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 모니터_
4월 7일자 주요일간지 일일 모니터 브리핑(2011.4.7)일일브리핑은 제 시민단체와 정당, 언론사와 구독을 원하는 누리꾼과 일반 시민들에게도 메일로 배포할 예정입니다. 신문 일일브리핑을 받아보기 원하는 분들은 ccdm1984@hanmail.net으로 신청하시면 됩니다.
■ 오늘의 브리핑
정부, 또 ‘비정규직 양산’ …<동아>‘노총 때리기’로 거들어
<경향> “비정규직 양산, UN․ILO 제안에도 배치”
<동아> “노총, 사측 받기 어려운 요구로 투쟁 동력 키우려는 것”
정부는 노동시장의 유연화와 기업환경 개선 등을 명분으로 내세우고 있지만, 사실상 비정규직을 늘려 고용의 불안정성만 증가시킨다는 비판이 나온다. 또 노사합의와 신설 기업이라는 전제 조건도 무용지물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하도급업체가 이름만 바뀌어도 신설 업체가 되고, 신설 업체의 노동자들은 실제 교섭력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것이다.
한편 노동계는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과 한국노동조합총연맹은 정부의 ‘기간제 근로자 사용기간 제한(2년)의 예외 확대’ 방침을 비판하면서, ‘노조법 재개정’과 함께 주요 과제로 삼아 투쟁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양대 노총은 8개 사안(타임오프와 복수노조 교섭창구 단일화 폐지, 기간제 근로자의 정규직화와 관련된 사용자 개념 확장, 노조활동에 대한 손배가압류 제한, 특수고용직 노동자들의 노조 설립과 관련된 노동자 개념 확장)에 대해 공조하기로 합의했다.
한편 동아일보는 양대 노총이 노조법 재개정을 목표 공동투쟁 하기로 했다면서, ‘노조의 힘이 약화될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라고 풀이했다. 아울러 최저임금 25% 인상과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등의 요구는 “사측이 받아들이기 어려운 이슈”라면서, 이러한 요구가 “노동계의 투쟁 동력을 키우기 위한 전략”이라고 폄훼했다. 또 2009년 노조법 개정이 ‘노조 전임자의 특권을 줄여야 한다는 반성’ 속에 이루어진 것이라며, 노동계의 움직임에 대한 여론이 좋지 않다고 주장했다.
▲경향신문 4면 기사
<양대 노총 ‘연합 춘투’… ‘기름’ 붓는 비정규직 확대>(경향, 4면)
<그건 정부 생각이고…>(경향, 4면)
<“인력 수급에 도움” 재계 반색>(경향, 4면)
기사는 “이번 춘투는 타임오프제와 복수노조를 둘러싼 노조법 재개정이 가장 뜨거운 이슈”라면서, “그동안 노조법 재개정을 둘러싸고 엇박자를 내온 민주노총과 한국노총의 공조도 성사”됐다고 전했다. 이어 양대 노총이 8개 의제를 야4당과 연대해 입법 발의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반면 “정부는 ‘노조법 재개정은 절대 안된다’는 입장이어서 노․정 갈등이 불가피한 상황”이라면서, “노동계의 불법행위에 대해서는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 대응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는 김희정 청와대 대변인의 말을 전했다.
기사는 “괜찮은 일자리가 적은 상황에서 정부안대로 시행될 경우 기간제 근로자만 양산하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또 “정부는 노동 유연성을 높여 단시간 근로 등 다양한 형태의 일자리를 만들겠다”지만,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권고하는 유엔이나 국제노동기구 등의 제안과도 배치되는 방안이란 지적이 만만치 않다”고 전했다. 이어 “현존하는 정규직 일자리가 비정규직으로 전환될 수도” 있으며, “노동계 반발이 사회적 비용을 유발할 것이고 기업에는 부메랑이 돼돌아올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기사는 “양대 노총이 공동투쟁까지 합의한 것은 타임오프제와 복수노조제가 현장에서 뿌리내릴 경우 노조의 힘이 약화될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타임오프제로 노조 전임자가 줄어들면 노조 활동이 위축될 수밖에 없다”면서, “복수노조제가 도입돼 교섭창구를 단일화하면 소수 노조의 교섭권과 단체행동권이 무력화된다고 주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 “최저임금 25% 인상,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등 사측이 받아들이기 어려운 이슈를 연이어 제기하는 것도 노동계의 투쟁 동력을 키우기 위한 전략”이라고 전했다.
기사는 2009년 노조법 개정이 “‘귀족 노조’로 불리는 대기업 노조, 특히 노조 전임자의 특권을 줄여야 한다는 반성 속에서 이뤄졌다는 점에서 노동계의 움직임에 대한 여론이 좋지 않은 것이 사실”이라면서, “노조법 개정은 과거 노동운동에 대한 반성과 노사관계 선진화라는 큰 틀에서 사회적 합의를 기반으로 통과된 것”이라는 고용부 관계자의 말을 덧붙였다. <끝>
(사)민주언론시민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