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 모니터_
3월 31일자 주요일간지 일일 모니터 브리핑(2011.3.31)일일브리핑은 제 시민단체와 정당, 언론사와 구독을 원하는 누리꾼과 일반 시민들에게도 메일로 배포할 예정입니다. 신문 일일브리핑을 받아보기 원하는 분들은 ccdm1984@hanmail.net으로 신청하시면 됩니다.
■ 오늘의 브리핑
재앙의 ‘조중동방송’ 현실로 … <조선><중앙> ‘자축’
- <동아> 자본금 못내고 애써 ‘발기인 총회했다’ 강조
■ 재앙의 ‘조중동 방송’ 현실화 … <조선><중앙> ‘자축 분위기’
<중앙> ‘종편 특혜 서둘러 달라’ 노골적 주문
<조선> “사회통합, 방송문화 발전 이끌겠다” 자화자찬
<동아> 자본금 못내고 애써 ‘발기인 총회’ 부각
<한겨레> “방통위 부실심사 드러났다”
한편 자본금 납입을 완료하지 못해 사업 승인 절차를 마무리 짓지 못한 동아일보와 매일경제는 28일 사업 승인 연장을 신청했다. 동아는 창립대회 개최와 법인 등기 절차에 시간이 필요하다는 이유를 제시했으며, 매경은 기존법인의 자본금 증자 및 외국환 관리법에 따른 일부 외국인 주주의 승인에 시간이 걸린다고 이유를 들었다. 방통위가 연장 신청을 수용하기로 의결함에 따라 해당 사업자들은 3개월 이내에 승인 신청을 해야 한다.
정부는 ‘글로벌 미디어산업’ 운운하며 조중동 종편을 밀어붙였지만, 현재 상황은 적어도 두 개의 컨소시엄은 최소한의 자본 조달 능력도 없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들이 종편을 개국한다고 해도 제대로 된 콘텐츠를 생산할 수 있을 것인지 의문이다. 비용 절감을 위해 값싼 외국 콘텐츠를 사들여 시청률 경쟁을 가열시키지 않을지 우려된다.
한편 사업 승인을 따낸 조선일보와 중앙일보는 종편에 대한 각종 특혜를 더욱 강력하게 요구할 것이 뻔하며, ‘조선일보 방송’ ‘중앙일보 방송’이 연말 또는 내년 초에 개국할 경우 당장 다가오는 총선과 대선에서 편파보도로 인한 부작용이 우려된다. 한편에서는 광고주들이 벌써부터 ‘조중동방송’을 위한 광고 물량을 남겨두는 탓에 중소 매체들이 광고 판매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한다. ‘조중동방송’의 폐해가 이미 나타나고 있는 셈이다.
한겨레신문은 동아와 매경의 종편 승인 시한 연장 소식을 전하며, 방통위의 ‘부실 심사’를 비판했다. 또 “사업자들이 자기 능력을 뛰어넘는 수준으로 초기 납입자본금을 써낸 것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종편 승인을 받은 조선일보와 중앙일보는 자축하는 기사를 내며 기대감을 드러냈다. 특히 중앙일보는 사설을 통해 “글로벌 미디어로의 도전”이 시작됐다며, “종편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특혜를 노골적으로 요구했다. 중앙일보는 방통위원장 최시중 씨의 광고시장 확대 정책을 언급하며, 정부가 “종편 사업의 취지를 살리는 데 소홀함이 없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자본조달 검증 '허술' 부실심사 논란 눈덩이>(한겨레, 6면)
아울러 “사업자들이 자기 능력을 뛰어넘는 수준으로 초기 납입자본금(동아 4076억원, 매경 3950억원)을 써낸 것도 문제”라면서, “결국 자본금 규모가 커진 만큼 사업자들은 선정 후에도 주금 납입에 어려움을 겪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또 “‘종편 대거 허용’도 주주 이탈을 부추긴 꼴이 됐다”면서, “방통위가 사업자를 4개나 선정하자 사업성에 회의적인 주주들 중심으로 발을 빼려는 움직임이 이어졌다”고 전했다.
<종편 승인, 글로벌 미디어 시대 연다>(중앙, 사설)
사설은 “종편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정책적 지혜를 모아야” 한다면서, “정부부터 방송시장의 독과점을 깨고 경쟁을 통해 미디어 산업을 육성한다는 종편 사업의 취지를 살리는 데 소홀함이 없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이 여러 차례 시행 방침을 밝힌 광고시장 확대 정책에 대한 구체적인 청사진을 서둘로 내놓는 게 한 예”라면서, “종편과 다른 미디어들이 공존할 수 있는 환경 조성과 함께 종편 채널 배정에 대한 정책적 대안에 대해서도 고민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또 “미디어렙 개편 문제를 처리해야 하는 국회의 역할도 크다”며 종편의 직접 광고영업 허용을 우회적으로 주문했다.
(사)민주언론시민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