 ‘윗선’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밝히지 못했다.
검찰은 박희태 국회의장실 전 수행비서인 김 모씨와 최구식 전 한나라당 전략홍보위원장 비서였던 공 모씨가 사전에 모의했다고 밝혔다. 두 사람이 선관위 홈페이지를 공격해 투표율을 낮추면 나경원 후보가 당선될 수 있다고 판단해 ‘자발적으로’ 공격을 감행했고, ‘공적’을 세워 행정직이나 보좌관 자리를 얻고자 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검찰의 수사 결과를 그대로 받아드리기엔 미심쩍은 점들이 많다. 이들은 ‘공적을 세우기 위해’ 사이버테러를 감행하고도 윗선에 알리지 않았다고 진술했다. 윗선이나 배후의 개입은 없고, 오로지 자신들의 결정이었다는 것이다. 자리에 대한 사전 담보도 없이 전세금을 빼서 1억원이라는 거금을 범행에 사용, 혹은 ‘차용’해 줬다는 것도 상식적으로 납득되지 않는 점이다.
뿐만 아니라 최 의원이 범행 전날 “비장의 카드가 있다”, “나 혼자 당하지 않겠다”고 발언해 연루 의혹을 증폭시켰다. 

한편, 김효재 청와대 정무수석이 사건 수사 중인 경찰에 수사 상황과 방향을 꼬치꼬치 캐묻는 등 압박을 가한 점과 공 씨의 체포 상황 등을 경찰 발표 전 최 의원에게 흘려준 점도 제대로 규명되지 않았다. 사건 발생 하루 전날 공씨와 김씨가 함께 한 저녁식사 자리에 청와대 행정관이 있었다는 점까지 고려해보면, 이 사건에 청와대와 여당이 깊숙이 관계되어 있다는 의혹을 떨치기 어렵다. 그러나 검찰은 김 수석을 조사조차 하지 않았다.
 
검찰 수사 결과에 대해 민주통합당 김유정 대변인은 “몸통은커녕 꼬리도 못 찾아낸 빵점짜리 수사”라고 규탄했고, 통합진보당은 “민주주의의 근간을 공격한 거대한 범죄를 의원 비서 두 명의 자발적 행동으로 규정짓고 배후 세력을 감춰주었다”며 “검찰이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렸다”고 비판했다. 야당은 특검을 요청할 것이라고 밝혔고, 한나라당 비대위도 이를 긍정적으로 검토해 특검이 이뤄질 전망이다. 그러나 특검을 한다고 해서 ‘진짜’ 배후를 밝혀낼 수 있을지, 검찰이 ‘독립적’인 수사를 진행할 수 있을지 미지수다.
 
이 사건은 선거권을 유린하고 방해하려는 목적으로 행해진 범죄이며, 민주주의의 근간의 흔든 행위이다. 그러나 이 사건을 다루는 경찰과 검찰의 수사에서 ‘진실을 규명하려는 의지’를 찾아보기 힘들다.
 
방송 3사의 보도 태도도 실망스럽다. 방송 3사는 검찰의 수사결과 발표 내용과  정치권의 입장 등을 단순 나열하는데 급급했다. 검찰 수사가 미흡하다는 언급은 있었지만 검경 수사의 문제와 한계를 지적하고 문제의 본질을 파헤치는 보도는 찾아 볼 수 없었다. 오히려 검찰 수사를 경찰 수사와 비교하며 ‘진일보했다’, ‘완전히 뒤집었다’고 추켜세웠다. 또 이번 선관위 사이버테러의 진상규명을 촉구하는 대학가의 연이은 시국선언 등도 제대로 보도하지 않았다.
 
 
KBS <사전공모…배후는 없다?>(양성모 기자/1.5)
       <한나라, ‘디도스 공격’ 특검 수용 가능성>(단신 종합/1.6)
       <디도스 특검법 제출>(최형원 기자/1.9)
 
KBS는 검찰 수사에 대한 비판적인 평가는 따로 언급하지 않았다.
5일 <사전공모…배후는 없다?>에서 KBS는 검찰 수사결과가 어떻게 나올 것인지를 보도했는데, 이 보도 역시 검찰 수사결과에 대한 단순전달에 그쳤다. 보도는 검찰이 ‘김씨와 공씨의 범행 사전 모의’, ‘김씨가 공씨를 통해 강씨에게 건넨 1천만원 대가성’이라는 등의 수사결과를 언급하며 “경찰 조사를 완전히 뒤집은 것”이라고 평가했다.
또 “검찰은 이번 사건에 윗선의 개입은 없었으며 김 씨와 공 씨가 나경원 후보가 당선되고 나면 사후에 공적을 인정받을 수 있다는 생각에 공격을 기획했던 것으로 보고 있다”고만 덧붙였다.
 
검찰 발표가 나온 6일에는 뉴스 말미 간추린 단신에서 관련 내용을 다뤘는데, 검찰 수사결과가 아닌 야당의 특검 요구를 한나라당이 수용할 가능성이 높다는 한나라당 대변인의 발언을 전하는 데 그쳤다.
9일에는 검찰의 수사결과에 대해 국민들이 여전히 많은 의심을 갖고 있다고 전하면서 민주통합당이 국회에 특검법을 제출했다고 보도했다. 그러면서 “청와대와 경찰 수뇌부의 사건 축소·은폐 의혹과 검찰 수사에서 밝혀지지 않은 윗선 개입 여부 등을 주요 수사 대상으로 꼽았다”고 덧붙였다.
 
 
MBC <“배후없다”…특검 요구>(김준석 기자/1.6)
 
MBC는 5일부터 9일까지 관련 보도가 한 꼭지 뿐이었다.
6일 보도에서 MBC는 공씨와 김씨가 공모했다는 검찰 수사를 언급하며 “검찰 수사는 ‘최구식 의원 비서의 즉흥적 단독 범행’이라는 경찰 수사보다는 진일보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배후’는 여전히 밝히지 못했다”면서 “정치권은 여야를 막론하고 특검을 해야 한다고 나섰다”고 전했다.
이어 “경찰에 이어 검찰도 배후를 밝혀내지 못했다”며 “하지만 의혹은 여전하고, 이제 진실 규명은 특검의 몫으로 남았다”는 평가를 덧붙였다.
 
 
SBS <“두 비서가 공모…배후 없다”>(임찬종 기자/1.5)
       <“윗선 없다” 발표…특검 갈 듯>(임찬종 기자/1.6)
 
SBS도 검찰 수사에 대한 단순 전달이 중심이었다.
6일 <“윗선 없다” 발표…특검 갈 듯>에서는 “(검찰은) 범행 동기는 ‘나경원 후보가 승리할 경우 공적을 인정받아 더 좋은 일자리를 얻거나, 승진을 할 수 있을 거란 기대’, 범행 대가는 김 씨가 공 씨를 통해 공격 실행자인 IT업체 대표에게 건넨 1000만 원이 전부라고 밝혔다”면서 검찰 수사를 맹비난하는 민주통합당의 주장을 전했다.
그러면서 “경찰과 검찰이 증거를 찾지 못했다고 결론 낸 디도스 배후 수사는 결국 특별검사에게 맡겨지게 됐다”고 덧붙였다. <끝>
 
 
 
2012년 1월 10일
(사)민주언론시민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