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 모니터_
4대강 사업과 녹조현상에 대한 주요일간지 모니터(2013.8.23)지난 19일 4대강사업국민검증단(이하 국민검증단)과 민주당 4대강사업진상조사위원회가 4대강사업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국민검증단’은 국무총리실의 4대강사업조사평가위원회(이하 조사평가위원회)가 4대강 사업에 대한 찬‧반 인사를 동수로 참여시키겠다는 방식에 문제제기하면서 환경시민단체들이 별도로 꾸린 조직이다. 당시 환경시민단체들은 국무총리실의 조사평가위원회 구성과 관련해 “사업을 평가하는데 그 사업을 수행한 사람이 참여해서는 객관적으로 공정한 평가가 이뤄질 수 없다”, “찬반논쟁만 하다가 끝날 것”이라고 반발했다. 정부는 4대강사업에 대해 찬‧반 인사를 동수로 참여시켜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한편, 민주당은 “4대강에 대한 감사원 조사가 미비하면 국정조사를 실시하도록 노력하기로 여야가 합의했다”면서 “합의정신에 의해 국정조사를 실시하고 정확한 실체적 진실을 국민 앞에 밝혀 책임자를 처벌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중앙일보는 8건의 기사를 내놨는데 그 중 5건이 4대강 사업 비리와 비자금에만 초점을 맞춘 기사였다. 4대강 사업으로 인해 빚어진 환경 문제에 대한 언급은 한 건도 없었다.
조선일보는 17건을 보도했다. 조선일보는 17건을 보도했다. 대부분 지난 6일 윤성규 환경부 장관이 낙동강 녹조확산의 원인이 4대강 사업으로 설치된 보 때문이라고 청와대에 보고한 것과 관련해 윤 장관의 발언에 대한 적정성 여부를 따지는 기사였다. 4대강 녹조현상에 대해서는 상황에 대한 찬반 입장을 나열하는 수준에 그쳤다.<표1 참조>
■ 낙동강, 녹색 페인트 뿌려놓은 듯 … 조중동은 ‘외면’
낙동강 지역의 녹조현상이 중상류 지역과 지천까지 번지고 있다. 현재 낙동강에는 녹색 조류 사체, 황색 조류 사체와 각종 부유물들이 뒤섞여 악취가 진동하고 있다. 녹조는 낙동강 뿐 아니라 금강과 영산강까지 급격하게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환경부는 ‘먹는 물에는 이상이 없다’, ‘수돗물은 안전하다’는 말만 반복하며, 보 수문 개방 등과 같은 적극적인 조치는 취하지 않고 있다. 조중동 신문에서도 ‘녹조’를 우려하는 목소리는 찾아볼 수 없다. 중앙과 동아는 녹조현상이 벌어지고 있는 낙동강 사진을 한 차례도 내놓지 않았다.
한편, 21일 <사람 장기에 작용하는 독소 많아…재해로 다뤄야>(21면)는 녹조현상을 일으키는 주범인 시아노박테리아가 갖고 있는 위험성을 주요하게 다루면서 “4대강 보가 (시아노박테리아의) 증식메커니즘을 더 굳혔다”고 지적했다.
동행르포 형태로 쓴 10일 <“홍수때도 멀쩡했던 다리 여주서만 5개가 무너져”>(5면)는 “4대강 사업이 지천에는 수해를 가중시키고 있으며, 안전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그 피해는 계속될 것”, “이제는 망가진 하천을 복원하기 위해 중지를 모아야 할 때”라는 국민검증단 박창근 교수의 인터뷰를 실었다.
21일 <시민단체 “4대강 사업 국민 소송”>(10면)은 “시민단체들이 이명박 전 대통령을 비롯한 4대강 사업 책임자들에 대한 ‘국민소송’을 추진한다”면서 19일 진행된 국민검증단의 조사결과 발표를 주요하게 전했다.
