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 모니터_
2월 27일자 주요 일간지 일일 모니터 브리핑(2012.2.27)일일브리핑은 제 시민단체와 정당, 언론사와 구독을 원하는 누리꾼과 일반 시민들에게도 메일로 배포합니다. 신문 일일브리핑을 받아보기 원하는 분들은 ccdm1984@hanmail.net으로 신청하시면 됩니다.
■ 오늘의 브리핑
- 시민운동가는 정치도 못해?…<동아> ‘엉터리 통계’로 딴죽
■ <동아> 진보 시민단체 예비후보 비율 10배 뻥튀기
<감시자에서 ‘선수’로… 진보성향 단체 출신, 보수의 6.3배>(동아, 3면/27일)
<“정당정치 한계 보완” vs “비판견제 기능 약화”>(동아, 3면/27일)
이어지는 3면 기사 <감시자에서 ‘선수’로… 진보성향 단체 출신, 보수의 6.3배>에서는 예비후보들의 주요 이력을 바탕으로 직업군을 분석하면 ‘정당인 989명, 기업인 194명, 법조인 180명, 학계 170명, 공직자 80명, 언론인 58명, 시민운동가 54명’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시민단체 출신 예비후보들은 대부분 진보단체 출신이었다며 “진보단체에서 활동한 후보가 228명으로 보수단체 경력자 36명보다 6.3배 많았다”고 보도했다.
동아일보는 중복 집계된 수치를 이용하여 시민단체 출신의 정치권 진출 규모를 지나치게 부풀렸다. 비록 “예비후보자 한 사람이 활동했던 모든 시민단체를 대상으로 복수로 집계”했다는 단서를 달아 빠져나갈 구멍을 만들었지만 그렇다고 하더라도 그 도가 너무 심하다. 3면 기사에서 제시했듯이 예비후보 1982명 중 시민운동가는 54명으로 2.7%에 불과하고, 정당인, 기업인, 법조인, 학계, 공직자, 언론인에 이어 일곱 번째다. 그런데 1면 기사에서는 “5명 중 1명꼴로 시민단체 활동 경력”, ‘1982명 중 시민사회단체 활동 경력 후보는 모두 415명’이라고 함으로써 마치 전체 예비후보자의 20%가 시민단체 출신인 양 서술하며 무려 10배가량 부풀렸다. 예비후보 1982명 중 54명인 시민운동가가 여러 단체를 거치는 과정에서 몸담았던 단체 수를 모두 더하면 415군데가 되는 모양인데, 이를 “1982명 중 415명”이라고 단정적으로 표현한 것은 실수라고 하기엔 지나치다. 마찬가지로 ‘진보단체 출신 후보가 228명으로 보수단체 출신 후보 36명보다 6.3배 많았다’는 분석도 실제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54명의 예비후보가 거친 단체 중 진보단체가 228군데, 보수단체가 36군데였던 모양인데, 이를 228명과 36명이라고 대비하는 것은 무리다. 권력을 감시하고 비판하면서 정부 차원에서 해결되지 않는 문제들을 사회적으로 제시하고 활동하는 것이 시민단체의 역할인 만큼 진보 시민단체가 훨씬 많을 수밖에 없는 것이 한국 사회의 현실이다. 그런데 이 당연한 현실을 ‘진보단체 출신이 정치권에 많이 간다’는 식으로 왜곡해서는 곤란하다.
제대로 기사를 쓰려면 54명 중에서 진보단체 출신이 몇 명이고 보수단체 출신이 몇 명인지 제시하는 것이 옳다. 기사에 따르면 동아일보 취재팀은 통계 자료를 이용하고 분석하는 기본 원리도 제대로 몰랐거나, 진보 시민단체를 공격하고자 의도적으로 자료를 왜곡하고 부풀렸다고밖에 생각할 수 없다.
물론 정치권에 진출하려는 시민운동가도 다른 예비후보와 마찬가지로 자질과 능력을 검증 받을 수 있고, 국회에 이미 들어간 시민운동가 출신 인사들에 대한 평가도 가능하다. 그러나 동아일보는 시민단체, 특히 진보 시민단체 활동가가 정치 영역으로 진출하는 것 자체를 부정적으로 보면서 경계하는 입장을 드러냈다. 또한 “시민단체 경력이 곧 정치권으로 가기 위한 ‘예비코스’라는 말까지 나올 정도”라고 하면서 마치 시민단체 활동을 정치인이 되기 위한 수단인 것처럼 비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