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 모니터_
1월 5일 방송3사 저녁종합뉴스 일일 브리핑(2011.1.6)YS “재산 환원”… KBS, 이틈에 “MB도 띄우자”
김 전 대통령은 5일 자신의 집에 신년 인사차 들린 한나라당 안상수 대표와 만난자리에서 상도동 자택과 상속받은 거제도 등지의 땅을 ‘김영삼 민주센터’와 ‘거제시’에 환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영삼 민주센터’로 환원된 재산은 문민정부 평가와 한국 민주화 연구 등에 쓰일 예정이라고 한다.
MBC는 전두환 대통령이 ‘전 재산이 29만원뿐이라지만 전 전 대통령의 씀씀이는 아직도 큰 것으로 알려졌다’고 꼬집으면서 전두환․ 노태우 씨의 미납 추징금을 언급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기부 사실을 언급한 뒤 노무현 전 대통령은 오히려 빚이 있었다고 보도했다. 이명박 대통령의 청계재단 설립도 다뤘다.
SBS도 역대 대통령들의 재산 상황, 기부 사례 등을 다뤘다.
KBS는 김영삼 전 대통령의 기부 소식과 함께 이명박 대통령의 기부만 덧붙였다. 김 전 대통령에 대해서는 “재임 중 금융실명제와 공직자 재산 신고 제도를 도입해 우리 사회의 투명성을 높였다”는 평가도 함께 내놨다.
<다른 전직 대통령은?>(유상하 기자)
SBS <“전 재산 사회 환원”>(정영태 기자)
KBS <“50억 재산 사회 환원”>(김주한 기자)
이어 “가족들은 김 전 대통령의 뜻에 흔쾌히 따르겠다는 반응”이라면서 “큰 뜻을 가지고 생각하신 것이기 때문에 저희들은 전적으로 찬성하고 따라간다”는 차남 김현철 씨의 전화 인터뷰를 실었다. 또 “상도동 자택과 거제도 땅은 ‘김영삼 민주센터’에, 거제도 생가는 거제시에 기부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보도는 “한나라당 안상수 대표는 김영삼 전 대통령에 이어, 전두환 전 대통령의 연희동 자택을 찾았다”면서 건강한 비결을 묻는 안 대표의 말에 ‘밥 잘 먹고, 운동한다’는 전 전 대통령의 대답을 실은 뒤 “전 재산이 29만원뿐이라지만 전 전 대통령의 씀씀이는 아직도 큰 것으로 알려졌다”고 꼬집었다. 또 “추징금 1,672억 원을 내지 않고 있는 가운데 작년 10월 갑자기 강연소득이 생겼다며 3백만 원을 납부해 관심을 모았다”며 함께 추징금 선고를 받은 노태우 전 대통령은 “지금까지 90% 가량을 냈고 미납액 284억 원을 남겨두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고 김대중 전 대통령은 동교동에 있는 시가 150억 원 규모의 아태평화재단을 연세대에 기증했다”, “노벨평화상 상금 중 일부인 3억 원도 기부했고, 연세대는 재단 건물과 상금으로 김대중 도서관을 만들었다”고 전했다.
한편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은 서거 당시 재산 13억 원에 부채 16억 원으로, 빚이 더 많았다”면서 “김해 봉하마을의 사저를 짓기 위해 빌린 은행 빚이 대부분”이었고, “이명박 대통령은 취임한 지 1년 반 만에 논현동 자택과 일부 동산을 제외한 전 재산 331억 원을 기부해 청계재단을 설립했다”고 보도했다. 그러면서 “청계재단은 작년 한 해 450명의 학생에게 장학금 6억4천만 원을 지급했고, 앞으로도 해마다 4백여 명의 학생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김대중 전 대통령은 퇴임하면서 150억 원 상당의 당시 아-태 평화재단 건물과 토지, 사료를 연세대에 기부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서거 뒤 남긴 재산보다 오히려 부채가 더 많았다”고 전하고, “전두환 전 대통령은 1,672억 원, 노태우 전 대통령은 284억 원의 내야할 추징금을 안 내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 “이명박 대통령은 재작년 사재 331억 원을 기부해 장학재단을 설립했다”고 짧게 소개했다.
또 “김 전 대통령의 차남인 김현철 여의도연구소 부소장은 아버지의 민주주의 가치를 기리기 위해 흔쾌히 받아들였다고 말했다”며 김현철 씨의 직위를 언급하고 김 씨를 클로즈업 해 비추었다.
보도는 “앞서 지난 2007년 대선 후보 당시 자신의 재산 3백30억 원을 장학재단에 기부하기로 한 이명박 대통령은 2009년 약속을 이행했다”면서 ‘부부가 살만한 집 가지면 충분하다’는 당시 이대통령의 인터뷰를 싣고 “현직 대통령에 이어 전직 대통령의 잇따른 재산 기부가 우리 사회의 나눔의 문화를 확산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끝>
2011년 1월 6일
(사)민주언론시민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