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보도 모니터

신문_
[총감연 신문 중간평가 보고서] 양대 정당 중심‧익명성 두드러진 선거 보도, 변한 게 없다
등록 2020.04.13 15:20
조회 427

2020총선미디어감시연대 서울 지부는 △신문지면 △방송사 저녁종합뉴스 △종합편성채널 시사토크쇼 △정치시사 관련 유튜브 채널 △통신사 △인터넷 언론 등을 대상으로 선거 보도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있다. 이 중 신문과 방송 보도에 한해 한 주간 선거 보도를 양적 분석한 뒤, 경향성과 문제점을 총 정리한 보고서를 발행한다.

분석기간

2월 17일(월)부터 3월 21일(토)

분석대상

경향신문,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한국일보

(신문 지면에 한함)/별지 및 섹션면은 제외

분석기사

선거를 1번이라도 언급한 기사이거나 후보, 지지율, 지지층, 유세 등의 단어를 언급하여 선거와 연관됐다고 볼 수 있는 기사

△ <표1> 6개 종합일간지 4・15총선 관련 보도 양적분석 개요(2/17~3/21) ©민주언론시민연합 

아래는 6개 종합일간지 선거 보도의 양적분석 중간평가 보고서이다. 총선을 3주 가량 남겨 놓은 3월 21일을 기준으로 처음 분석을 시작한 2월 17일부터 3월 21일까지 신문 선거보도의 경향을 정리했다. 

 

1. 종합평가

4‧15총선을 25일 앞둔 3월 21일까지도 6개 주요 일간지의 선거 보도 비중이 총 보도수 대비 평균 13.3%에 그쳤다. 이렇게 선거 보도가 부족한 가운데, 선거 보도의 정당별 등장 횟수에서나, 유해보도 양상에서나 ‘거대 양당 중심 보도’가 뚜렷하다는 점이 돋보인다. 선거제 개혁으로 비례대표가 확대되고 여러 신생 정당이 탄생했으나 종전의 ‘거대 양당 중심 보도’ 경향이 여전한 것이다. 익명취재원, 따옴표 큰제목, 지역/연고주의 표현 등의 관행도 개선된 바가 없었다. 선거 보도에서 ‘정치혐오’ 요소가 담긴 사례들 역시 두드러졌다. 우리 언론이 지닌 여러 한계와 관습적 문제점들이 선거라는 특수성이 더해져 더욱 극대화된 양상이다. 이런 경향은 신문뿐 아니라 방송 뉴스 분석에서도 확인된 바 있다.

 

1) 양대 정당 중심보도 일색…군소정당/신진후보는 들러리

신문에 1번이라도 등장한 정당명을 추적한 결과 총 46개의 정당명이 있었다. 비례대표를 확대한 선거제 개혁 후 첫 선거인만큼 과거보다 많은 정당이 등장할 수밖에 없다. 이 수치도 후보 약력을 언급할 때 과거 선거 결과를 되짚으면서 없어진 정당을 언급한 경우는 제외하고 정확한 정당 명칭을 정하지 못하거나 포괄적으로 언급한 경우엔 유사한 이름끼리 묶거나 비례○○당이라고 언급하면 그대로 표시를 한 것이다. 실제로는 46개 이상의 정당이 선거 보도에서 거론됐다는 의미다.

그러나 더불어민주당, 미래통합당, 즉 거대 양당을 제외하면 다른 정당들은 말그대로 ‘언급’만 됐다. 선거보도에서 더불어민주당 혹은 미래통합당을 언급한 선거보도는 무려 1,396건으로 정당을 언급한 보도 중 74.5%에 이르렀다. 군소정당은 미래통합당과 더불어민주당이 비례용 위성정당 행보를 보일 때 등장 횟수가 반짝 늘어나는 수준에 그쳤다. 브랜드뉴파티, 같이오름, 젊은보수는 미래통합당에 합류한다는 차원에서만 보도에 등장했다. 녹색당, 미래당, 시대전환, 정치개혁연합, 시민을위하여, 열린민주당도 더불어민주당의 비례대표용 정당 논의에 따라 언급량이 들쭉날쭉했다. 자생적으로 만들어진 군소정당이나 신진후보가 단독으로 다뤄진 기사는 찾아보기 어렵고 거대 양당의 선거전략의 일부로 들러리 세워지는 경향이 컸다. 원내정당에서 정의당은 3번째로 그나마 언급량이 많았다. 민생당은 출범 때조차 미래한국당과 정의당보다 언급량이 적었다.

