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 모니터_
12월 7일자 주요일간지 일일 모니터 브리핑(2009.12.7)
등록 2013.09.23 16:45
조회 297
일일브리핑은 제 시민단체와 정당, 언론사와 구독을 원하는 누리꾼과 일반 시민들에게도 메일로 배포할 예정입니다. 신문 일일브리핑을 받아보기 원하는 분들은 ccdm1984@hanmail.net으로 신청하시면 됩니다.

■ 오늘의 브리핑
1. <조선> “한명숙 돈 받았다더라” … <중앙><동아> ‘조선일보 따라잡기’ 나서
2. 태안 기름유출 사고 2년…<조선><동아> “웃음 되찾아”
 
 
 
조중동 이번엔 ‘한명숙 의혹키우기’ 경쟁
 

1. <조선> “한명숙 돈 받았다더라” … <중앙><동아> ‘조선일보 따라잡기’ 나서
   <중앙> “한명숙, 곽영욱 추천서 써줬다더라”
   <동아> “한명숙 수사 협조하고, 야권은 잠자코 있어라”
 
지난 4일 조선일보는 1면 톱기사에서 검찰이 곽영욱 전 대한통운 사장으로부터 ‘2007년 한명숙 전 총리에게 수만 달러를 전달했다’는 진술을 받아 돈의 대가성 여부를 조사 중이라고 보도했다. 그러나 이 기사에는 의혹을 뒷받침할만한 구체적인 사실은 없었다. ‘곽 전 사장이 2007년 4월 업무연관성이 없는 한국남동발전 사장에 선임됐고, 한 전 총리는 2007년 3월까지 국무총리를 지냈다’는 정도의 내용이 전부였다.
이어 5일에도 조선일보는 ‘이르면 다음 주 중에 한명숙 전 총리가 검찰에 소환될 예정’이라고 보도했으나 역시 비리 의혹을 뒷받침할 만한 내용은 없었다. 대신 조선일보는 검찰이 “1999년 5월 대한통운 사장에 취임한 곽 전 사장이 2000년 11월 법정관리 개시 후 법정관리인으로 선임되고 5년간 그 자리를 유지하는 과정도 석연치 않다고 보고 있다”, “법정관리가 개시되면 기존 경영진은 경영 책임을 물어 법정관리인에서 배제하는 것이 관례였던 만큼 이 과정에서도 로비가 있었을 개연성이 있다”며 비리의 “개연성”을 강조했다.
 
당사자인 한 전 총리는 강력 반발했다. 한 전 총리는 즉각 보도자료를 내고 조선일보의 보도 내용을 반박하는 한편 <조선일보>에 반론권을 요청했다.
민주당과 국민참여신당 등 야권도 ‘한명숙 죽이기’이라며 이명박 정권과 검찰, 조선일보를 거세게 비난하고 나섰다. 특히 검찰이 특정 언론을 통해 ‘피의사실’을 공표하는 방식으로 ‘흠집내기’에 나선 데 대해 ‘노무현 전 대통령에 이어 두 번 정치보복을 당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총력 대응 방침을 밝히고 있다.
 
그러나 조선일보의 4일 보도 이후 중앙일보와 동아일보는 ‘조선일보 따라잡기’에 나섰다.
중앙일보는 조선일보가 보도한 내용에 ‘한 전 총리가 곽 전 사장이 한국남동발전 사장으로 갈 당시 추천서를 써주었다’는 의혹을 덧붙였다. 그러나 이런 주장의 출처조차 분명하게 밝히지 않았다.

<“한명숙 전 총리에 5만 달러 건넸다”…검찰, 계좌 추적> (중앙, 5일 3면)
<한명숙·공성진 이르면 주내 소환> (중앙, 7일 3면)
 
중앙일보는 5일 3면 기사에서 “노무현 정부 당시 ‘청렴성의 상징’”인 “한명숙 전 국무총리가 비리 혐의로 검찰의 수사 대상이 됐다”고 운을 뗐다. 그러면서 오직 곽 전 사장의 말에 기댄 검찰의 한 전 총리 수사 상황을 전하며 “곽 전 사장의 진술이 터무니없는 것은 아니다”라는 검찰 관계자의 말을 덧붙였다.
나아가 중앙일보는 곽 전 사장이 2007년 4월 업무관련성이 적은 한국전력공사 자회사인 한국남동발전 사장으로 취임했다며 “한 전 총리는 당시 곽 사장의 추천서를 써줬다고 한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이 문장은 물론 전후 맥락 어디를 보아도 한 전 총리가 추천서를 써주었다는 주장의 출처가 어디인지 알 수가 없다. 그러면서 기사는 “검찰은 곽 전 사장의 선임 시기와 돈을 건넸다고 진술한 시기가 비슷한 만큼 전달한 돈이 인사 청탁의 대가였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곽 전 사장이 사정 선임과 무관하게 정치자금을 건넸을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는 등의 내용을 덧붙였다.
 