■ 윤 장관, ‘4대강 사업 녹조에 영향 미쳤다’…조중동, 융단폭격 가해
이 발언을 처음 전한 곳은 8일 조선일보이다. 그러자 다음날인 9일 동아일보는 조선일보의 기사를 받아 <환경장관, 4대강 녹조 원인 데이터로 제시해야>라는 사설을 내놨다. 윤 장관에게 “보가 녹조를 유발한다고 판단했다면 정확한 데이터를 제시하고 그 대책도 함께 내놓는 게 환경장관의 의무”라고 윽박지르는 한편, “4대강 사업의 공과는 좀 더 지켜봐야 하겠지만 가뭄과 홍수조절 효과는 분명해 보인다”며 4대강 사업을 감싸는 사설이었다.
이 날 조선일보도 <4대강 녹조 지금대로 그냥 놔두라는 환경장관>이라는 사설을 통해 “환경부 장관이 뚜렷한 근거도 내놓지 않은 채 4대강 문제를 단정적으로 거론하는 것은 책임을 전 정권에 넘기려고 한다는 인상만 더 짙게 할 우려가 있다”면서 “환경부 장관의 책임은 녹조의 원인 규명에 그치는 게 아니라 그것을 해결하는 데 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고 다그쳤다.
윤 장관은 ‘4대강 사업으로 녹조가 가중됐다’는 한 마디를 박 대통령에게 전한 이후 조중동에게 집중 포화를 맞은 것이다. 윤 장관이 “이명박 정부 때 4대강 사업으로 인한 녹조 현상을 숨기기 위해 정부부처가 녹조를 걷으러 다녔기 때문에, 그런 행위를 하지 말라”는 취지로 했던 발언이라는 등의 해명을 내놨지만 조선일보는 윤 장관 발언을 둘러싼 갈등을 지속적으로 보도했다.
기사 내용은 ‘4대강 사업 마지막 갈등 장소’인 양평 두물머리에 1년 만에 갔더니 쉼터가 조성돼 “아름다운 풍경”이 만들어졌다는 것으로 4대강 사업의 일환을 띄우는 듯한 기사이다. 기사는 1년 전 ‘두물머리에 각종 생활쓰레기가 쌓여있는 모습’과 현재의 모습을 대비시켜 ‘농성이 끝나니 제 모습을 찾았다’는 내용이다. 그러나 이는 사실과 다르다.
과거 이명박 정부는 4대강 사업으로 남한강과 북한강이 만나는 두물머리에 자전거 도로와 놀이시설을 설치를 강행한 바 있다. 이 계획에 대해 당시 농민들과 환경단체는 두물머리 유기농 단지를 놀이시설 등이 있는 공원으로 바뀌려는 4대강 사업에 반대했고 2년여간 긴 싸움을 벌였다. 농성 끝에 지난해 농민들과 정부는 두물머리를 4대강 사업이 아닌 친환경 생태학습장으로 조성하기로 했다.
현재 4대강 사업의 일환으로 만든 수변공원은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고 있으며, 인공으로 만든 습지가 썩어가는 등 ‘흉물’로 전락했다는 지적이 곳곳에서 제기되고 있다는 것을 고려하면, 농민들과 환경단체의 끈질긴 투쟁과 농성이 두물머리를 지켜낸 셈이다. 동아일보가 4대강 사업을 띄우고자 한 목적이 아니었다면, 기사제목을 ‘불법건물’이 아닌 ‘놀이 시설’로 바꿔 <‘놀이 시설’ 들어설 뻔한 자리에 생태공원 조성…그림 같은 풍광>이라는 제목을 뽑는 것이 마땅할 것이다. 한편 기사는 농민들이 물러나자 관광객이 늘어나고, 주변이 깨끗해진 것으로 보도했으나 실상은 다르다는 증언도 나왔다. 두물머리에 사는 방춘배 씨는 “유기농 단지는 농민들이 떠난 이후 방문자 수가 급격히 줄었고, 농민들이 관리를 하지 않으니 수풀이 무성해져 오히려 전망을 해치고 있다”고 밝혔다.
(사)민주언론시민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