거대 양당 중심 보도는 이분화된 정치 구도를 더욱 강화할 위험이 크다. 더구나 정치에 대한 신뢰 회복과 소수자의 대표성 증진을 위해 선거제가 개혁됐는데 거대 양당 중심 보도 양상이 더욱 강고해진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 선거 국면을 주도하는 거대 양당을 조명할 수밖에 없다는 현실적 제약, 비례대표 확대마저 거대 양당의 위성정당 논란으로 퇴색됐다는 점을 감안해도 언론이 그러한 현실을 타파할 수 있도록 선도해야 한다는 아쉬움이 크다.

 

2) 취재원의 익명 처리, 고질병인가?

어떤 후보, 또는 어떤 정당이 주요 쟁점에 어떤 입장을 표했는지, 선거에서 어떤 비전과 정책‧공약으로 임하고 있는지는 되도록 실명으로 보도해 유권자의 판단을 도울 필요가 있다. 특정 정당이나 후보에 유불리가 작용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과도한 익명보도는 지양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번 총선에서도 ‘익명취재원’ 보도는 남발되는 경향이 있으며, ‘익명성’을 이용해 정파성을 노골화한 사례도 적지 않다.

중앙일보 <퍼스펙티브/민심 이반 부르는 코로나 대응 자충수>(3/5)는 “관료사회에 퍼진 소문”, “극소수 측근들이 참가한 이 회의의 정확한 내용은 확인되지 않지만 청와대 담장을 넘어 고약한 소문이 번졌다”와 같이 대놓고 ‘소문’을 근거로 삼았다. ‘소문’에 따르면 청와대 비공개회의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참모의 건의를 묵살했고, 이에 따라 “누구도 싫은 소리를 하지 못하는 분위기가 굳어졌다”는 것이다. ‘익명’을 넘어 ‘어딘가에 퍼진 소문’까지 민심을 흔들 수 있는 정부 비판에 이용되는 것이다.

정당 내 갈등을 부각하기 위해 익명 취재원이 사용된 경우도 적지 않다. 조선일보 <막가는 비례당명 시민당, 23초 창당>(2/26)은 여당이 아직 비례연합정당 참여 여부를 고민하던 당시의 설왕설래를 “친문 핵심 의원”, “민주당 핵심 관계자”, “지도부의 한 의원”, “지도부 일각” 등의 출처를 통해 강조했다. 여당의 공식적 입장과 달리 ‘친문’과 ‘일부 지도부’에 따르면 비례용 정당 창당이 불가피하다는 주장이 많다는 내용이다. 조선일보는 여기에 “강성 친문 지지자들은 온라인상에서 결집하고 있다”는 묘사까지 더해 여당이 ‘강성 친문’ 여론에 못 이겨 위성정당 창당에 뛰어드는 것임을 암시했다. 익명성과 계파 표현이 더해진 사례다.

정부‧여당 뿐 아니라 야당 내부 갈등을 전할 때도 ‘익명 취재원’이 애용됐다. 조선일보 <황측 "한선교에 뒤통수 맞아, 공천 쿠데타">(3/17)에서는 미래한국당과 미래통합당의 공천 갈등을 전하면서 “통합당 내부”, “통합당 관계자”, “황 대표의 한 측근” 등 익명을 인용했다.

