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 모니터_
2월 27일자 주요 일간지 일일 모니터 브리핑(2013.2.27)
등록 2013.09.25 11:52
조회 360
일일브리핑은 제 시민단체와 정당, 언론사와 구독을 원하는 누리꾼과 일반 시민들에게도 메일로 배포합니다. 신문 일일브리핑을 받아보기 원하는 분들은 ccdm1984@hanmail.net으로 신청하시면 됩니다.
■ 오늘의 브리핑
 - 정수장학회 ‘사회환원’ 요구…조중동은 침묵
 
 

정수장학회 ‘사회환원’ 요구…조중동은 침묵
 
 

박근혜 대통령이 취임한 25일 최필립 정수장학회 이사장이 사퇴를 발표했다. 이를 두고 최 이사장이 박 대통령의 정치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사퇴를 결심한 것으로 보인다는 해석이 제기되고 있다. 한편으로는 최 이사장의 사퇴로 정수장학회와 관련된 정치적 논란을 일단락 지으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나오고 있다. 

정수장학회는 박 대통령의 아버지인 박정희 전 대통령이 부산의 기업인이었던 고 김지태 씨의 부일장학회를 강탈한 것으로, 이후 명칭을 5․16장학회에서 정수장학회로 바꾸고 박 전 대통령의 측근들이 관리해 왔다. 1995년에는 박 대통령이 정수장학회 이사장을 맡아 10년간 관리했으며, 2005년부터는 자신의 측근인 최 이사장에게 정수장학회를 맡겼다. 현재 정수장학회는 MBC 지분 30%와 부산일보 지분 100% 등 언론사 지분을 소유하고 있는데, 지난 대선 당시 최 이사장과 MBC 이진숙 기획홍보본부장이 지분 매각을 통해 박 대통령의 선거지원을 하려던 것이 아니냐는 논란이  일기도 했다. 때문에 당시 최 이사장에 대한 사퇴 요구와 정수장학회 사회환원 등을 요구받았으나 이를 거부해왔다. 25일 최 이사장은 사퇴 입장을 전하면서 “(당시에는) 정치권에 말려들어 본의 아니게 정치권에 누를 끼치게 될 것을 우려”해 사퇴 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한편, 최 이사장의 사퇴로 정수장학회 사회환원 요구가 다시 일어나고 있다. 정수장학회가 박 전 대통령이 강탈한 ‘장물’이며, 정수장학회를 사유화했다는 지적이다. 또한 정수장학회가 부산일보와 MBC 소유 지분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언론의 독립성을 훼손시킨 만큼 언론의 독립성과 공공성을 보장할 수 있는 인사들로 새롭게 이사회를 구성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함께 나오고 있다. 현재 정수장학회 이사진들은 박 대통령 인맥으로 이뤄져 있으며, 4명의 이사 중 김덕순․신성오 이사 두 명은 4년 임기의 연임 신청이 승인된 상태이다.
또한 정수장학회 문제 해결을 위해 박 대통령이 직접 입장을 밝히고, 사회환원을 선언해야 한다는 요구도 있다. 앞서 박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본인은 정수장학회와 아무 상관이 없다고 밝힌 바 있으나 정수장학회는 아버지 박 전 대통령의 유산이고, 본인이 이사장으로도 재임했으니 전혀 상관이 없다거나 책임을 회피하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26, 27일 한겨레신문과 경향신문은 최 이사장의 사퇴 소식을 전하면서 정수장학회 사회환원을 요구하는 야권과 시민사회의 목소리를 비중 있게 다뤘다. 또한 사설에서는 정수장학회의 사회환원을 촉구하면서 박 대통령이 문제 해결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반면, 조중동은 26일 최 이사장의 사퇴를 전하는 데 그쳤다. 정수장학회의 사회환원을 요구하는 시민사회의 목소리는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최필립 정수장학회 이사장 사퇴>(한겨레, 1면/2.26)
<박 대통령 취임맞춰 사임…정수장학회 사회환원 이어질까>(한겨레, 11면/2.26)
<최필립 사퇴 ‘꼬리 자르기’ 그칠라>(한겨레, 14면/2.27)
<정수장학회 사회환원, 이번이 절호의 기회다>(한겨레, 사설/2.27)