7일에도 중앙일보는 3면에 관련 기사를 싣고 한 전 총리와 다른 비리 혐의를 받고 있는 공성진 한나라당 의원 등 정치인들을 ‘이르면 이번 주에 소환 조사 할 것’이라는 검찰 관계자의 말을 전하고, “서울중앙지검 특수부가 압수수색 및 계좌추적 자료 등을 토대로 혐의를 구체화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그러면서 야당의 반발과 대응을 덧붙였다.

동아일보는 사설까지 실으며 한 전 총리에 대한 검찰의 수사에 힘을 실어줬다.
또 ‘한 전 총리가 곽 전 사장의 추천서를 써주었다’는 중앙일보 주장을 은근슬쩍 기정사실화해버렸다.
 
<檢 ‘한명숙 전 총리 수수설’ 신빙성 조사> (동아, 5일 12면)
<‘한명숙 구하기’ 민주당이 팔 걷은 까닭은> (동아, 7일 5면)
<‘김준규 검찰’ 의 정치인 수사와 정치적 반대공세> (동아, 7일 사설)


7일 사설에서 동아일보는 “한명숙 전 국무총리와 공성진 한나라당 최고위원, 현경병 한나라당 의원이 금품 수수 혐의로 검찰 수사를 받고 있다”고 여야 정치인을 묶어 언급하면서 “정치인 수사가 동시다발로 진행되고 있으니 정치권이 긴장할 만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한 씨가 곽 전 사장의 추천서를 써 줬고, 곽 전 사장의 한국남동발전 사장 선임 시기와 그가 한 전 총리에게 돈을 건넸다고 진술한 시기가 비슷하다고 한다”며 ‘추천서’를 기정사실인 양 다뤘다.
사설은 민주당 등 야권이 반발하는 데 대해 “‘정치적 탄압’이니 ‘공작 수사’ ‘표적 수사’ 운운하면서 집단 반발하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 “그들의 주장대로 떳떳하다면 한 전 총리가 수사에 적극 협조하고, 야권은 잠자코 수사 진행 상황을 지켜볼 일”이라고 검찰 수사에 힘을 실었다. 그러면서 다른 비리 혐의를 받고 있는 한나라당 의원들에 대해서도 ‘흔들림 없이 수사해야 한다’며 짧게 덧붙였다.
 
5면에서는 “민주당이 ‘한명숙 구하기’에 팔을 걷어붙였다”며 민주당 의원들이 한 전 총리의 검찰 소환을 규탄하는 성명서를 발표한 사실을 전하는 한편 민주당이 “한 전 총리 구하기에 총력을 기울이는 배경”을 분석했다.
기사는 “한 전 총리 저지선이 뚫릴 경우 야권의 또 다른 주요 인사가 검찰 사정의 표적이 될 가능성을 미리 차단하려는 판단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내년 6·2지방선거를 앞두고 친노(친노무현) 세력과 연대의 기반을 다지려는 포석도 있다”는 등의 주장을 폈다.

반면, 한겨레신문은 한 전 총리의 반박과 야당의 ‘총력 대응’ 방침을 자세하게 다뤘다.
 
<검찰 “수만달러 수수 진위 조사” 야권 “검찰-언론의 정치공작”> (한겨레, 5일 3면)
<한 전 총리 “조선일보 반론 게제 안하면 법률 대응”> (한겨레, 5일 3면)
<“한명숙 죽이기 중단”…야권, 총력대응> (한겨레, 7일 6면)
 