익명성에 기댄 보도는 정치인의 책임 발언을 기대하기 어렵다. 오히려 정파성을 드러내 표현할 수 있는 기회가 되고, 추측이나 근거가 부족한 내용을 이야기하기 쉽다. 실제로 이런 목적에서 익명을 요구하는 경우도 많다는 점에서 주의 해야 한다.

 

3) 정치혐오 조장하는 보도들

지역연고주의 표현은 지역에 대한 정치적 편견을 만들고 혐오감정을 야기할 수 있다. 후보자나 정당에서 쓴 표현이라고 하지만 “호남은 민주당의 심장”, “더불어민주당은 고토(호남) 회복을 자신”, “제1야당 대표 입장에선 텃밭인 TK”와 같이 지역주의를 강화하는 표현을 아무 거리낌 없이 쓰는 것은 잘 개선이 되지 않고 있다.

더 심각한 문제는 정치인의 막말을 비판해야 할 언론이 더 부적절한 표현을 기사에 쓴다는 점이다. 꼼수, 국민 우롱, 안면몰수, 대국민 사기극 등의 표현은 예사고, 공천 관련 보도에선 피바람, 칼바람, 자객, 탈환, 저격, 내전, 백척간두 싸움 등과 같은 전투용 표현도 등장했다. 심지어 비례용 정당을 두고 의병, 민병대라는 표현까지 여당에서 나왔는데 이를 여과 없이 쓰는 보도도 많았다. 그나마 한국일보 <지평선/의병정당>(3/2)에서 김영화 논설위원이 이런 행태를 “나라를 구하기 위해 맨 몸으로 저항한 의병의 대의를 당리당락과 같은 선상에 놓아서야 되겠는가”라고 반문했다. 이렇게 부적절한 표현을 지적하는 보도는 찾기 어렵다. 비례정당을 두고는 ‘쓰레기 정당’, ‘의석 도둑질’과 같은 부정적인 표현들도 자주 인용됐다.

정치판이 혼탁하고 이전투구로 움직인다면 언론은 문제를 지적할 줄 알아야 한다. 정치권의 꼼수 대결과 의석수 다툼을 두고 이도저도 잘한 것 없다고 분열과 갈등을 중계만 하는 보도는 정치 혐오를 오히려 부추길 뿐이다.

 

2. 선거보도 비중 13.3%, 코로나19 대확산 이전 수준 회복 못 해

2월 17일(D-58)부터 3월 21일(D-25)까지 총 5주간 6개 종합일간지의 보도 14,064건 가운데 선거 관련 보도는 1,873건으로 전체 보도수 대비 비중이 13.3%에 불과했다. 신문별 선거 관련 보도수를 살펴보면 조선일보가 401건으로 가장 많이 보도했고, 한국일보가 323건, 동아일보가 299건, 경향신문이 297건, 한겨레가 292건 순이며, 중앙일보가 261건으로 가장 적다. 하지만 보도 비중으로 보면 중앙일보가 20.0%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조선일보가 15.2%, 한겨레 12.6%, 한국일보가 12.5%, 동아일보가 11.8% 순이며, 경향신문이 11.0%를 나타냈다.