한겨레신문은 27일자 14면 <최필립 사퇴 ‘꼬리 자르기’ 그칠라>에서 “최 이사장의 퇴진이 ‘꼬리 자르기’에 그칠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다. “정수장학회 쪽에서는 조만간 새 이사장 선출에 나설 것으로 보이지만 사회 환원에 대한 입장은 밝히지 않고 있”고, “이사장 외 4명의 이사 중 지난해 말 임기가 끝난 2명을 연임시켜 사회 환원 요구와는 상충되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연임된 김덕순 이사와 신성오 이사가 각각 박 대통령, 최 이사장과 연이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정수장학회 강탈 사건은 언론 장악 의도에 의해 발생한 것”이라는 국정원 과거사진상규명위의 발표를 언급하며, 이 때문에 “정수장학회 문제는 ‘언론장악’ 문제로 접근해야 한다는 시각이 많다”고 전했다. 게다가 “박 대통령이 취임한 상황이라 언론사 지분을 가진 장학회가 계속 그의 영향권 아래에 있는 것은 더욱 적절치 않다”고 지적했다. 
같은 날 사설 <정수장학회 사회환원, 이번이 절호의 기회다>에서도 정수장학회가 언론사 지분을 가지고 있는 탓에 “언론장악 논란에서 자유롭지 않다”며, ‘정수장학회의 사회환원 문제를 공론화’하고 ‘편집권 독립을 요구’한 부산일보 이정호 편집국장의 해고를 언론장악의 예로 들었다. 또한 대선을 앞두고 언론사 지분을 매각해 선거에 개입하려한 정황이 드러나기도 했는데, “최 이사장이 잘못을 사과하지 않은 것은 매우 유감”이라고 표명했다. 이어 정수장학회는 “언론의 독립성과 공공성을 보장할 수 있는 공익재단으로 탈바꿈시키는 것이 올바른 길”이며, “장학회의 다른 이사들이 김씨 유족 및 시민사회 대표들과 장학회를 올바르게 사회에 환원할 방법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런 논의를 위해서는 “박 대통령의 입장 표명이 필수적”이라며 “아버지 시대의 부정적 유산이고 자신도 이사장을 지냈다는 점에서 확실하게 매듭을 짓는 것이 옳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만약 ‘제2의 최필립’ 같은 인사가 새 이사장에 선임되면 “박 대통령은 정수장학회를 수렴청정하고 언론을 장악하려 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최필립 정수장학회 이사장 사임>(경향, 1면/2.26)
<대통령 취임식날 팩스로 ‘깜짝 사퇴’…다시 사회환원 논란>(경향, 8면/2.26)
<김지태씨 유족․부산일보․MBC “이사장 사임으로 끝날 일 아니다”>(경향, 8면/2.26)
<박 대통령 ‘영애’ 시절부터 보필 2005년 장학회 이사장 물려받았다>(경향, 8면/2.26)
<정수장학회 사회환원 목소리 커져>(경향, 1면/2.27)
<정수장학회 ‘최필립의 그림자’ 이사 4명은 동반퇴진 입장 안 밝혀>(경향, 2면/2.27)
< MBC․부산일보 주식과 경향신문사 부지 등 보유 정관상 금융자산은 2010년 4월 현재 210억 넘어>(경향, 2면/2.27)
<고 김지태씨 유족들 ‘주식 양도 청구’ ‘최필립-이진숙 대화’ 녹음 보도 기자>(경향, 2면/2.27)
<최필립 사퇴 후 정수장학회 문제 해결의 길>(경향, 사설/2.27)

