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 모니터_
5월 18일 방송 3사 저녁종합뉴스 일일 브리핑(2011.5.19)
등록 2013.09.25 11:57
조회 324
 [오늘의 브리핑]
1. MB, 3년 연속 5.18기념식 불참 … KBS․MBC, 언급도 안 해
2. KBS와 SBS, ‘IMD 국가경쟁력 평가’ 보도 차이
 
  
5월 18일 방송 3사 저녁종합뉴스 일일 브리핑
MB, 3년째 5·18기념식 외면 … KBS·MBC 언급조차 없어 
 

■ MB, 3년 연속 5.18기념식 불참 … KBS․MBC, 언급도 안 해
 
18일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 묘지에서 5.18광주민주화운동 31주년 기념식이 열렸다. 그러나 이명박 대통령은 이번에도 기념식에 참석하지 않았고, 기념사는 김황식 국무총리가 대독했다. 이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자유와 민주를 향한 그날의 함성은 6월 항쟁으로 이어져 한국 민주주의를 회복시켰다”고 평가하면서도 “자유롭게 의견을 피력하고 이익을 주장하는 것은 민주주의의 큰 장점이자 힘이지만 특정 개인이나 집단의 견해와 이익을 일방적으로 주장하고, 극한 대립과 투쟁으로 나아가서는 안 되겠다”, “지역갈등과 세대갈등, 이념갈등이 높은 사회적 비용을 유발하고, 선진화의 발목을 잡지 말아야 하겠다”는 주장을 펴기도 했다.

이 대통령은 취임 후 3년 내내 5.18광주민주화운동 기념식에 불참했다. 청와대는 이 대통령이 일정이 바빠서 참석하지 못했다고 밝혔지만 이 대통령의 이날 공식 일정은 생물다양성 협약 사무총장․사막화방지 협약 사무총장․77그룹 사무총장 등 국외 인사 공동 접견 1건 뿐이다. 더욱이 이 대통령은 ‘현장 방문’을 중시해 며칠 전에도 카이스트 개교 40주년 행사, 상주 자전거축전 개막식 등에 참석했다. 이 때문에 대통령의 5.18기념식 불참이 다분히 의도적이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한편 이번 5.18기념식은 ‘임을 위한 행진곡’ 합창으로 마무리됐다. 지난 해 5.18기념식 때에는 이명박 정부가 ‘임을 위한 행진곡’을 빼고 대신 ‘방아타령’을 넣으려다가 시민사회의 반발을 샀다.
 
이 대통령이 국가기념일 행사인 5.18기념식에 3년 연속으로 불참한 것은 단순하게 봐 넘길 사안이 아니다. 하지만 18일 방송3사는 이 대통령의 기념식 불참에 대해 최소한의 문제 제기조차 하지 않았다. 특히 KBS와 MBC는 이 대통령의 ‘3년 연속 기념식 불참’ 사실을 언급조차하지 않았다. KBS는 올해 ‘임을 위한 행진곡’을 다시 합창하게 된 것도 “지난해 못 부른 ‘임을 위한 행진곡’을 합창했다”고 두루뭉수리하게 전하는데 그쳤다.
SBS는 “대통령은 3년째 참석하지 않아 아쉬움을 남겼다”고 언급했다.
 
 
<“5․18정신 계승․발전”>(KBS, 전진)
<31주년 기념식>(MBC, 김철원)
<다시 부른 ‘임을 위한 행진곡’>(SBS, KBC이계혁)
 
KBS <“5․18정신 계승․발전”>(전진 기자)은 5.18 기념식 장면을 비추며 “이명박 대통령은 김황식 총리가 대독한 기념사에서 광주시민의 희생으로 이 땅에 민주화의 희망이 심어졌다고 5.18을 평가했다”고 전하는데 그쳤다. 또 “민주화운동 유공자와 시민 등 2천5백여 명이 참석해, 지난해 못 부른 ‘임을 위한 행진곡’을 합창했다”고 덧붙였다.
 
MBC <31주년 기념식>(김철원 기자)은 “이명박 대통령은 김황식 총리가 대신 읽은 기념사에서 ‘우리는 민주주의를 완전히 이룬 국가들 반열에 들어섰다며 이제는 더 높은 수준의 민주주의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단순 보도했다. 이어 “지난해 식순에서 제외돼 시민들의 반발을 샀던 ‘임을 위한 행진곡’이 기념식의 마지막 순서로 불렸다”고 덧붙였다.
 
SBS <다시 부른 ‘임을 위한 행진곡’>(KBC 이계혁 기자)은 “기념식에서 참석자들은 임을 위한 행진곡을 함께 부르며 희생자들의 넋을 위로했다”며 “임을 위한 행진곡은 지난해 공식행사 식순에서 빠지면서 큰 논란을 빚었다”고 전했다. 이어 “이명박 대통령은 김황식 총리가 대독한 기념사에서 5.18 정신을 바탕으로 우리나라가 더 깊은 민주주의를 향해 나아가자고 강조했다”면서 “기념식에는 유가족과 여야 정치인 등 2500여명이 자리를 가득 메웠지만, 대통령은 3년째 참석하지 않아 아쉬움을 남겼다”고 이 대통령의 ‘3년 연속 불참’ 사실을 언급만 했다.
 