구분

경향신문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한국일보

합계

보도량 분석

선거관련 보도수

297

299

401

261

292

323

1873

전체 보도수

2702

2539

2630

1302

2312

2579

14064

전체 보도수 대비 비중

11.0%

11.8%

15.2%

20.0%

12.6%

12.5%

13.3%

보도

비중

추이

1주차

14.2%

16.9%

18.4%

23.4%

16.6%

15.9%

17.0%

2주차

9.2%

8.7%

11.3%

15.5%

10.1%

10.8%

10.6%

3주차

8.1%

9.8%

12.4%

19.8%

9.3%

10.8%

11.0%

4주차

11.1%

11.2%

17.4%

19.2%

12.6%

11.4%

13.3%

5주차

12.4%

12.5%

16.6%

22.4%

14.7%

13.6%

14.8%

평균

11.0%

11.8%

15.2%

20.1%

12.7%

12.5%

13.3%

△ <표2> 매체별 4・15총선 관련 보도건수와 비중(2/17~3/21) ©민주언론시민연합

주차별 선거보도 비중을 보면, 1주차(2/17~2/22)에는 17.0%였던 선거 보도 비중이 코로나19가 크게 확산되면서 2주차(2/24~2/29)에 10.6%로 급락했다. 이후 3주차(3/2~3/7) 11.0%, 4주차(3/9~3/14) 13.3%, 5주차(3/16~3/21)에 14.8%까지 점차 비중이 커지기는 했으나 선거가 임박했음을 고려할 때 여전히 저조한 편이다(<그림1> 참조).

 

선거 기획 보도도 4.3%에 불과, ‘기획’ 취지 살린 한겨레 그나마 돋보여

보도유형별로 보면, 62.9%(1,179건)가 스트레이트 기사였고, 칼럼 17.0%(318건), 사설 6.6%(124건), 사진 6.5%(122건), 기획/연재 4.3%(80건), 인터뷰 2.3%(44건)였고, 사실확인보도는 0.3%(6건)에 그쳤다. 중앙일보는 칼럼, 사설, 기획/연재, 인터뷰 기사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그림1.jpg

△ <그림1> 4・15총선 관련 신문의 선거 보도 주차별 비중(2/17~3/21) ©민주언론시민연합

구분

경향신문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한국일보

합계

보도

유형 분석

스트레이트

191

209

282

121

167

209

1179

64.3%

69.9%

70.3%

46.4%

57.2%

64.7%

62.9%

기획, 연재

4

11

9

25

14

17

80

1.3%

3.7%

2.2%

9.6%

4.8%

5.3%

4.3%

인터뷰

12

3

7

9

5

8

44

4%

1%

1.7%

3.4%

1.7%

2.5%

2.3%

사설

16

20

26

24

21

17

124

5.4%

6.7%

6.5%

9.2%

7.2%

5.3%

6.6%

칼럼

47

33

46

72

59

61

318

15.8%

11%

11.5%

27.6%

20.2%

18.9%

17%

사진

27

23

29

7

26

10

122

9.1%

7.7%

7.2%

2.7%

8.9%

3.1%

6.5%

사실 확인 보도

0

0

2

3

0

1

6

0%

0%

0.5%

1.1%

0%

0.3%

0.3%

합계

297

299

401

261

292

323

1873

100%

100%

100%

100%

100%

100%

100%

 △ <표3> 매체별 4・15총선 관련 보도유형(2/17~3/21) ©민주언론시민연합​

선거를 앞두고 5주간 관련 보도를 분석했음에도 불구하고 선거 기획·연재 보도조차 찾아보기 어려웠다. 신문사마다 모두 기획 보도를 내기는 했으나 10%미만에 그쳤다. 중앙일보는 3월 4일과 5일 <4·15 중도 표심에 달렸다 , >, 3월 7일 <국민선택, 4·15 총선 ①20대 국회 성적표-1>, 3월 14일 <국민선택, 4·15 총선 ①20대 국회 성적표-2>, 3월 16일 <총선 D-30 중앙일보 여론조사>, 3월 17일 <총선 D-29 중앙일보 여론조사> 등의 기획 보도로 ‘중도층 여론’, ‘20대 국회 성적표’, ‘여론조사 결과’를 살폈다. 선거 국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통상적 보도 주제들이다.

