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 모니터_
4월 14일자 주요일간지 일일모니터 브리핑(2010.4.14)일일브리핑은 제 시민단체와 정당, 언론사와 구독을 원하는 누리꾼과 일반 시민들에게도 메일로 배포할 예정입니다. 신문 일일브리핑을 받아보기 원하는 분들은 ccdm1984@hanmail.net으로 신청하시면 됩니다.■ 오늘의 브리핑
1. 핵안보정상회의 2012년 한국개최…조중동 “MB, 오바마 친분” 강조
2. <조선><중앙> 김윤수 전 국립현대미술관장 ‘해임’은 보도, ‘해임무효’는 모르쇠
3. MBC 국장급 사원 “황희만 부사장 임명 철회” 성명…<한겨레><경향>만 보도
1. 핵안보정상회의 2012년 한국개최…조중동 “MB, 오바마 친분” 강조
<조선> “노무현 정권 때 ‘파탄직전’ 한미동맹 정상궤도에”
<중앙> “비확산 넘어 비핵화까지 다뤄야”
<동아> “북핵 인정하면, 정상회의 의미없어”
<한겨레><경향> “남북간 노력보다는 국제사회 통한 압박 의존”지적
그러나 핵보유국인 이스라엘이 불참했고, 핵무기 관리에 취약한 국가로 지목받고 있는 파키스탄에 대한 구체적 대책을 내놓지 못했다. 또 북한과 이란, 시리아 등 사실상 핵 개발국이거나 핵보유 등을 의심받고 있는 국가들이 제외돼 한계를 드러내기도 했다.
한편 이번 정상회의에서는 차기 정상회의를 서울에서 개최하기로 결정했다.
핵안보정상회의는 한국에서 열리는 국제회의 중 최대 규모이며, ‘북핵 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의지를 결집할 수 있다’는 등의 의미가 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북핵 문제의 해법으로 남북간 대화 등 실질적인 노력보다는 북한을 제외한 채 국제사회를 동원한 압박에 의존하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조중동은 정상회의 한국개최가 ‘미국 오바마 대통령과 이 대통령의 친분과 신뢰로 인한 결과’라는 점을 강조했다. 나아가 조선일보는 노무현 정부 때 “파탄 직전”이었던 한미관계가 정상궤도에 올랐다고 극찬했다.
한편, 중앙·동아일보는 북한의 핵 보유를 기정사실화하는 듯한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의 발언을 의식한 듯 ‘비확산’보다 ‘비핵화’가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중앙일보는 2차 핵정상회의에서 ‘비확산’뿐 아니라 ‘비핵화’가 의제로 다뤄져야 북한을 압박할 수 있다는 주장을 폈고, 동아일보도 북핵을 인정한다면 2차 핵정상회의는 의미 없다는 주장을 폈다.
<우크라이나 “고농축우라늄 전량 폐기” 美·中 “이란 핵개발 안보리 차원 제재”>(조선, 1면)
<한국, 2012 회의 유치한 배경은>(조선, 3면)
<2차 핵안보 정상회의 한국 개최 의미는>(조선, 3면)
<47개국 정상 설득한 오바마>(조선, 3면)
<핵 안보 정상회의가 열리는 2012년 한반도>(조선, 사설)
사설은 바이든 미국 부통령이 ‘이 대통령은 오바마가 좋아하는 인물’이라고 한 데 대해 “지난 노무현정권 때 ‘파탄 직전’으로 치달았던 한·미 관계가 정상 궤도에 다시 올라섰다는 것을 보여주는 대목”이라고 강조했다.
사설은 “2012년 상반기는 한반도 안보의 결정적 국면이 될 수도 있는 시기”라며 “그때까지 북핵 문제가 한반도와 세계를 위협하는 최대 불안 요인으로 남아있고, 그런 상황에서 우리 국민의 다수가 우려하는 전작권 이양이 실제로 이뤄진다면 핵 안보 정상회의의 개최 의미는 빛이 바랠 수밖에 없다”며 전작권 이양환수를 반대했다.
