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 모니터_
8월 20일자 주요 일간지 일일 모니터 브리핑(2010.8.20)일일브리핑은 제 시민단체와 정당, 언론사와 구독을 원하는 누리꾼과 일반 시민들에게도 메일로 배포할 예정입니다. 신문 일일브리핑을 받아보기 원하는 분들은 ccdm1984@hanmail.net으로 신청하시면 됩니다.■ 오늘의 브리핑1. 이어지는 ‘김태호 의혹’…<중앙> “야당, 반(反)서민적인 인물 낙인찍으려는 공세”2. “방영하라” 여론 봇물…<조선><중앙> 이틀 째 관련 보도 없어
1. 이어지는 ‘김태호 의혹’…<중앙> “야당, 반(反)서민적인 인물 낙인찍으려는 공세”
<조선> 김 후보자의 해명에 힘 실어
<동아> ‘부인 뇌물 의혹 무마 및 박연차 연루설’ 보도 안해
<한겨레><경향> “‘참신하고 깨끗한 40대 총리 후보’이미지와는 딴판”
애초 ‘박연차 게이트’에 연루돼 수만달러를 수수했다는 의혹으로 자질 논란에 휩싸였던 김 후보자가 2004년 경남지사 보궐선거 직전 부인이 인사청탁 뇌물을 수수했고, 2006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관련 의혹을 보도한 지역신문을 압박해 전량을 폐기하고 이 조건으로 박연차 전 회장이 이 지역신문에 거액을 투자했다는 의혹을 19일 민주당 이용섭 의원이 제기했다.
또 이날 민주노동당 강기갑 의원은 김 후보자가 △도청 직원을 6년 동안 가사도우미로 사유화하고 △도청 직원이 관용차로 김 후보자 부인 수행했다며 신상부문에 대한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앞서 김 후보자와 관련해 △도지사 재직 시 3년 7개월 사이 재산 10배 증식 △신용카드 연간 공제신고액 없음 △2001년 부인 매입 아파트 재산신고 누락 △부인 소유 주상복합시설 가격 축소신고 △형수·동생 등 가족간 채무액 오락가락 △경남 거창 전세아파트를 시세의 절반 가격에 계약한 것 등 재산 내역에 대한 의혹이 제기된 바 있다.
특히 한겨레신문은 사설에서 김 후보자의 어설픈 해명을 두고 “국민을 속이려고 해서는 내각을 통찰하는 국무총리로서 자격이 없다”고 비판했다.
반면, 조선·중앙일보는 김 후보자에 대한 야권의 의혹제기를 ‘공세’로 다뤘다.
조선일보는 부인 수뢰 보도 무마와 박연차 연루설과 관련한 의혹을 반박하는 내용과 해명에 힘을 실었다.
중앙일보는 의혹제기를 야당의 ‘반(反)서민적인 인물 낙인찍으려는 공세’라고 비난했다.
동아일보는 김 후보자 부인 수뢰의혹 보도 무마 및 박연차 연루설 관련 의혹을 보도하지 않았다.
<“김태호 ‘부인 뇌물수수 의혹’ 보도 신문에 폐기 압력”>(한겨레, 3면)
<“김 후보자, 도청직원에 6년간 밥·빨래 시켜”>(한겨레, 3면)
<‘참신, 깨끗’ 이미지와는 딴판인 총리후보자 비리 의혹>(한겨레, 사설)
한겨레신문은 1면에서 홍준표 최고위원 등 일부 여당 지도부가 김태호 총리 후보자와 이재훈 지식경제부 장관 후보자, 신재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의 자진사퇴를 공개적으로 요구하고 나섰다며 이들에게 불거진 의혹을 열거했다.
기사는 “김태호 후보자 부인의 뇌물수수 관련 의혹이 담긴 <조간경남> 창간호 신문 전량이 무슨 연유에서인지 모두 폐기된 것은 사실”이라면서 “당시 신생 지역신문으로서는 재선이 유력한 도지사 후보의 요청을 압력으로 받아들였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김태호 후보자에게 돈을 건넸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박연차 씨가 이 신문에 거액의 투자를 한 것도 사실로 보인다”며 “그렇지 않다면 박씨가 이씨를 고소할 이유가 달리 없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또 “그(김 후보자)의 어설픈 해명이 ‘소설 같은 이야기’로 들리는 대목도 많다”면서 “잘못을 저지른 것보다 더욱 나쁜 것은 잘못을 감추려고 거짓말로 둘러대는 일”이라며 “국민을 속이려고 해서는 내각을 통찰하는 국무총리로서 자격이 없음을 분명히 밝혀둔다”고 주장했다.
<金 “3류 소설” 적극 대응>(경향, 3면)
<자고나면 새로운 의혹…민망한 ‘40대 젊은총리’>(경향, 3면)
<“지사 때 도청 직원을 가사도우미로”>(경향, 3면)
경향신문은 1면에서 김 후보자의 부인이 경남도청 과장으로 퇴직한 강모씨로부터 ‘경남개발공사 사장’ 자리를 두고 뇌물을 수수했다는 의혹에 대해 “실제 강씨는 김 후보자가 경남지사에 당선된 뒤인 2004년 7월 경남개발 공사 사장으로 임명”됐고, “당시 경남도는 전임 사장의 잔여임기 동안 사장을 맡도록 돼 있는 공사의 정관을 무시하고 강씨를 3년 임기로 임용해 논란”이 일었다고 지적했다.
또 이를 보도하려던 지역신문에 외압을 제기하고 그 대가로 박연차 씨가 거액을 투자했다는 의혹을 보도했다.