경향신문은 27일자 1면 <정수장학회 사회환원 목소리 커져>에서 최 이사장의 사퇴를 계기로 “정수장학회가 새로운 공익재단으로 거듭나야 한다”는 야당과 시민사회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고 전했다. 보도는 △박정희 정권이 김지태 씨에게 빼앗은 ‘장물’을 사회에 환원하는 ‘역사 청산의 문제’ △박 대통령과 측근들에 의해 폐쇄적인 ‘사조직’으로 운영된 문제 △장학회가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언론사들의 독립성 문제 등 정수장학회에 대해 새로운 해법과 출구가 요구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어 2면 <정수장학회 ‘최필립의 그림자’ 이사 4명은 동반퇴진 입장 안 밝혀>에서는 최 이사장을 제외한 나머지 이사 4명의 거취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 가운데, “최 이사장이 정수장학회가 장학재단으로 존속하기를 희망해 이사들이 현직을 유지할 가능성은 남아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박 대통령과 최 이사장의 ‘그림자’ 역할을 해온 이사들에 대해서는 시민사회와 여당의 사퇴 압박도 커지고 있”으며, 정수장학회가 “박 대통령의 영향권을 벗어나지 못하는 한 정치적 논란이 계속될 수밖에 없고, 재단 운영의 공정성과 독립성 평가도 이사진 구성 문제가 주요 잣대가 될 상황”이라고 전망했다.
같은 날 사설 <최필립 사퇴 후 정수장학회 문제 해결의 길>에서는 “박 대통령은 정수장학회가 정치적 장물이란 사실을 인정한 적이 없”고, 지난 10월 대선 후보 때도 ‘정수장학회 문제는 관계가 없다’며 본인이 상관할 일이 아니라고 했는데, “이것은 공감하기 힘든 태도”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박 대통령은 “1995년부터 10년 동안 정수장학회 이사장을 지내며 고액의 보수를 받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현재 정수장학회 문제가 정치적 해법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에서, “박 대통령이 이런 문제를 정면으로 응시하지 않고 외면해버린다면 국민이 새 정치에 거는 희망도 크게 퇴색될 것”이라며, 박 대통령 본인이 ‘정수장학회 장물 논란’을 매듭지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최필립 정수장학회 이사장 사임>(조선, 1면/2.26)
<“임기 다 하겠다” 버티던 최필립 朴대통령 취임날 저녁 전격 퇴진>(조선, 6면/2.26)

조선일보는 26일자 6면 <“임기 다 하겠다” 버티던 최필립 朴대통령 취임날 저녁 전격 퇴진>에서 최 이사장이 박 대통령 취임일에 자진사퇴한 것은 “자신이 사적인 욕심이 없음을 부각시키면서 박 대통령의 향후 집권 기간 동안 이 문제가 다시 쟁점이 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조치”라고 풀이했다. 이어 “(최 이사장이) 이제 박 대통령이 취임한 만큼 다른 정치적 오해를 받지 않고 깨끗하게 물러나기로 마음을 먹은 것 같다”는 여권 관계자의 말을 전했다.

<최필립 정수장학회 이사장직 사임>(동아, 10면/2.26)

동아일보는 26일 10면 <최필립 정수장학회 이사장직 사임>에서 최 이사장의 사퇴 소식을 전한 뒤, “이에 따라 정수장학회를 둘러싼 정치적 논란이 어느 정도 잦아들지 주목된다”고 덧붙였다. 한편, 정수장학회의 언론사 지분 매각과 관련해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고소된 최 이사장은 무혐의를 받은 반면, 매각 논의 대화를 보도한 신문기자는 통신비밀보호법 위반 혐의로 불구속 기소됐다고 부각했다.

<정수장학회 이사장 최필립씨 자진사퇴>(중앙, 14면/2.26)

중앙일보는 26일자 14면 <정수장학회 이사장 최필립씨 자진사퇴>에서 최 이사장의 사퇴 소식 간단히 전하는데 그쳤다. <끝>
 
 

 

2013년 2월 27일
(사)민주언론시민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