3면에서도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가 한국이 북핵 문제의 당사자임을 공인한 것이며, 북도 더 이상은 남을 제치고 핵 게임을 벌일 수 없게 됐음을 의미”한다며 “북한으로선 세계 50여국 정상이 턱밑에 모여 핵확산을 막자는 논의를 하는 것 자체에 부담을 가질 수밖에 없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또 한국의 핵안보정상회의 개최에 “오바마 대통령과 이 대통령 간의 개인적 친분도 크게 작용했다”는 청와대의 설명과 함께 “대통령이 이 대통령을 어떻게 생각하는지는 전날 조 바이든 미국 부통령과 이 대통령간 접견에서도 드러났다”며 ‘오바마 대통령이 매우 좋아하는 사람이 오셨다’고 말했다는 조바이든 미국 부통령의 말을 거듭 강조했다.
<글로벌 리더십, 원전 수주 유리, 북핵 포기 압박 …한국, 세 가지를 얻다>(중앙, 2면)
<“이 대통령은 오바마가 좋아하는 분”>(중앙, 2면)
<우크라이나 “고농축우라늄 전량 폐기”>(중앙, 3면)
<“차기 정상회의 성공적으로 수행해 북한 핵 위협으로부터 벗어날 것”>(중앙, 3면)
<핵 정상회의 유치 개가…북핵 해결 도움 돼야>(중앙, 사설)
2·3면에 걸친 <“이 대통령은 오바마가 좋아하는 분”> 기사에서는 12일 조셉 바이든 미국 부통령이 ‘오바마 대통령이 좋아하는 분이 오셨다’고 말했다는 것을 언급하면서 “오바마 대통령과 이 대통령의 관계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며 이 대통령과 오바마 대통령의 ‘친분’을 강조한 또다른 사례를 소개했다. 또 “의전에 따라 판에 박힌 소리만 하는 지도자보다 쓴소리를 아끼지 않는 이 대통령의 진솔함에 오바마 대통령이 호감을 느꼈다는 게 양국 정부 관계자들의 설명”이라고 강조했다.
3면 기사에서는 정상회의 한국 개최 확정 직후 열린 이 대통령의 기자회견 내용을 자세히 다뤘다.
▲ 중앙일보 2면 기사
그러면서 1차 핵안보정상회의가 비확산에 초점을 맞춘 것에 대해 “북한의 비핵화가 절실한 우리로서는 비확산에만 초점을 맞춘 핵안보정상회의 개최가 북핵 문제 해결에 오히려 부담이 될 수도 있는 것”이라고 우려하기도 했다.
한편,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이 ‘이란이 핵 보유를 추구하고 있고, 북한은 이미 핵을 보유한 나라’라고 발언한 에 대해 “미국이 북핵에 대해 ‘인정할 순 없지만 보유한 것은 사실’이라는 어정쩡한 태도를 취한다면 북한이 ‘제2의 파키스탄’이 되는 것은 시간문제”이고 “북한은 차곡차곡 핵 보유고를 늘려가 사실상의 핵보유국 지위를 점점 굳혀갈 것”이라고 주장했다.
사설은 “2차 핵안보정상회의 개최가 우리 스스로 발목을 묶는 족쇄가 될 수 있다”면서 “북핵 문제의 본질은 비확산보다 비핵화라는 확고한 인식을 한·미가 공유함으로써 2차 정상회의에서는 비핵화가 비확산과 동등한 무게로 다뤄지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미정상 북핵대화>(동아, 1면)
<국제 核무대 최대 이벤트… 北 핵행보에 상당한 압박 될 듯>(동아, 5면)
<참가국, 핵물질 관리현황 2년 내 보고해야>(동아, 5면)
<오바마, MB에 1일 전화 제의… 정상들 만장일치 확정>(동아, 5면)
<북핵 폐기 못시키면 2년 뒤 核정상회의 의미 없다>(동아, 사설)
동아일보도 사설에서 “국가 위상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면서 “확고한 한미 동맹관계와 양국 정상의 돈독한 신뢰와 우의”가 큰 역할을 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또 “한국의 핵정상회의 개최는 북핵 폐기에 대한 국제사회의 공감대를 넓히고 공조를 강화하는 계기가 돼야 한다”며 “북의 핵 보유를 인정한다면 2012년 핵정상회의 개최는 의미를 상실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이어 “우리가 보유한 사용후 핵연료 1만 t은 에너지원으로 재활용할 수 있다”면서 “한국의 핵정상회의 개최가 이를 위한 한미 원자력 협정 개정에 걸림돌이 돼선 안된다”고 주문했다.
