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_
[토론회 중계] ‘용산 참사’ 관련 언론보도 진단과 대응 방안 모색
등록 2013.09.30 14:10
조회 712
[토론회 중계]
조중동·KBS, 여론조작으로 피해자를 가해자로 몰아
.................................................................................................................................................
 
 
 
2일 오후 2시 프란치스코 회관에서 민생민주국민회의(준)가 주최하고 우리단체가 주관한 긴급 토론회 <‘용산 참사’ 관련 언론보도 진단과 대응 방안 모색>이 열렸다.

우리단체 정연우 상임대표의 사회로 진행된 이날 토론회는 정미정 박사(언론학/배제대 강사)와 이송지혜 우리단체 모니터부장이 발제를 맡고, 권영국 변호사(진상조사단 조사위원), 이주원 나눔과미래 지역사업 국장, 이창현 국민대 언론정보학부 교수, 장대현 민생민주국민회의 대변인이 토론자로 참석했다.

"'책임자'에게 '희생자' 이미지 씌운 조선일보 사진기사 놀랍다"
신문보도 발제를 맡은 정미정 박사는 조선·중앙·동아·한겨레·경향신문 보도를 분석한 결과 “한겨레, 경향은 경찰과 검찰을 행위자로 등장시켜 경찰의 강경집압과 검찰의 편파수사를 지적하는 기사가 많았던 반면, 조중동은 철거민, 전철연 등을 행위자로 등장시켜 철거민 즉 희생자의 폭력성을 부각시키고 배후세력에 대한 보도를 확대 재생산하고 수사의 초점을 배후세력으로 돌려버리는 보도양태를 보였다”고 분석했다. 조선, 중앙, 동아일보 보도에서는 참사의 책임자가 보이지 않았으며, 오히려 '전철연'이 참사의 주체처럼 부각됐다는다는 것이다.

또 조선, 중앙, 동아는 “사진기사에서도 부정적 행위주체로 시위대를 지목했다"며 사진기사들에 대한 분석도 내놨다. 특히 정 박사는 조선일보가 참사의 책임자인 김석기 경찰청장이 사망한 경찰의 영결식에서 울먹이는 모습을 클로즈업한 사진을 실음으로써 '가해자'의 이미지를 지웠다고 지적했다.

정 박사는 신문별로 보도경향에 있어서도 “한겨레와 경향신문이 사건의 원인으로 보다 근본적인 이유를 찾고 있었던 반면에 조중동의 보도경향은 더욱 강력한 법의 진행만을 외치고 정권에 불리한 내용을 애써 축소시켜 정권의 안정에만 기여하는 모습”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그 어느 언론도 사건발생 이전에는 철거민 문제에 관심을 갖지 않았다"며 그런 점에서 모든 언론이 참사에서 자유롭지 않다고 덧붙였다.

KBS, "철거민에 책임 씌우는 이미지 조작"
이어 방송3사의 보도경향을 분석한 이송지혜 모니터부장은 “MBC가 경찰의 살인 진압에 대해 가장 적극적으로 문제제기를 했고, 반면 KBS는 경찰 진압의 문제점을 다루긴 했지만, 시위대의 과격성과 함께 거론해 양비론적 시각을 보였다”고 지적했다. 특히 KBS는 “MBC와 SBS가 적극적으로 보도한 경찰의 과잉진압 문제는 간단하게 다룬 반면, 전철연 배후설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보도해 사안의 본질을 흘리고 있다”고 강조했다. KBS는 검찰수사의 편파성에 대한 보도에서도 “‘전철연 개입’을 거론한 한나라당의 주장을 실어 용역업체 동원 의혹의 심각성을 물타기 하고, 수사가 끝나기도 전에 검찰이 공개한 동영상을 첫 꼭지로 부각함으로써, 화재 원인을 철거민에게 돌리려는 검찰의 의도에 힘을 실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또한 용산참사 발생 배경과 대안을 보도한 내용에 대해서도 “KBS는 용산참사의 본질을 흐리며 철저한 수사와 진압 책임자 처벌을 ‘국론분열’로 몰아간 반면, MBC는 ‘중재역할’을 제대로 하지 않았던 용산구청장을 비판하고 용역의 문제점을 보도했고, SBS는 정부여당의 ‘대책마련’을 적극적으로 보도했다”고 분석했다.

토론자로 나선 진상조사단의 권영국 변호사는 “검찰과 언론이 화재의 원인에만 집착해서 참사의 근본적인 원인을 보지 않는 본말 전도의 상황이 되어버렸다”고 지적하는 한편 철거민에게 화재 책임을 뒤집어씌우는 검찰의 주장을 조목조목 반박했다.
아울러 KBS가 검찰이 제시한 '액체' 동영상과 불이 난 화면을 바로 이어 편집함으로써 화재 원인이 철거민들이 뿌린 시너 때문인 것처럼 이미지를 조작했다고 강력하게 비판했다. 권 변호사는 “언론들은 필요에 따라서 사건을 재단하고 피해자를 가해자로 둔갑시키는 편파적인 행동까지 저질렀다”면서 “특히 조중동, KBS․SBS가 이 참사에 대해 정말 아파했는가, 철거민들의 현실과 공권력의 역할에 대해 제대로 알고는 있었느냐"고 질타했다.

"'용산참사' 아니라 '용산 철거민 공권력 살인사건'이라 불러야"
이주원 나눔과미래 지역사업 국장도 “언론들이 참사의 근본적인 원인을 제대로 보도하지 않았고, 또한 세입자들이 왜 전철연에 기댈 수 밖에 없었는지에 대한 초점은 없고 전철연의 개입만을 부각시켰다”고 지적했다. 이 국장은 “도시 재개발 현장에서의 경찰의 역할을 언론이 제대로 조명하고 희생자들의 죽음이 헛되지 않게 어떤 구체적 문제가 있는지 원인에 대해 보도하라”고 촉구했다.

이어 이창현 국민대 언론정보학부 교수는 '용산 사태'가 아니라 '용산 철거민 공권력 살인'이라고 명명해야 사건의 본질을 드러낼 수 있다고 말문을 열었다.
이 교수는 “우리 언론이 구조적 본질을 외면한채 피상적 발생 사건위주로 보도하고 있다”면서 “이러한 언론의 상업주의 보도에 또다른 ‘참사’를 불러오지는 않을까 하는 걱정이 된다”며 “언론이 사회적 약자에 입장을 말해줘야 하고 마지막 보루로써 우리 사회의 문제점을 잘 짚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마지막 토론자로 나선 장대현 민생민주국민회의 대변인은 용산 참사가 “이 시대를 대표하는 상징적 사건”이라며 “근본적인 원인인 부자정책에 따른 막가파식 개발과 공안통치를 제대로 잡지 않으면 민주주주의의 파괴와 민생파괴는 눈덩이처럼 커질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 발제문 다운받기(신문)
- 발제문 다운받기(방송)

(토론자 발표문은 추후 게재/토론회 동영상은 2월 3일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