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니터보고서
포털뉴스모니터_
[포털뉴스 모니터] 안타급 기사는 나온다, 관중이 없을 뿐26개 언론·시민단체가 결성한 2022 대선미디어감시연대는 1월 25일 출범일부터 신문·방송·종편·보도전문채널, 지역 신문·방송, 포털뉴스, 유튜브 등을 모니터링하여 보고서를 발표하고 있습니다. 이번 모니터보고서는 전국언론노동조합 민주언론실천위원회에서 작성해 3월 2일 발표했습니다.
이번 대선은 사회적 의제 대신 민원 해결성 공약만 두드러지고 네거티브 공방까지 더해지면서 대선 보도를 접하는 시민 피로도가 유독 높다. 지난 2월 21일 첫 법정토론이 열리면서 후보 간 공약을 짚고 분석하는 기사가 많이 나오고 독자 관심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됐지만 현실은 달랐다. 여전히 후보와 정당 동향, 선거 판세를 다루는 기사들이 쏟아지고 높은 조회수를 얻었다.
정책 분석 기사, 팩트 체크 기사도 나왔다. 단, 언론사가 적극적으로 메인 사이트와 포털 사이트에 밀지 않으면서 독자 외면을 받았다. '연성 뉴스'에 치우진 독자들의 이용 습관 역시 장기적 해결 과제로 보인다. 뉴스 유통 구조를 재구조화하는 동시에 뉴스 전달 방식을 소비자 친화적으로 전환하는 시도가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 2월 21일부터 27일까지 이레 동안 포털 랭킹뉴스에 오른 보도를 분석했다.
여론조사는 언론사 입맛대로?
공식 선거운동을 시작한 지 약 일주일이 지난 2월 21~27일에도 '네이버 많이 본 뉴스'에서 후보별 공약을 뜯어보고 유권자 판단을 돕는 검증 기사를 찾기가 어려웠다. 조사 기간 전체 ‘많이 본 기사’ 542건 가운데 후보자 동향 등 비정책기사는 97%(523건)에 달했다. 반면 후보자의 공약을 단순 전달하는 데 그치지 않고 분석을 곁들인 상세 정책 기사는 3건에 그쳤다.
△ 네이버 포털 ‘많이 본 뉴스’의 정책정보 유형 분석 결과(2/21~27) ©2022대선미디어감시연대
△ 네이버 포털 ‘많이 본 뉴스’ 기사 세부유형(2/21~27) ©2022대선미디어감시연대
랭킹에 포진한 기사를 주제별로 분석하면, 후보 및 캠프 동향, 선거 동향, 여론조사, 후보 관련 논란, 관계자 논란, 토론회, 정책 순이다. 대선을 코앞에 두고 캠프와 선거 동향을 파악하고 판세를 짚는 여론조사 기사가 쏟아지는 건 자연스러운 현상일 수 있다. 문제는 보도량이 지나치게 편중됐다는 점이다. 특히 조사 기간 포털 순위에 오른 기사 중 여론조사 기사 비중은 15%로 직전 조사 기간인 2월 14~20일(10%)보다 5%포인트 더 늘었다.
여론조사 기사는 들쑥날쑥했다. 오차범위 안과 밖, 우위 후보가 조사 기관마다 다른 결과가 언론사별로 연일 쏟아지면서 유권자 혼란을 부추겼다. 2월 20일과 21일 오차범위 밖에서 윤석열 후보가 우세하다는 보도가 쏟아졌지만, 21일 KSOI 조사는 오히려 이재명 후보가 오차범위 안에서 윤석열 후보를 앞지른다는 정반대 보도가 나왔다.
오차범위 내 결과는 사실상 차이가 없을 수 있는데, 이를 그대로 보도하면 여론 현실을 왜곡할 위험이 있다. 이에 '선거여론조사보도준칙 16조'는 지지율 등이 오차범위 안에 있을 경우 표본오차를 감안해 순위를 매기거나 서열화해선 안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2월 21일 KSOI 조사를 보도한 여러 언론사 중 경향신문은 바로 전날 오차범위 밖 윤석열 후보 우세 결과를 보도해 놓고 다음 날 오차범위 내 정반대 결과 기사를 홈페이지 메인 상단에 6시간 이상 띄워 두며 정파성을 의심받았다.
한편, 배우자 등 후보 관계자 기사도 조사 기간 네이버 랭킹 상위권에 다수 포함됐다. KBS의 2월 9일과 14일 윤석열 후보 배우자 김건희 씨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연루 관련 보도 이후 관련 후속기사가 한겨레, SBS 등에서 보도됐다.
2월 23일 한겨레 기사 <[단독] 결백 증거로 공개한 김건희 신한 계좌, ‘시세조종 흔적’ 듬뿍>은 댓글 4602개, SBS <[단독] 김건희 계좌 내역 입수…'작전 의심 기간' 9억대 차익>은 댓글 6588개, 23일 TV조선의 이재명 후보 배우자 김혜경 씨 법카 유용 의혹 단독 보도는5929개 댓글이 달렸다. 후보 가족 검증에 대한 유권자의 높은 관심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이들 기사는 모두 '완전한 단일 관점' 기사였고, 한겨레 기사를 제외하면 직접인용 취재원은 0명이었다. 제보자를 보호하는 의혹 기사 특성상 취재원 인용이 어려울 수는 있다. 단, 한겨레는 제3의 금융 전문가 설명 등을 곁들여 주가조작의 구체적 정의, 의심 대목을 상세하게 곁들여 독자 이해를 도왔다.
