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 모니터_
3월 24일자 주요일간지 일일 모니터 브리핑(2011.3.24)일일브리핑은 제 시민단체와 정당, 언론사와 구독을 원하는 누리꾼과 일반 시민들에게도 메일로 배포할 예정입니다. 신문 일일브리핑을 받아보기 원하는 분들은 ccdm1984@hanmail.net으로 신청하시면 됩니다.
■ 오늘의 브리핑
‘반서민’ 부동산 정책 … 조중동 “주택시장 활성화” 기대
<한겨레> “분양가 상한제 폐지 안돼”
<경향> “정부가 투기 부채질하나”
<조선> “주택경기 살아날 수도”
<중앙> “상한제 폐지, 수요자 불리하지만은 않아”
<동아> “분양가 크게 못올릴 것”
특히 분양가 상한제 폐지에 대해 야당과 시민단체들은 ‘반서민적 주택 정책’이라고 거세게 비판하고 있다. 분양가 상한제는 참여정부가 집값 안정화를 위해 내놓은 부동산 규제책으로 그동안 “새 아파트의 높은 분양가가 기존 집값을 끌어올리는 악순환을 막는데 상당한 역할”을 해왔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정부가 분양가 상한제 폐지 관련 법안을 4월 중 처리할 방침을 밝히면서, 건설사들이 재개발․재건축 구역의 분양을 미루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한다. 때문에 분양가 상한제 폐지는 물가대란과 전세대란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서민은 아랑곳없이 건설사들의 이익을 대변한 정책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한겨레신문은 “말로만 디티아이 규제를 부활했을 뿐 실제로는 규제를 크게 완화”해준 것이라며, “분양가 상한제 폐지 방침을 당장 철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향신문은 “주택 분양가 상한제 폐지가 서민주거 안정만 해칠 것이란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고 전했다.
조선일보는 정부의 부동산 대책에 “주택시장의 반응은 여전히 냉랭”하지만, 상한제 폐지가 “집값 상승에 대한 기대심리를 부추겨 주택경기가 살아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중앙일보는 분양가 상한제 폐지로 공급이 활성화되면 전세난 등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상한제 폐지 목소리가 설득력은 얻은 것이라고 전했다.
동아일보는 시장에서 “분양가 상한제의 폐지가 주택 공급시장에 숨통을 틔워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면서, 상한제 폐지 시행에 따른 투자전략을 설명하고 나섰다.
<건설사들 ‘3·22 대책’ 후폭풍 비상>(한겨레, 14면)
<지방정부, 취득세 감면에 강력 반발>(한겨레, 21면)
<집값 띄우기 대책 전락한 DTI 규제 부활>(한겨레, 사설)
또 “한나라당은 전세대란 대책으로 전월세 상한제를 일부 도입하겠다던 말도 뒤집었다”고 덧붙였다.
기사는 야당과 시민단체들이 정부의 ‘3․22대책’에 대해 “당연히 했어야 할 총부채상환비율(DTI) 완화 종료를 방패로 ‘집값 흔들기’ 정책만 쏟아냈다”고 비판한다면서, “한나라당은 서민을 위한 전월세 상한제는 못 하겠다고 하면서 집값을 폭등시킬 분양가 상한제 폐지에만 앞장서고 있다”는 민주노동당 강기갑 의원의 비판을 전했다.
사설은 “가장 혜택을 받는 곳은 서울 강남 3구”라면서, “총부채상환비율 규제가 40%에서 55%까지 사실상 완화”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 “취득세 50% 감면도 이 지역에 혜택이 집중될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민간택지 아파트 분양가 상한제 폐지는 더욱 걱정되는 대목”이라며, “사실상 아파트 가격의 인상을 의미”한다고 전했다. 이어 “분양가 상한제를 풀어놓으면 경기 침체기에는 별다른 효과가 없다가도 정작 아파트값이 크게 오를 때 가격 상승을 부채질하는 결과를 빚게 된다”면서, “더욱이 분양가 상한제를 폐지하면 1~3년 묶여 있는 분양권 전매 제한도 같이 풀리게 된다”고 설명했다.
사설은 “한나라당이 수용하겠다고 했던 전월세 상한제는 아예 빠져버렸다”면서, “서민과 중산층이 가장 고통받고 있는 전월세 문제에 대한 대책은 외면하고 건설업자를 살리는 대책만 줄줄이 늘어놓은 꼴”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정부․여당은 사실상 집값 띄우기 대책으로 전락한 디티아이 규제 완화안과 분양가 상한제 폐지 방침을 당장 철회”하라고 주장했다.
<정부가 투기바람 부채질하나>(경향, 20면)
<부활한 DTI 규제, 실효성은 ‘글쎄’>(경향, 20면)
이어 “한나라당 내부에서도 분양가 상한제 폐지를 둘러싸고 견해차가 나타나고” 있다면서, 야당은 “법안을 상정해 논의할 용의는 있으나 폐지는 절대 안된다는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부동산시장에서는 “상한제 폐지를 위한 법 개정이 지연되면 공급이 더 위축될 수 있다”고 우려한다면서, “주택업체들이 정부의 상한제 폐지 의지를 확인한 만큼, 상한제가 폐지될 때까지 공급을 미룰 것이 뻔하다”고 덧붙였다.
<“양도세(국세)는 그냥 놔두고…” 취득세(지방세) 감면에 강력 반발>(조선, 16면)
<“가뜩이나 매매 없는데··· 뭐 하나 확실한게 없다”>(조선, 경제1면)
<연봉 3000만원이면 대출 1억7000만원으로 줄어>(조선, 경제2면)
<“안그래도 얼어붙은 시장 더 오래갈 것”>(조선, 경제5면)
<강남 10억 아파트 취득세 4600만 → 2700만원>(중앙, 경제2면)
<재개발 활기…올 서울 7000가구 추가 공급될 듯>(중앙, 경제3면)
한편 야당이 “‘분양가 인상→주변불안→분양가 인상’의 악순환이 되풀이될 수 있다고 우려”하지만, “상한제 폐지가 주택 수요자에게 불리한 것만은 아니”라고 주장했다. 이어 “수도권 과밀억제권역에서 분양하는 단지는 계약 후 1~3년간 분양권을 팔 수 없는데, 전매가 가능”해지며, “재당첨 금지 규제도 더는 신경 쓰지 않아도” 된다고 덧붙였다.
<서울 年 6085억-경기 5194억 세수 줄어들듯>(동아, 2면)
<3년넘게 줄던 공급 숨통 기대 분양가 크게 올리긴 어려울듯>(동아, 경제6면)
<대출 많이 필요하면 ‘DTI우대 상품’ 적극 활용을>(동아, 경제6면)
이어 “시장이 겨우 바닥에서 벗어난 정도여서 상한제가 폐지되더라도 건설사들이 분양가를 당장 크게 올리지는 못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하지만 주택 매매심리가 얼어붙은 상태에서 공급 활성화 정책이 어떤 효과를 볼지는 여전히 의문”이라고 주장했다. <끝>
(사)민주언론시민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