같은 면 다른 기사에서는 2차회의 유치 과정에 대해 오바마 대통령이 이 대통령에 대한 신뢰가 작용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또 1차 정상회담에 대해 “국제사회 주요 구성원들이 핵물질 안전조치에 대한 정치적 공약 및 의지를 확인했다”며 의미를 부여했다. 한편 “핵물질 생산을 시도하는 나라에 적극 대응하지 못하는 한계를 드러냈다”는 지적을 짧게 전했다.
<2012년 핵안보정상회의 서울 개최>(경향, 1면)
<47개국 정상 한자리에>(경향, 1면)
<“무기급 핵물질 관리”… 문제국들 출발부터 ‘관리 밖’>(경향, 3면)
<“핵확산 중심에 北 있어… 반드시 막아야”>(경향, 3면)
<“한반도 비핵화가 출발점” 오바마 제의>(경향, 3면)
<핵안보 정상회의가 성과를 내려면>(경향, 사설)
또 “이번 정상회의에 북한은 초청 받지도 않았고 다음 회의도 마찬가지일 것”이라며 “북한을 제외한 채 북한을 압박하는 방식으로는 북핵 문제 해결이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어 “ 북핵문제에 대한 적극적 자세 전환이 정상회의 유치보다 더 중요하고 절박”한데도 회의 유치를 핵문제 해결 의지의 표현으로 설명하고 있다면서 “정상회의가 북핵 문제에 대한 소극적 태도를 가리는 전시용 행사가 되지 않을까 걱정스럽다”고 우려했다.
또 정상회의 한국 개최에 △한국에서 열리는 국제회의 중 최대 규모 △북핵 문제의 당사국에서 개최하는 국제 핵안보 관련 회의 △한반도 위기 관리에 긍정적 △한국의 원자력 사업에도 도움 등의 의미를 두면서도 “북핵 문제의 해법으로 남북간 대화와 타협보다는 국제사회를 동원한 압박에 의존하는 게 아니냐”는 지적을 전했다.
<악수하는 MB-오바마>(한겨레, 1면)
<국제공조로 북한에 ‘핵 해결’ 압박 가능성>(한겨레, 4면)
<47개국 정상 “핵안보 강화” 공동성명>(한겨레, 4면)
그러면서 이번 회의는 “핵무기 감축이나 북한·이란 핵문제 등 대립적인 의제는 아예 배제”했다고 지적하면서 이후의 핵 방호의 성공과 방호체계가 취약한 핵물질 보유국가들에 대한 자금 지원 방식, 이를 어느 나라가 부담하느냐라는 방법론 등의 실천문제가 제기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2. <조선><중앙> 김윤수 전 국립현대미술관장 ‘해임’은 보도, ‘해임무효’는 모르쇠
<한겨레><경향> 해임무효 판결내용 상세히 보도
미술계의 진보 원로인 김 전 관장은 임기가 남아있던 2008년 3월 유인촌 문광부 장관으로부터 ‘자진 사퇴’ 압박을 받았으며, 같은 해 11월 국가공무원법 위반으로 해임됐다. 김 전 장관은 계약해지무효 소송을 냈다가 1심에서 패소했으나, 항소심 진행 중에 계약기간이 끝나자 미지급 급여를 청구하는 것으로 청구 취지를 변경했다.