독자에 닿지 못한 '좋은' 기사
많이 읽힌 정책 분석 기사들도 있다. 특히 2월 21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주관 첫 법정TV토론회에서 언급된 내용에 대한 팩트 체크 기사가 선방했다. 이재명 후보가 “한국, 기축통화될 가능성 높다”고 말한 대목은 특히 높은 관심을 받았다. KBS는 토론회 바로 다음 날인 22일 오전 6시(온라인 송고 기준) <[팩트체크K] 이재명 “한국, 곧 기축통화국 될 가능성 매우 높아”>란 기사로 발 빠른 검증 보도를 내놨고 1308개 댓글이 달렸다. 뉴스1도 2월 23일 <이재명이 던진 기축통화 논란… 학계에선 “어불성설” [뉴스+]> 기사도 다수 전문가를 인용해 많은 페이지 뷰(PV)를 기록했다.
두 기사 외 네이버 랭킹에 포진된 기축통화를 다룬 기사로는 한국경제 <"기축통화국, 이재명 말이 맞다”···2030세대의 냉소 [김익환의 외환·금융워치]>, 조선비즈 <與 “경제대통령 이재명” 이준석 “기축통화국 만들겠다니, 가슴이 웅장”>, 세계일보 <尹·安 국채 남발 우려에 李 “기축통화국 가능성 높다”···이준석 “가슴 웅장해져”> 등이 있다. 이들 기사는 조회수는 높았지만 정당과 정치인 말을 그대로 따오는 따옴표 저널리즘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했다. 분석이 빠진 기사는 '기축통화' 등 키워드 관심을 등에 업고 일시적으로 독자들에게 선택받을 수는 있지만 장기적으론 정책 기사에 대한 언론 신뢰도를 실추시키는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
좋은 정책 기사였지만 독자 외면을 받은 경우도 많았다. 2월 22일 경향신문과 한겨레가 각각 <‘기축통화국’이 뭐길래···어림없는 얘기-달라진 원화 위상> , <[팩트체크] 이재명 ‘기축통화’ 발언…‘IMF SDR’과 혼돈해서?>를 보도하고, 조선일보에서도 23일 <곧 기축통화국 된다? 원화 국제결제 순위 20위도 못들어>란 제목의 기사를 냈는데 많이 읽히지 않았다. 각 언론사가 '픽(PICK)'으로 선택하지 않으면서 포털 메인에서 밀렸고, 잠재적 독자층도 기사를 보기 어려웠던 것으로 보인다. 기축통화 키워드 자체가 토론회 이후 충분한 수요가 있었던 상황이라 적극적으로 기사를 밀었다면 페이지 뷰(PV)와 언론 신뢰도를 모두 챙기는 '안타급 기사'가 될 수 있었던 점에서 아쉬운 대목이다.
이외에도 조사 기간 동안 좋은 정책 기사가 독자에게 외면 받은 사례는 많았다. 한겨레가 1월부터 보도하고 있는 <나의 선거, 나의 공약> 시리즈 6편인 지역 균형 정책 기사 <갈수록 벌어지는 지역균형 정책, 대선 주자들이 답했다> 등 3편은 댓글 2~51개에 그쳤다. KBS <k농촌 소멸은 없다> 시리즈, 노컷뉴스 <주 4일제 공약 보니···비정규직도 쉴 수 있을까>, 한겨레 <성장만 외치는 대선···재벌개혁 사라졌다> 등 각 후보의 부족한 공약 내용을 따져 보는 깊이 있는 기사들도 네이버 랭킹에 오르지 못했다.
공약 재원조달 문제를 짚는 중앙일보 <‘코로나 2년’ 재정적자 200조···대선 후보들은 수백조 퍼주기 공약>, 한겨레 <이재명-윤석열 ‘수백조 공약’ 꺼내면서…재원조달 방안은 어디에?> 역시 의미 있는 공약 분석 기사였으나 모두 외면받았다.
연성 뉴스 소비 성향도 해결 과제
이러한 기사들도 대부분 언론사 자체 픽(PICK)을 받지 못한 경우가 많았지만 연성 뉴스에 치우친 독자 소비 성향도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연성 뉴스 소비 경향은 대선 보도 기간만의 특수한 현상이 아니다. 기자협회보가 지난 2월 22일 공개한 ‘네이버 콘텐츠 제휴 73개 언론사 2021년 데이터 분석’을 보면 한겨레에서 지난해 가장 많은 일간 페이지뷰(PV)를 기록한 기사는 <이제껏 모든 가설이 깨졌다···4천 년 전 타림미라의 정체는?>(98만3840 PV), 경향신문 <‘달인’ 김병만 “정글 떠나 칠봉산서 촌장 꿈꿔요” [박주연의 색다른 인터뷰]>(104만184 PV)였다. 해당 매체에서 가장 연성인 것으로 분류되는 기사가 높은 일간 페이지뷰(PV)를 기록했다는 얘기다.
연성 뉴스 소비 자체를 문제 삼을 수는 없다. 그러나 국가 5개년을 책임질 사람을 뽑는 대선 기간 동안 의미 있는 기사들이 묻히는 현실은 우려된다. 속보성 비정책 기사가 포털을 지배하고 다시 소비자의 연성 뉴스 편향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끝내기 위해선 언론사 개별 플랫폼 강화, 양질의 뉴스 생산, 이용자 친화적 편집 및 배치 등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 최근 중앙일보가 팀장급 기자들에게 페이지뷰(PV)보다 체류 시간을 늘리는 깊이 있는 기사를 주문한 게 화제가 됐다. 많은 언론사가 몰두하고 있는 단순 속보 기사 중심에서 회원 가입, 구독자 증가 등으로 이어질 수 있는 깊이 있는 콘텐츠 생산으로 전환한 운영 변화가 전체 언론 지형에 어떤 바람을 불러올지 주목된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