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 모니터_
6월 24-26일 방송3사 저녁종합뉴스 일일브리핑(2011.6.27)장맛비에 4대강 곳곳 사고 … KBS․MBC 단순전달
지난 25일 오전 4시 경 경북 칠곡군 약목면의 옛 왜관철교(호국의 다리)의 2번 교각이 무너져 상판 126m와 다리 위 철골구조물이 붕괴됐다. 이 다리는 하루 1000명이 이용해 왔는데 사고가 새벽에 일어나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었다. 붕괴된 2번 교각은 2009년 환경영향평가에서 교각 밑부분이 파이는 것을 막는 교량보호공을 설치하도록 했으나 지난해 실시설계 과정에서 공사비를 아낀다며 3~6번 교각만 보강작업을 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이후 4대강 사업으로 대규모 준설이 진행되면서 기반이 약해진 교각이 노출됐고 이번 비로 와류가 발생해 밑바닥이 파이면서 교각이 붕괴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또 26일에는 경북 상주시 중동면의 상주보 바로 밑 낙동강 제방이 무너졌다. 폭 8m의 제방이 장맛비로 곳곳이 파이고 폭도 6~7m로 좁아졌다. 상주보의 수문 기둥이 강변에 가깝게 들어서 물살이 거세지면서 제방을 깎아내렸다고 한다. 이 외에 충남 공주시 쌍신동 금강 지천에서 불어난 물에 콘크리트 수로 20여m가 파손됐으며, 충남 연기군의 대교천에선 역행침식이 일어났다.
우려했던것처럼 장마와 태풍으로 강물이 불자 4대강 공사현장에서 크고 작은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4대강 공사 현장에서 사고가 끊이지 않는 이유가 대규모 준설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강바닥을 지나치게 파내면서 수량이 늘고 물의 속도가 빨라져 각종 붕괴사고와 역행침식 등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 장마와 태풍이 당분간 계속될 예정이어서 4대강 공사현장의 사고위험은 심각한 상황이다. 하지만 정부는 ‘속도전’에 급급해 4대강 공사 현장의 안전점검조차 소홀히하고 있다. 심지어 국토해양부는 왜관철교 사고에 대해 “교각이 있는 부분은 (4대강 공사) 준설라인에서 벗어난 곳”이라며 4대강 사업과의 관련성을 부인했다.
KBS는 제목과 앵커멘트부터 ‘수해예방 총력’이라며 4대강 공사현장의 ‘사고 대비 상황’을 강조했다. 왜관철교 붕괴 사고는 다른 사건사고 보도와 함께 다루며 ‘4대강 공사 대규모 준설이 원인이라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MBC는 4대강 공사로 인한 피해 상황 등을 전했고, 왜관철교 붕괴와 관련해서는 ‘4대강 사업’ 관련성에 대해 한 마디도 언급하지 않았다.
SBS는 왜관철교 붕괴가 무리한 4대강 사업 때문이라며 문제점을 비교적 자세하게 지적했다.
<다리붕괴․산사태>(KBS, 김명환/25일)
<4대강 ‘비상․긴장’>(KBS, 김민아/26일)
보도는 많은 비가 예상되자 강정보는 방류량을 늘렸고, 영산강에서도 임시 물막이가 해체되었다며 “임시 물막이가 있으면, 물의 흐름을 바꿔, 인근 지역이 침수되거나 유속이 빨라질 우려”가 높기 때문이라고 설명한 뒤, “정상적인 유로 확보로 강이 제역할을 해 침수 등은 일어나지 않을 것”(강정보 건설단장), “만반의 대비를 하고 있다”(익산지방국토관리청장)는 인터뷰를 실었다.
이어 지류의 경우 수해 위험이 여전히 높다며 “강물이 갑자기 불어나면서 역행침식이 더욱 가속돼, 제방이 깍여나가고, 도로가 유실될 가능성이 크다”, “지류 강바닥에 콘크리트 수중시설이 설치됐지만, 역행침식을 막아낼 수 있을지 의문이 제기된다”고 전했다.
보도는 불어난 물로 상주보 제방쪽 흙이 깎이고 있고, 함안보는 집중호우로 임시 물막이에 물이 차올라 유실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또 강변에 쌓아 둔 준설토도 옮기고 있다고 상황을 전했다.
<충청권 물폭탄 200mm이상 호우>(MBC, 고병권/24일)
<2명 사망․4명 실종 철교도 유실>(MBC, 이상현/25일)
<4대강 공사 제방도 유실>(MBC, 김건엽/26일)
<낙동강 ‘호국의 다리’ 붕괴>(SBS, TBC 서은진/25일)
<낙동강 ‘호국의 다리’ 붕괴>(tbc 서은진 기자)는 “100년 넘게 낙동강의 세찬 물살을 버틴 옛 왜관 철교가 붕괴된 것은 4대강 공사로 바닥을 파헤쳤기 때문으로 보여진다”며 “준설 작업을 벌이기 전 교각 보강 공사를 했지만 공사비를 아끼기 위해 붕괴된 2번 교각은 제외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보도했다. 이어 “다리 교각이 강 바닥에 6~7m 깊이로 박힌 것을 감안해 3~4m만 파내야 하지만 이런 원칙도 무시됐다”고 지적한 뒤, “한국 전쟁 당시 낙동강 전투를 상징하는 ‘호국의 다리’가 무리한 4대강 공사로 전쟁 발발 61주년인 오늘 힘없이 무너졌다”고 꼬집었다.
민주당 대표실의 도청 의혹이 사실이라면 의회정치를 파괴하고 민주주의의 토대를 흔드는 심각한 문제다. 또한 이명박 정부들어 불거진 총리실의 민간인 불법사찰에 이은 시대착오적 만행이다. 따라서 회의 녹취록을 누가 어떻게 작성했고, 어떤 경로로 한 의원이 전달받았는지 등을 명백하게 밝혀야 한다.
그러나 방송3사는 이번 사건을 여야의 ‘설전’이나 ‘공방’으로 접근하는데 그쳤다. 특히 KBS는 자사 ‘수신료’ 문제와 관련한 ‘심야토론’ 내용을 보도하며 보도 말미에 여야가 관련 의혹에 대해 설전을 벌였다고 언급하는데 그쳤다. MBC도 여야의 ‘갈등’ 상황을 나열하며 불법 도청 의혹을 간단하게 전했다. SBS는 한 꼭지로 관련 내용을 보도해 KBS와 MBC보다는 자세하게 전했지만, 여야의 주장을 나열하는데 그쳤다.
<‘선결조건’ 열띤 토론>(KBS, 이영현/26일)
<영수회담 앞두고..>(MBC, 김병헌/25일)
<“당대표실 도청” 공방>(SBS, 한승희/25일)
KBS는 ‘불법 도청 의혹’에 대해 제대로 다루지 않았다. 26일 <‘선결조건’ 열띤 토론>(이영현 기자)에서 수신료 인상에 대한 KBS <심야토론> 내용을 다루며 “토론 초반 의원들은 수신료 인상 합의 파기와 도청 의혹 등을 놓고 설전을 벌이기도 했다”고 언급하는데 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