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_
[토론회 중계] '갈등', '외부세력'만 부각한 언론, 밀양의 "참담한 현장은 외면" (2013.10.17)
‘갈등’, ‘외부세력’만 부각한 언론, 밀양의 “참담한 현장은 외면”
지난 2일 정부와 한국전력(한전)이 주민들의 동의 없이 초고압 송전탑 공사를 재개한 밀양은 현재 경찰 3,000여 명과 한전 직원들이 삼엄하게 공사 현장을 둘러싸고 있어 계엄 시기를 방불케 하는 상황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언론들은 목숨을 내건 밀양 주민들의 투쟁을 ‘지역이기주의’로 매도하고 있다.
한편, 밀양 시민과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밀양765kV 송전탑 반대 대책위(이하 대책위)’는 주민들의 동의 없이 강행되고 있는 송전탑 공사 중단을 요구하며 밀양 주민들의 생존권 보장을 위해 싸우고 있다.
이런 가운데, 지난 16일 민주언론시민연합 · 밀양송전탑 서울대책회의 · 언론개혁시민연대 · 전국언론노동조합이 ‘밀양 송전탑을 보도하는 언론의 양심과 역할’ 토론회를 개최했다.
사회를 맡은 방정배 성균관대 신문방송학과 명예교수는 “밀양의 갈등 상황을 정부와 한전의 입장에서만 편향 보도하는 언론이 문제다”고 꼬집으며 “지금의 언론은 독립신문의 후예가 아니라 한성순보, 즉 어용신문의 후예라 해야 한다”며 언론의 밀양 송전탑 보도 실태를 비판했다.
발제에 나선 이보아 녹색당 탈핵특위 위원장은 정부와 한전이 지속적으로 동원해 온 송전탑 건설 명분은 ‘보상’과 ‘전력난’인데 “주민들은 보상을 바라는 것이 아니”라고 일축했다. 또한 전략난의 경우 “전력 공급이 곧 공익이라는 낡은 공식은 이미 깨졌다”고 강변하며 “대도시 지역의 전력난이라는 명분으로 지방이 일방적으로 희생하는 중앙집중식 에너지체제는 지역분산형 공급체계로 전환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위원장은 “송전탑 공사가 불가피하다는 인식보다는 다른 대안을 찾아야 한다는 인식이 점차 쟁점으로 형성되고 있다”고 지적하며 “현재의 언론이 과연 대안적 공론화를 위한 사회적 장이 될 수 있겠느냐”는 물음을 던졌다.
그리고 방송3사의 경우 SBS가 10월 7일자 뉴스에서 주민의 반박 의견을 보도한 것을 제외하면 모두 한전과 주민들의 갈등 상황에 초점을 맞췄고, 밀양 주민이 아닌 다른 참가자들을 ‘외부세력’으로 강조했다. 이 박사는 언론들의 이러한 행태를 문제 삼으며 “사회적 갈등 이슈에 대한 획일적‧ 편향적 보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보도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토론자로 나선 이완기 민주언론시민연합 정책위원장은 “조선일보는 밀양 주민들의 알몸 시위나 경찰과 주민들의 대치 장면, 장관과 주민 대표가 악수하는 장면 등을 보도 사진으로 쓰는 반면 한겨레는 주로 주민들의 평화로운 농성 장면을 사진으로 쓴다”고 지적하며 보수 언론의 보도가 항상 편향적으로 흐를 수밖에 없는 이유로 △연대단체를 외부세력으로 묶는 진영논리 △사전에 정해진 보도 방침에 맞게 제한적으로 선택되는 취재원 △친일 · 친독재 세력을 척결하지 못한 언론사 내부의 문제 △경제적 효율만을 사회정의라 생각하는 그릇된 발상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 정책위원장은 “타인의 희생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전력 혜택을 받는다면 우리는 그것이 과연 진정한 행복인지에 대한 성찰을 해야 한다”며 밀양의 문제는 결국 우리 모두의 문제라고 일갈했다.
정봉화 경남도민일보 지부장은 “밀양 주민들이 8년을 싸웠는데 2년 전 이치우 할아버지가 돌아가신 이후에야 유력 언론들이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며 “만일 송전탑 건설 강행이 서울이나 수도권에서 벌어졌다면 그런 식으로 보도가 되었을지 의심스럽다”고 말했다. 정 지부장은 “왜곡 ‧ 과장 보도에 지친 밀양 주민들은 더는 기자들을 믿지 않게 되었고 한전조차 경남도민일보가 편파적이라며 취재를 거부하거나 회유를 하려고 들지만 아무리 힘든 상황일지라도 지역 언론의 책임이 줄어드는 것은 아니다”며 “꾸준히 공정 보도를 하고 있는 지역 언론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인권침해감시단의 일원으로 밀양에 다녀온 이은정 천주교인권위원회 활동가는 “서울에서 언론을 통해 접한 것보다 현장은 더 참담했다”고 밝히며 △합법적 근거 없는 광범위한 통행제한 △사복 경찰마저 동원하는 불법 채증 △주민들을 대하는 경찰의 강압적인 태도 등 밀양 현장의 열악한 인권 실태를 고발했다. 이 활동가는 “언론마저 주민들의 인권침해 사실에는 눈을 돌린 채 클릭 유도를 위한 선정적‧자극적 보도를 일삼고 있다”며 <인권활동가가 한전 직원 폭행>, <통진당 당원들, 밀양 송전탑 현장에 구덩이 파고 올가미 줄 내걸어>, <밀양 송전탑의 죽음 퍼포먼스>와 같은 기사 제목을 예로 들었다.
이보아 위원장은 마지막 발언에서 “국민들은 바보가 아니다”고 지적하며 “밀양에 살지 않는 평범한 사람들도 지금 밀양 송전탑 문제가 심각한 국면으로 치닫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는 만큼 왜곡‧과장된 보도를 하는 언론들은 국민들의 외면을 받게 될 것”이라 힘주어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