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편 모니터_
MBN, ‘진영논리’ 속 본질 비켜난 박원순 성추행 의혹 사건고 박원순 서울시장의 죽음과 성추행 피소로 여론이 들끓었습니다. 성추행 의혹이 제기된 박 시장이 사망하며 ‘공소권 없음’으로 수사를 하지 않게 되자 진상규명 목소리가 높아졌습니다. 일부 정치인과 시민들은 추모를 해야 할 시기에 성추행 진상규명을 얘기하는 것은 예의가 아니라며 거부감을 드러내기도 했는데요. 종편에서도 박 시장 성추행 의혹은 주된 관심사였습니다. 그러나 MBN 시사대담 프로그램에서는 사안의 본질을 들여다보지 못하고 정치적 계산기만 두드리거나, 박 시장 빈소에 조문하지 않겠다는 정치인을 탓하는 듯한 발언이 등장했습니다.
1. ‘정치적 계산’에만 골몰한 출연자
MBN <아침&매일경제>(7월 13일)는 박 시장 죽음과 성추행 의혹으로 시작된 여러 갈등에 관해 대담했습니다. 진행자 이상훈 씨는 “어떤 현상이 발생을 하게 되면 그 안에 명과 암, 옳음과 잘못됨이 항상 있는 법”, “그런데 그걸 객관적으로 보는 게 아니라 ‘과연 우리 편인가 아닌가’(로 판단하는), 이게 소위 말해서 진영논리”라고 설명하며, 출연자에게 최근 상황을 어떻게 판단하고 있는지 물었습니다. 그런데 조대원 정치평론가는 더불어민주당과 미래통합당의 속내를 추측하더니 통합당이 취해야 할 입장을 제안하기도 했습니다.
조대원 정치평론가 : 통합당은 저는 ‘이제!’, ‘이제!’라고 생각이 적었는데.
진행자 이상훈 : 이제.
조대원 정치평론가 : 네, 이제 반전의 기회가 왔다. 긴 터널을 벗어나서 민주당이 정말 난공불락으로 보였고 연 네 번에 메이저 선거에서 패배하면서 압도적으로 지면서 우리의 끝은 어디인가 이렇게 생각했는데, 서서히 저쪽에서 이제 우리가 과거에 보수정권 몇 십 년 하면서 무너졌던 전철을 동일하게 밟고 있구나. 그런데도 사과하고 반성하지 못하고 그래서 변명으로 일관하는 모습을 보고. 하지만 제가 통합당에게 이야기하고 싶은 건 제가 사실 이런 사건 전으로 이제 많은 익명을 블로그 댓글이라든가 페이스북 댓글을 받았는데 저는 이제 민주당을 그동안 찍어왔지만 탈 민주를 선언하겠다. 하지만 그렇다고 통합당이 답인지는 아직도 마음이.
진행자 이상훈 : 이탈은 했지만 그게 통합당으로 가지는 아직... 가는 상황은 아니라는 거네요?
조대원 정치평론가 : 그렇죠, 그러면서 하는 말이 우리의 대안이 통합당으로 될 수밖에 없는 게 슬프다. 이게 중도층들의 지금 마음이에요. 그래서 지금 현재에는 지금 민주당을 공격하고 일단 박원순 시장을 공격하는 단계가 아니라 지금 현재 통합당이 해야 되는 건 도리어 이런 기회에 더 낮아지면서 자숙하고 우리의 과거 잘못된 것을 돌아보고 변하고 쇄신하는 모습을 보여줘야지 답이 내부 스스로에 있지 이게 상대한테 답을 찾으려고 해서는 안 된다. 그래서 지금의 민심이 내년 4월 재보궐선거 때까지 부산시장, 서울시장 뽑고 뭐 이렇게 재보궐선거까지 간다는 보장도 없다. 그래서 더 이럴 때일수록 긴장하고 더 조심하고 해야 할 시기라고 저는 판단합니다.
△ 박 시장 성추행 의혹을 정쟁의 관점에서만 바라본 조대원 정치평론가
MBN <아침&매일경제>(7/13)
박 시장 사망과 성추행 의혹이 알려진 후 ‘피해자를 어떻게 지칭할 것인가’로 시끄러웠습니다. ‘고소인’, ‘피해 호소인’, ‘가해 지목인’ 등 명칭이 나왔지만 섣불리 ‘피해자’로 부르진 못했는데요. 진상규명을 요구하는 목소리에 지금은 진상규명보다 추모를 해야 할 때라는 주장도 나왔습니다. 상황의 이면에는 ‘우리 편 감싸기’라는 진영논리가 숨어 있습니다. 진행자 이상훈 씨는 이러한 ‘진영논리’에 대한 출연자 견해를 물었던 것이죠. 하지만 조대원 씨는 사안의 본질을 흐리는 진영논리를 우려하고 비판하는 대신, 각 당 입장을 추측하고 통합당에 조언까지 해준 겁니다.
어렵게 용기 낸 피해자는 피해 사실을 고백했고 성추행 의혹의 진실은 밝혀져야 합니다. 이것이 사건의 본질입니다. 본질은 제쳐 두고 민주당과 통합당의 정치적 유불리만 계산하는 건 진영논리를 더욱 부추길 뿐입니다. 모든 사안을 정쟁 소재로 바라보는 대신 본질을 바라보는 눈을 키우길 바랍니다.