3면 <자고나면 새로운 의혹…민망한 ‘40대 젊은총리’>에서는 “이명박 대통령이 김 후보자를 발탁하면서 내세운 ‘참신하고 깨끗한 40대 젊은 총리’ 포장이 인사청문회가 시작되기도 전에 심하게 구겨지는 꼴”이라며 그동안 제기됐던 재산 내역 의혹과 신상·비리 의혹을 열거하고 “김 후보자가 인사청문회를 별 탈 없이 통과하기 쉽지 않을 거라는 분석”을 전했다.
<金 총리후보에 野 소나기 공세>(조선, 5면)
<검찰, 규정 어기고 金후보 무혐의 처리?>(조선, 5면)
기사는 김 후보자의 부인 뇌물수수 의혹에 대해 “당시 문제가 된 기사는 김 후보자 부인의 뇌물수수 의혹과 관련된 게 아니라 김해 구산지구 택지개발사업 시행권을 둘러싼 논란을 다룬 것으로, 취재기자가 팩트(사실 관계)에 자신 없어 해 폐기했다”, “(박연차 전 회장의 2억원 투자는) 당시 신문사 경영이 어려워 내가 지인을 통해 박 전 회장에게 10억원을 출자하라고 권한 데 따른 것”이라는 당시 해당 신문사 사장과의 전화통화 내용을 강조해 실었다.
또 김 후보자가 경남도청 직원을 가사도우미로 이용했고, 부인이 6년간 전용 관용차를 이용했다는 의혹에 대해 “(오히려) 도에서 제공하는 관사를 도민들에게 내놓고 사비로 아파트를 구해 사택으로 사용했다”는 김 후보자의 해명을 부각했다.
<첫 시험대에 선 김태호>(중앙, 칼럼)
또 “야권의 공세를 놓고 정치권 일각에선 그동안 감시의 눈이 없었던 연고지에서 활동했던 김 후보자가 중앙무대에 등장하면서 호된 신고식을 치르고 있다고 보는 이들도 있다”고 해석했다. 그러면서 김 후보자 부인 ‘뇌물수수 의혹’ 보도 신문에 폐기 압력 내용은 짧게 보도했다.
<김태호, 6억 새 관사 추진하다 “호화” 지적에 철회>(동아, 3면)
2. “
<한겨레> “최승호 PD, 불방된 피디수첩 4대강편 사업 지장 줄 내용 있다” 인터뷰
<경향> “불방 관련 ‘정치적 배후’ 진상규명 요구 목소리 높아”
<동아> “국토부, ‘4대강 비밀팀’ 없었다” 힘 실어
최PD는 19일 <한겨레>와의 인터뷰에서 “정부가 정책팀을 운영할 때는 팀 이름과 구성원이 누구인지 공개하고 인사 절차를 거쳐야 하는데 취재 결과 (당사자 이외에는) 누구에게도 알리지 않은 정황이 드러났다”면서 △장관이 재가를 한 11월5일보다 한 달 가량 앞서 정책팀이 활동을 시작한 대목도 정상적 조직으로 보기 힘들고 △사무실 역시 국토해양부가 아닌 한강홍수통제실에 마련됐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국토부가 방송을 막으려는 데는 “‘비밀팀’ 운영 내용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 ‘4대강’ 프로그램이 방송되기 전에는 피디수첩의 다른 프로그램을 볼 수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편,
또 18일 오전 언론단체, 환경단체를 비롯한 30여개 시민사회단체들이 규탄 기자회견을 열었으며, 23일 저녁 7시 MBC 앞에서는 ‘4대강 진실 은폐 규탄, PD수첩 방영 촉구 국민대회’가 열릴 예정이다.
경향신문은
반면, 동아일보는 “‘4대강 비밀팀’ 없었다”는 국토부의 주장을 강조했다.
조선·중앙일보는 19일에 이어 20일에도 관련 내용을 보도하지 않았다.
<국장책임제, 경영·편성 분리장치…권력자엔 ‘눈엣가시’>(한겨레, 5면)
<여당 일부 “김사장 과잉충성이 불필요한 잡음 불러”>(한겨레, 5면)
<국토부, 언론 향해 ‘법적조처 압박’>(한겨레, 5면)
기사는 “17일 김 사장의 피디수첩 사전시사 요구를 제작진이 ‘자율성 침해’라며 거부할 수 있었던 근거는 단협의 국장책임제 조항”이라며 “현 단협 제23조 3항은 ‘편성·보도·제작상의 실무책임과 권한은 관련 국실장에게 있으며, 각 사의 경영진은 편성·보도·제작상의 모든 실무에 대해 관련 국실장의 권한을 보장해야 한다’고 못박고 있다”면서 “경영진의 불필요한 개입 가능성을 차단한 규정”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정권이 ‘노영방송의 뿌리’로 국장책임제를 지목해 ‘사망선고’를 내리려는 이유는 국장책임제가 ‘문화방송 보도 독립성 및 공정방송 수호의 마지노선’ 역할을 해왔기 때문”이라며 “1988년 국장책임제 도입 배경엔 ‘정치적 외압’에 무력했던 문화방송 구성원들의 뼈아픈 반성이 자리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리고는 “김 사장의 방송보류 행위는 왜 제작 자율성에 개입하는 내외부 세력을 차단해야 하는지를 드러내는 단적인 증거”라는 신태섭 동의대 교수의 지적을 다뤘다.
또 국토부가 “가처분 신청 때 법정에서 피디수첩 제작진과 벌인 심리 내용을 공개한 뒤 재탕한 보도 자료를 내기도 했다”며 “대운하 논란이 재연되는 것을 막기 위해 서둘러 마련한 자구책”으로 풀이했다.
이어 문화방송 노조의 김재철 사장 등 임원진의 출근길 항의 시위 돌입 소식을 전했다.
또 “다음 주 화요일
(사)민주언론시민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