하지만 2008년 11월 8일 김 전 관장이 해임되었을 당시 조선일보와 중앙일보는 각각 <코드 문제로 진퇴 논란 계약해지 ‘예견된 충격’>, <문화부, 김윤수 국립현대미술관장 해임>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김 전 과장의 해임 이유를 자세히 전한 바 있다.
기사는 “김 전 관장은 2003년 9월 문화체육관광부와 채용계약을 맺었는데 문화부는 임기만료(2009년 9월)를 1년여 앞둔 2008년 11월 계약 해지를 통보했다”면서, 유인촌 문화부 장관이 “지난 정부의 정치색을 지닌 기관장은 물러나야 한다”고 김 전 관장의 해임을 종용했던 점을 지적했다.
또 김 전 관장의 해임 당시 문화부가 “마르셀 뒤샹의 작품인 ‘여행용 가방’을 사들이면서 계약 체결 전 결정사실을 중개사에 알리고 관세청에 신고하지 않는 등 규정을 위반했다”고 밝힌 그의 해임사유에 대한 재판부의 판단도 자세히 전했다.
이어 “누명을 쓴 채 해임돼 불명예 퇴진한 것을 바로잡기 위해 소송을 냈던 것”이라며 “명예를 회복해 다행스럽다”는 김 전 장관의 반응을 덧붙였다.
경향신문 역시 10면에서 “‘한 지붕 두 위원장’이라는 초유의 사태를 초래한 김정헌 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위원장에 이어 또다시 정권 교체 후 문화부가 임기가 되지 않은 예술단체 기관장을 해임한 것은 잘못됐다는 법원 판단이 내려진 것”으로 이번 판결을 해석했다.
기사는 “계약상 의무 위반을 전제로 한 이 사건의 채용계약 해지는 효력이 없다”며 “2008년 12월부터 2009년 9월까지 지급됐어야 할 급여를 모두 지급하라”는 재판부의 판결을 전했다.
이와 함께, 문화부가 밝힌 김 전 관장의 해임사유에 대해 “뒤샹의 작품은 국내에 단 한 점도 보유하고 있는 게 없어 시장가격이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김 전 관장이 계약 상대방으로부터 제안받은 견적가격을 기준으로 예정가격을 결정하는 것이 위법하다고 볼 수는 없다”, “미술품은 세율이 0%인 무관세 품목으로 굳이 부당한 이득을 얻으려 신고를 안 할 이유도 없고, 통관은 (관장 책임이 아니라) 학예실장의 전결사항”이라는 재판부의 판단을 실었다.
동아일보도 14면에서 “‘전임 정부 인사 물갈이’ 논란을 일으켰던 김윤수 전 국립현대미술관장에 대한 해임 처분은 무효라는 항소심 판결이 나왔다”며 판결 소식을 전했다.
13일 1984년 입사한 국장급 사원들은 “후배들의 파업이 장기화되고 있지만 출구가 보이지 않는다”며 “회사 안팎의 엄중한 상황에 비춰볼 때 더 이상 침묵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고 성명 이유를 밝혔다. 이어 김재철 사장을 향해 ‘황희만 부사장 임명 철회’와 ‘김우룡 전 방문진 이사장 고소’를 요구했다.
반면, 조중동은 관련 내용을 다루지 않았다.
또 “사내에선 노조 파업 이후 김 사장이 출근도 하지 않은 채 ‘벼랑 끝에 선 엠비시를 방치하고 있다’는 비판이 거세다”면서 김 사장이 이 날도 회사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은 채, 사원들에게 보내는 담화문을 통해 파업 철회를 촉구했다고 전했다.
이어 MBC 국장급 사원들의 성명 내용과 함께 “국장급에 이어 제작국을 중심으로 부장급들도 김 사장의 ‘결자해지’를 촉구하는 집단행동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며 보도국의 한 부장의 불만을 전하는 등 김 사장이 MBC 내부에서 신뢰를 잃어버렸음을 강조했다.<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