2. ‘피해자와 연대’ 입장 표명이 갈등의 씨앗?
MBN <뉴스와이드>(7월 13일)에서도 고 박원순 시장 관련 대담을 했습니다. 성추행 의혹을 받은 박 시장 빈소에 조문하는 것이 적절한지, 장례를 ‘서울특별시장’으로 치르는 것은 적절한지 논란이 일며 출연자 의견을 들은 건데요. 이 과정에서 박진영 더불어민주당 상근부대변인은 류호정‧장혜영 정의당 의원의 조문거부 입장표명으로 “2차 피해가 더 가해지고 양 진영이 나누어져 가지고 서로를 헤집는 이런 상황을 만들었을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박진영 더불어민주당 상근부대변인 : 장혜영 의원인가 이 몇 분이 ‘나는 조문을 가지 않겠다’, ‘이 집회에 온 여성을 위해서’, ‘방지를 위해서’ 이렇게 밝혀버립니다. 누가 그분들 보고 조문하라고 한 적도 없고, 당신 갔는지 우리 확인하고 싶다고 한 적도 없습니다. 제가 보기에는 좀 사적인, 지극히 사적입니다만 이분들이 그런 멘트를 날림으로 인해서 2차 피해가 더 가해지고 양 진영이 나누어져 가지고 서로를 헤집는 이런 상황을 만들었을 수도 있습니다. 저는 이제 이분들한테 한번 질문을 해보고 싶은 게요. 당신... 저기 우리 의원님이 글을 쓰실 때 이게 과연 언론에 나올 거라고 생각하고 썼는지, 안 나올 거라고 생각하고 썼는지 한번 물어보고 싶어요. 당연히 논쟁거리가 될 만한 것을 던짐으로 인해서 더 극단적인 갈등을 만든 거 아닙니까? 그래서 저는 이런 죽음의 문제라든가 피해자가 있는 이런 부분에 있어서는 우리 (정혁진) 변호사님 말씀하신 것처럼 ‘침묵이 금이다’라는 것처럼 자기네 생각을 좀 감추고 조용히 좀 차근히 보는 이런 점이 있지 않습니까? 성숙된 정치인이 되었으면 좋겠다, 이런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 ‘피해자와 연대’ 입장 표명을 갈등의 씨앗으로 본 박진영 더불어민주당 상근부대변인
MBN <아침&매일경제>(7/13)
류호정 의원은 7월 10일 페이스북을 통해 “고인의 명복을 비는 사람들의 애도 메시지를 보고 읽었다. 고인께서 얼마나 훌륭히 살아오셨는지 다시금 확인한다”, “그러나 저는 ‘당신(피해자)’이 외롭지 않았으면 좋겠다”며 박 시장 빈소에 조문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장혜영 의원도 7월 11일 페이스북에서 “차마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이 애도할 수 없다. 고인이 우리 사회에 남긴 족적이 아무리 크고 의미 있는 것이었다 해도 아직 우리가 알아야 할 것들이 있다”며 조문거부 의사를 밝혔죠. 두 의원은 ‘2차 피해’와 ‘신상털이’의 두려움 앞에서도 용기 낸 피해자를 향해 연대 의사를 표시한 겁니다.
‘진영논리’ 속 침묵 요구야말로 미성숙한 태도
박진영 씨는 이러한 연대 목소리를 일컬어 “논쟁거리가 될 만한 것을 던짐으로 인해서 더 극단적인 갈등을 만든 것”이라고 했습니다. 장혜영 의원을 ‘당신’이라 지칭하기도 했죠. “자기네 생각을 좀 감추고 조용히 좀 차근히 보라”는 요구도 숨기지 않았습니다. 박 시장 죽음과 성추행 의혹이 불거진 상황에서 굳이 입장을 내놓기보다 ‘침묵은 금’이라는 태도를 가져야 성숙한 정치인이라고도 말했습니다.
박진영 씨는 피해자를 향한 연대 의사 표명을 진영 간 갈등을 부추기는 씨앗 정도로 본 겁니다. 그러나 박 씨 주장이야말로 모든 걸 진영논리에 따라 판단하는 것에 불과합니다. 2018년 오마이뉴스 기사 <인터뷰/박원순 “안희정에 부죄 내린 판사, 비판받을 대목 있어”>(8월 18일)에 따르면, 안희정 씨가 성범죄 재판 1심에서 무죄를 받은 뒤 박 시장은 “피해자가 성희롱으로 성적 모독감을 느꼈다면 피해자의 관점에서 보는 게 요즘의 보편적 이론”이라고 말했습니다. 성범죄 사건이나 성추행 의혹에서 피해자 입장을 배려하고 연대 입장을 밝히는 건 갈등을 부추기는 행위가 아닙니다. 피해자에 연대하려는 목소리에 침묵을 요구할 게 아니라, 반복되는 지방자치단체장들의 성범죄 사건과 의혹을 해결하기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할지 논의하는 게 바람직하겠죠. 그게 문제의 본질을 바로 보는 것이기도 합니다. 성추행 의혹을 제기한 피해자가 움츠러들지 않도록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성숙한 정치인’의 태도입니다.
* 모니터 기간과 대상 : 2020년 7월 13일 MBN <아침&매일경제><뉴스와이드>
* 출연자 호칭을 처음엔 직책으로, 이후엔 ○○○ 씨로 통일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