 
■ KBS와 SBS, ‘IMD 국가경쟁력 평가’ 보도 차이
- KBS는 ‘순위 향상’만 부각, SBS는 ‘물가 꼴찌수준’ 지적

 
18일 기획재정부는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연구원(IMD)이 매년 발표하는 ‘2011년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세계 22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한국의 IMD 국가경쟁력 순위는 2008년 31, 2009년 27위, 지난해 23위에 이어 3년 연속 높아졌다. 정부효율성은 지난해보다 4계단(26→22위) 오른 반면 경제성과는 지난해보다 4계단(21→25위) 떨어졌다. 특히 물가항목은 41위에서 52위로 11계단 내려앉았다.
한편 국가경쟁력 평가의 신뢰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높다. IMD의 경우 경제성과, 정부 효율성, 기업 효율성, 인프라구축 등 4대 부문에 대한 경제지표와 함께 최고경영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가 주요 평가 근거여서 다분히 주관적으로 흐를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평가 항목도 기업 경쟁력 분야에 편중돼 있어 사회 후생이나 사회적 자본과 같은 국가 경쟁력을 따질 수 있는 평가는 미흡하다. 또 이번 IMD의 평가 결과는 스위스에 있는 세계경제포럼(WEF)의 국가경쟁력 순위와도 상반됐다. WEF는 IMD와 달리 한국의 국가경쟁력지수를 3년 연속 하향 평가했다. 지난 해 9월 8일 발표에서는 평가대상 139개국 중 22위로 전 년에 비해 3계단 낮아졌다. 이 순위는 참여정부 시절(2007년에는 11위)과 비교하면 3년 동안 무려 11단계나 추락한 것이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국가경쟁력 순위’에 일희일비 하거나 확대해석 하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고 말한다.
 
18일 KBS와 SBS는 IMD의 조사 결과를 주요하게 보도했는데 보도 내용에서 차이를 보였다.
KBS는 국가경쟁력 순위 향상에만 초점을 맞췄다. 물가항목 순위가 크게 떨어진데 대해서는 “물가 부문에선 순위가 내려갔지만 정부와 기업의 효율성 등이 높이 평가됐다”고 언급하는데 그쳤다. 특히 KBS는 지난 해 WEF의 ‘3년 연속 국가경쟁력지수 하락’ 사실은 전혀 보도하지 않았다.
SBS는 물가와 고용창출, 중소기업 분야의 순위 하락에 보다 초점을 맞춰 차이를 보였다. SBS는 WEF의 발표도 보도했었다.(2010.9.9)
 
 
<국가경쟁력 22위>(KBS, 최재현)
<국가경쟁력 22위 역대 최고>(SBS, 홍순준)
 
KBS <국가경쟁력 22위>(최재현 기자)는 “우리나라 국가 경쟁력이 세계 22위로 평가됐다”며 “3년 연속 상승세를 타면서 역대 가장 좋은 성적을 냈다”는 앵커멘트로 시작했다.
보도는 “우리나라 국가 경쟁력은 세계 22위, 유럽 주요국과 비교해 보면 독일, 영국보단 낮고, 프랑스, 스페인 등 남부 유럽, 폴란드, 체코 등 동부유럽 국가들보단 월등히 높았다”, “26위에 그친 일본에 대해서도 2년 연속, 우위를 지켰다”고 전했다. 이어 “물가 부문에선 순위가 내려갔지만 정부와 기업의 효율성 등이 높이 평가됐다”며 “이로써 지난 2008년 한때 주춤했던 우리나라의 국가 경쟁력은 3년 연속, 상승세를 보이며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고 보도했다. 그리고 “스위스 IMD는 미국 금융 시장의 회복세와, 한국과 터키 등 신흥 강국의 성장세를 이번 분석 결과의 주요 특징으로 꼽았다”고 덧붙였다.
 
SBS <국가경쟁력 22위 역대 최고>(홍순준 기자)는 “한국의 국가경쟁력이 역대 최고인 22위를 기록했다”면서도 “물가와 중소기업 분야는 선진국 가운데서 여전히 꼴찌수준에 머물렀다”는 앵커멘트로 시작했다.
보도는 한국이 IMD평가에서 22위에 올랐다며 “올해까지 3년 연속 상승하며 역대 최고 기록을 낸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물가관리부문에서는 열한 단계나 떨어지면서 52위로 처졌다”며 “한국 주요 도시의 생활물가수준이 뉴욕기준치를 상회하면서 생활물가 불안이 고조되었음을 반영하고 있다”는 전문가 인터뷰를 실었다. 또 “고용 창출과 생활수준 향상에 직결된 서비스업과 중소기업 부문도 약점으로 지목됐다”며 “IMD 보고서는 올해 한국의 정책 과제로 일자리 창출과 인플레 완화, 노동자 생활수준 향상을 제시했다”고 덧붙였다. <끝>
 
 
2011년 5월 18일
(사)민주언론시민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