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모니터 시기 : 1980년 5월 17일∼8월 31일
○ 모니터 대상 : 경향신문, 동아일보, 서울신문,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국일보 기명기사
* 보고서 전문은 위에 있는 파일을 다운받으세요!!
최근 전두환씨의 추징금 미납 사실이 알려지면서 전씨의 행적이 다시 한번 회자되었다. 대부분의 언론은 전두환씨가 아직도 국가 재산을 반납하지 않는다고 거침없이 비판했다. 그러나 이 언론들이 20여 년 전에는 전씨를 '청렴결백한 인물' 운운하며 찬양한바 있다. 더구나 최소한의 죄가 라도 치른 전씨와 달리 당시 전씨가 정권을 잡는데 주요한 역할을 했던 언론들은 과거의 잘못에 대해 반성하거나 죄 값도 치르지도 않았다.
이에 (사)민주언론운동시민연합은 80년 신 군부에 부역한 언론인을 공개한 1차 성명에 이어 기사를 통해 광주민주화운동을 폄하하고 전두환을 찬양했던 부역 언론인들과 그 기사내용을 공개한다. 이 모니터 기획에는 MBC <미디어비평>이 함께 참여했다.
1. 광주민주화운동 관련 보도
광주민주화운동이 있었던 1980년 5월, 대부분의 신문은 광주에서 어떤 일이 발생하고 있는지조차 제대로 보도하지 않았다. 보도하더라도 대부분은 광주의 상황을 왜곡했으며, 광주시민들을 '폭도'로 몰기까지 했다. 이 같은 왜곡보도로 광주시민의 명예를 훼손했던 언론인과 언론사에 대해서는 응당 그 책임을 물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당시 대부분의 보도가 무기명이어서 기사를 썼던 언론인들을 밝히고 책임을 묻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당시 광주민주화운동을 왜곡·폄하했던 대표적인 언론인은 조선일보의 김대중 기자, 서울신문 김진규 기자다. 김대중 기자는 현재도 조선일보에서 이사기자로 있으며, 김진규 기자는 국민일보 논설실장을 지냈다.
2. 전두환씨 관련 보도
전두환씨의 대통령 취임 직후까지 전두환씨 찬양보도는 크게 국내 기사와 외신기사로 나뉜다.
국내기사에서는 주로 그가 '국가위기'의 지도자며, '영도력'을 갖고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대통령 취임 이후에는 전씨와 전씨의 어머니, 부인 이순자씨에 대한 찬양기사까지 등장해 '신 용비어천가'나 다름없는 보도태도를 보였다. 전씨의 경우 '통솔력' '청렴결백' '민주적 의사결정' 등등의 극찬이 이어졌다. 부인 이순자씨에 대해서도 '희생정신', '검소'하고 '생활력'이 있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이씨가 미용기술과 편물일을 배웠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러나 당시 신문들이 전씨와 이씨에 대해 강조했던 '청렴결백'하고 '검소'하다는 찬양은 수천 억의 추징금마저 납부하지 않는 지금 현실에 비추어볼 때 얼마나 허구적인 것인지를 쉽게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이 외에도 전씨와 직접 관련된 보도는 아니지만 '삼청교육대'나 '국보위' 활동을 미화하는 보도도 발견되었다. 당시 대부분의 신문은 삼청교육대와 국보위의 사회정화작업에 대해 "국가기강을 바로잡는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보도했다.
이 당시 대표적인 부역 언론인은 경향신문 김길홍(전 신한국당 의원), 동아일보 김철(전 한나라당 의원), 최규철(현 동아일보 논설주간), 조선일보 이현구(전 국회도서관장), 김명규(전 스포츠조선 상무), 중앙일보 성병욱(현 중앙일보 상임고문), 윤국병(현 코리아타임즈 사장), 한국일보 하장춘(전 언론중재위원회 연구위원) 등이다.
당시 외신보도는 대부분 해외 언론과 유력한 외국 정치인들이 전두환씨를 어떻게 평가하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정권 인수의 정당성이 부족했던 7월과 8월에는 외국에서 전씨의 '지도력을 인정해 주고 있다'거나 '한국의 지금 상황은 사회를 안정시킬 강력한 지도자가 필요하다'는 식의 보도가 대부분이다. 특히 미국에서 발행되는 언론사나, 미국 정계에서 전씨에 대해 어떻게 평가를 내리는지도 민감한 관심사 가운데 하나였다. 미국이 전씨를 지지하기로 결정하자 대부분의 언론을 이를 대대적으로 보도하는 등 그때나 지금이나 여전한 우리 언론의 '사대주의'적 태도를 드러냈다.
당시 대표적인 언론인은 경향신문 장효상(전 포항MBC 사장), 동아일보 강인섭(현 한나라당 의원), 서울신문 최광일(현 언론중재위원회 위원) 조선일보 하원(현 스포츠조선 대표이사), 중앙일보 김두겸(전 삼성언론재단 상임이사), 김건진(현 LA중앙일보 부회장), 한국일보 조순환(전 자민련 의원) 등이다.
3. 맺으며
프랑스는 2차 대전 직후 나치에 부역했던 언론인들에 대해 그 죄를 물었다. 그러나 우리사회는 아직도 부역 언론인들에 대한 과거청산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우리 언론은 정치인의 작은 말실수마저도 엄청난 문제로 부각시키고 여론재판을 벌이면서 정작 자신들의 잘못에 대해서는 단 한번도 제대로 사과하지 않고 있다. 특히 80년대 부역언론인들은 아직까지도 언론계를 비롯한 사회 여러 분야에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의 심각성이 크다.
이번 80년대 부역언론인에 대한 민언련의 모니터 보고서를 기초로 시민사회와 언론학계를 중심으로 이 같은 문제에 대한 활발한 연구와 토론이 이어지길 기대한다. 또한 이를 언론인들의 자성의 계기로 삼길 바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