그림2.jpg

△ <그림2> 4・15총선 관련 중앙일보, 한겨레, 한국일보의 기획보도 ©민주언론시민연합

한겨레는 기획 보도를 다변화하고자 한 시도가 엿보였다. 2월 17일 <골목길에서 본 2020 총선① 종로구 박빙지역 1·2·3·4가동>, 21일 <골목길에서 본 2020 총선② 대구 수성갑 고산1동>, 28일 <골목길에서 본 2020 총선③ 인천 연수을 옥련1동>은 모두 ‘골목길 민심’을 직접 발로 뛰며 들어본 보도들이다. 3월 16일 <여론조사 메타분석. 총선 판세 가늠자>는 여론조사 결과들의 경향과 추이를 종합적으로 ‘메타분석’한 기획보도다. 조사 방법마차 편차가 큰 단편적 여론조사 결과보다는 여론조사의 총체적인 추이를 보는 것이 여론을 파악하는 데 더 적합하다는 취지다. 그 ‘단편적 여론조사’를 단순 전달하는 보도가 대부분임을 고려할 때 유의미한 보도였다. 이외에도 한겨레는 3월 21일 <뉴스분석 왜?/거대 양당의 비례정당 꼼수/비례대표 선거의 흑역사를 새로 쓰다>에서 거대 양당의 비례정당 꼼수를 구체적으로 다루는 등 ‘기획’의 취지를 잘 살린 사례가 돋보였다.

 

3. 서울지역 58.4%… 선거 보도 대부분 ‘수도권’ 집중

선거 보도에서 지역을 언급한 기사는 총 800건(42.7%)이 있었다. 지역을 언급하지 않은 선거 보도 1073건(57.3%)를 제외하고 각 지역별 언급 비중을 비교했다.

구분

경향신문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한국일보

합계

서울지역

79

90

88

66

64

80

467

60.8%

67.2%

55.7%

55.9%

58.2%

53.3%

58.4%

경기지역

49

57

59

50

42

58

315

37.7%

42.5%

37.3%

42.4%

38.2%

38.7%

39.4%

강원지역

15

17

19

12

9

18

90

11.5%

12.7%

12.0%

10.2%

8.2%

12.0%

11.3%

충북지역

16

14

17

16

7

16

86

12.3%

10.4%

10.8%

13.6%

6.4%

10.7%

10.8%

충남지역

21

29

23

20

11

16

120

16.2%

21.6%

14.6%

16.9%

10.0%

10.7%

15.0%

경북지역

56

47

58

47

47

54

309

43.1%

35.1%

36.7%

39.8%

42.7%

36.0%

38.6%

경남지역

48

45

46

31

35

39

244

36.9%

33.6%

29.1%

26.3%

31.8%

26.0%

30.5%

전북지역

21

12

20

13

7

12

85

16.2%

9.0%

12.7%

11.0%

6.4%

8.0%

10.6%

전남지역

31

25

27

21

12

18

134

23.8%

18.7%

17.1%

17.8%

10.9%

12.0%

16.8%

제주지역

9

3

4

4

1

4

25

6.9%

2.2%

2.5%

3.4%

.9%

2.7%

3.1%

합계

130

134

158

118

110

150

800

지역표시없음

167

165

243

143

182

173

1073

56.2%

55.2%

60.6%

54.8%

62.3%

53.6%

57.3%

△ <표4> 매체별 4・15총선 관련 보도에서 지역의 등장 빈도(2/17~3/21) ©민주언론시민연합

※언급된 횟수로 중복 집계

지역을 언급한 보도에서 서울지역이 58.4%(467건)으로 단연 압도적으로 많았다. 그 다음으로 경기지역이 39.4%(315건), 경북지역이 38.6%(309건), 경남지역이 30.5%(244건) 순이었다. 제주지역 언급은 25건(3.1%)에 그쳤다(<그림3> 참조).

주차별 지역별 언급 비중을 비교해 본 결과 서울지역이 전 주에 걸쳐 우세하나, 경북지역과 경기지역의 언급량은 엎치락뒤치락 했다. 4.15 총선에서 지역구 의석수 253석 중에 서울과 수도권에 과반에 가까운 121석이 달렸기 때문에 서울, 경기지역에 보도가 쏠리는 것은 불가피한 현상일 수 있다. 경북 지역의 언급량이 전체적으로 경기도와 비슷하고 시기마다 요동쳤던 데에는 아무래도 대구‧경북 지역 코로나19 대확산의 영향이 컸다. 대구‧경북 지역에서 확진자가 폭증한 시기와 겹친 2주차 분석기간(2/24~2/29)을 기점으로 선거 보도에서 대구‧경북이 언급되는 비중이 크게 증가했으며 이후 생계지원대책 등이 논의되면서 언급량이 꾸준했다. 경북, 경남은 언론이 과거부터 꾸준히 거대 양당의 전략 지역으로서 주목한 지역이라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그림4> 참조).