한겨레신문은 5일 3면 기사에서 검찰이 한 전 총리를 수사하고 있다는 사실을 전하는 한편, 검찰이 일부 언론의 “앞서가는” 보도에 대해 “격한 반응”을 보였다며 “수사팀 입장에서 곽 전 사장의 진술 외에 혐의를 입증할 만한 증거를 추적하는 단계라 자칫 역공을 받을 수도 있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또, “곽씨가 그동안 진술을 자주 번복한데다 명확하지 않은 부분도 있어 좀더 면밀한 조사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같은 면 다른 기사에서는 참여정부 시절 인사들의 기자회견 소식을 전했다.
기사는 “한 전 총리의 ‘금품수수설’이 흘러나온 데 대해 4일 친노 인사들과 민주당이 ‘정치공작’이라며 강력히 반발했다”며 “참여정부 대표인사이면서 야권의 유력한 서울시장 후보인 한 전 총리의 도덕성에 상처를 줘, 야권의 내년 지방선거 전략에 차질을 주려는 표적수사라는 것”이라고 회견 내용을 설명했다.
이어 조선일보가 월요일(7일)에 반론을 게재하지 않으면 법률적 책임을 묻겠다는 한 전 장관의 발언, “노무현 전 대통령을 죽음으로 몰아갔을 때와 동일한 동기, 동일한 방식으로 정치적 공작을 시작한 것으로 본다”며 기획수사 의혹을 제기한 유시민 전 장관의 발언 내용도 덧붙였다.
 
7일에는 민주당 등 야권과 여성계, 시민사회 인사 등이 ‘한명숙 전 총리에 대한 정치공작 분쇄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또 “이들은 한 전 총리 관련 보도를 이어가고 있는 <조선일보>, <중앙일보> 등에 대해서도 단호한 법적 대응을 벼르고 있다”며 “한 전 총리는 돈을 받은 일이 전혀 없을뿐더러, (곽 사장을 한국남동발전 사장으로 취임할 수 있도록 한 전 총리가 추천서를 써줬다는 것은) 청와대의 인사 시스템을 전혀 모르는 소리”라는 양정철 노무현재단 사무처장의 말을 전했다.
이어 “민주당은 7일 최고위원회와 의원총회를 열어 당 차원의 대응 방법을 논의하는 한편, 이날 열리는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검찰을 상대로 한 전 총리에 대한 피의사실 공표 문제를 집중 추궁할 방침”이라며 “이번 사태를 계기로 대형 이슈에 묻혀 잊혀져 가는 검찰개혁 논의에 다시 불을 지피기로 했다”고 전했다.

<한명숙 전 총리 수사설 야당 “악랄한 정치공작”> (경향, 5일 5면)
<“한명숙 수사, 노무현 죽이기 닮은 꼴”> (경향, 7일 5면)
 
경향신문은 5일 “민주당과 친노 진영이 민주당 상임고문인 한명숙 전 국무총리의 금품수수 수사설에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며 야당의 반응을 전했다.
 
 
 

▲ 경향신문 7일 5면 기사
 
 
이어 7일에도 야당과 친노 진영이 “한명숙 전 총리 수뢰설과 관련해 ‘확인되지 않은’ 수사 내용을 검찰이 흘리고, 일부 언론이 이를 받아 쓰는 게 노무현 전 대통령을 자살로 몰고 간 ‘검·언 공작’과 같다는 판단”을 하고 있다며 대응 소식을 전했다.
 
 
 
2. 태안 기름유출 사고 2년…<조선><동아> “웃음 되찾아”
   <경향><한겨레> “고통 여전”, 재발 가능성도
 
지난 2007년 12월 7일 충남 태안 앞바다에서 삼성중공업의 크레인 선박이 유조선 ‘허베이 스피리트’와 충돌하면서 발생한 태안기름유출사고가 2년을 맞이했다. 당시 이 사고로 기름 1만500㎘가 바다로 흘러들어 서해안 어민들과 해양 생태계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
 
7일 경향신문과 한겨레신문은 2년이 지나도 남아 있는 태안 주민들의 아픔과 사고 재발 가능성을 다뤘다. 반면,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태안 주민들이 웃음을 찾았다고 보도했다. 중앙일보는 관련 내용을 다루지 않았다.

<태안 기름유출 2년…아직도 ‘검은 상흔’> (경향, 1면 사진기사)
<‘태안 기름유출’ 2년 됐지만…피해 키운 ‘단일선체 유조선’ 운항 빈번> (경향, 12면)
 
경향신문은 1면 사진 기사에서 시민단체 회원과 자원봉사자들이 태안 해변에서 기름제거 작업을 벌이는 사진을 싣고 “해변은 겉으로는 옛 모습을 찾은 듯했지만, 모레를 60cm가량 걷어내자 여전히 기름찌꺼기가 나왔다”고 전했다.
 
12면에서는 “‘태안 기름유출사건’이 7일로 2주년을 맞는데도 사고 가능성이 높은 단일선체 유조선들의 운항이 여전히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재앙 재현 가능성’을 우려했다. 그러면서 “국토해양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08년부터 올 9월까지 단일선체 유조선들이 한국 해역을 313회나 운항했다”는 환경운동연합의 성명 내용을 전했다.
또 “정유사별로는 SK에너지(129회)가 지난 2년간 단일선체 유조선을 가장 많이 이용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어 에쓰오일(75회), GS칼텍스(58회), 현대오일뱅크(51회)의 순이었다”고 지적했다.
기사는 “89년 유조선 기름유출 사고를 경험한 미국은 93년부터 단일선체 유조선의 입항을 금지하고 있다”는 환경단체 관계자의 말을 전하며 “국토해양부는 뒤늦게 2011년부터 단일선체 유조선의 국내 입항을 전면 금지하기로 했다고 이날(6일) 밝혔다”고 전했다.

<“보상건수 1%도 안돼”…주민 삶은 아직도 흙빛> (한겨레, 9면)
<또 기름사고 날라…‘한겹 유조선’ 바다 누빈다> (한겨레, 9면)
 
한겨레신문은 주민들에게 치유되지 않은 상처가 아직 많다며 더딘 피해보상의 문제를 지적했다.
 
9면에서는 피해가 가장 컸던 태안군 의항리의 한 어촌을 찾아 “겉으로는 옛 풍경을 거의 회복한 듯했다”면서도 “악몽은 결코 끝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기사는 초토화된 굴양식장 모습과 함께 “주민 대부분은 희망근로 하고 날품을 팔아왔다”는 어촌계장의 말을 전했다.
또, “주민들의 가슴을 새까맣게 타들게 하는 또 다른 요인은 언제 이뤄질지 모르는 보상”이라며 “지난달 30일 현재 충남 6개 시·군이 허베이 스피리트 센터에 낸 보상청구 건수는 6만596건, 금액으로는 1조465억1900만원”인데 “이 가운데 검토를 거쳐 국제유류오염보상기구(IOPC·아이오피시)가 피해보상 조사를 승인한 것은 겨우 1576건, 83억8200만원이며, 실제 이뤄진 보상은 기껏 600여건 68억 원에 그친다”고 너무 적은 보상 문제를 지적했다.
 
 
▲ 한겨레신문 9면 기사

9면 다른 기사에서는 “국내에 들어오는 대형 유조선의 30%가 충돌사고 때 선체 파손에 따른 기름 유출 위험이 높은 단일선체 유조선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여전한 위험 요인’을 지적했다.
이어 “정부는 한국에 입항하는 유조선의 단일선체 여부를 사전에 파악하지 못하고 정유사들의 사후 보고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단일선체 유조선 사용 금지는 제2의 태안사태를 막기 위한 가장 기초적인 재발방지 대책”이라는 환경운동연합의 주장을 실었다.

<“검은 바다가 깨끗해졌어요”…태안이 웃다> (조선, 11면)
 
반면 조선일보는 11면에서 “태안의 상처는 많이 치유됐다”며 “기름띠가 말끔하게 가신 것은 물론 관광객의 외면으로 신음하던 지역경제가 많이 활성화됐다. 어황도 눈에 띄게 좋아졌다”고 ‘회복’을 강조해 전했다. 또 “주변 어디서고 2년 전 그 처참했던 흔적은 찾아볼 수 없었다”고 태안을 묘사하기도 했다.
기사는 이어 “모든 태안주민의 얼굴에 웃음이 돌아온 것은 아니다”라며 “아직도 요원한 피해배상과 생태복원 등 풀어야 할 숙제”를 덧붙였다.

<“꽃게 풍어로 살맛” 웃음되찾은 태안> (동아, 14면)
 
동아일보도 ‘피해 회복’에 초점을 맞춰 주민들이 “웃음”을 되찾았다고 지적했다. 14면 기사에서 “꽃게 풍어” 소식과 함께 “끝나지 않을 것 같던 터널을 빠져나온 느낌”이라는 진태구 태안군수의 말을 전했다. 이어 “피해주민 보상이나 근본적인 생태계 복원은 갈 길이 멀다”고 덧붙였다. <끝>
 
 
 
2009년 12월 7일
(사) 민주언론시민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