그림3.jpg

△ <그림3> 4・15총선 관련 신문의 주차별 보도 비중(2/17~3/21) ©민주언론시민연합

그림4.jpg

△ <그림4> 4・15총선 관련 신문의 주차별 지역의 언급 비중(2/17~3/21) ©민주언론시민연합

   

4. ‘선거전략’‧‘공천관련’ 편중 반복…검증‧정책‧후보자 정보 실종

선거 보도의 주제는 △후보자 기본정보 △정책 및 공약 △후보의 자질 △공천 관련 보도 △정당의 이합집산이나 선거연대 등 선거 전략 △선거 판세나 여론조사 △후보 동정 △선거법 관련 △시민사회 동향 △기타 등 10가지 항목으로 분류해 중복 집계했다.

선거 보도에서 주로 다룬 주제는 ‘선거전략’(32.7%, 606건)과 ‘공천관련’(27.5%, 509건) 보도였다. 그 다음으로 ‘선거법 관련’이 10.4%(192건)였고, ‘후보동정’이 6.0%(112건), ‘정책공약’ 보도가 5.6%(103건)이 있었다. 후보자 기본정보는 5.4%(100건), 선거판세 혹은 여론조사 보도는 4.8%(89건), 시민사회동향이 3.2%(60건), 후보자 자질 검증 보도는 2.9%(54건)에 해당했다. 유권자에게 반드시 필요한 기본적 정보인 ‘후보자 정보’, 선거 보도에서 습관적으로 하기 마련인 ‘선거판세‧여론조사’마저 비중이 한 자리 수에 그친 점에서 이번 총선이 얼마나 언론의 무관심에 놓여있는지 알 수 있다.

이번 분석에서 눈에 띄는 주제는 ‘기타’(24.3%, 450건)로 분류된 것들이다. ‘기타’ 주제는 경제, 정치, 사회 이슈들을 선거와 연관지어 언급한 사례들이 대부분이었다. 대표적으로 코로나 방역 대응과 경제 위기, 추경에 관련한 보도가 있었고, 20대 국회 평가, 안보현안, 인권 혹은 노동 이슈, 과거 정치 이슈를 돌이켜 보고 지금의 상황을 비교 평가하는 식의 보도를 꼽을 수 있다.

구분

경향신문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한국일보

합계

후보자 기본정보

9

13

27

20

11

20

100

3.0%

4.3%

6.7%

7.7%

3.8%

6.2%

5.3%

정책 공약

23

18

15

8

19

20

103

7.7%

6.0%

3.7%

3.1%

6.5%

6.2%

5.5%

후보자 자질

6

6

20

5

7

10

54

2.0%

2.0%

5.0%

1.9%

2.4%

3.1%

2.9%

공천 관련

91

108

123

56

64

77

519

30.6%

36.1%

30.7%

21.5%

21.9%

23.8%

27.7%

선거전략

114

100

121

67

102

106

610

38.4%

33.4%

30.2%

25.7%

34.9%

32.8%

32.6%

선거판세여론조사

6

6

9

20

15

33

89

2.0%

2.0%

2.2%

7.7%

5.1%

10.2%

4.8%

후보동정

13

17

28

16

14

24

112

4.4%

5.7%

7.0%

6.1%

4.8%

7.4%

6.0%

선거법 관련

35

32

35

22

34

34

192

11.8%

10.7%

8.7%

8.4%

11.6%

10.5%

10.3%

시민사회동향

16

2

10

5

17

10

60

5.4%

.7%

2.5%

1.9%

5.8%

3.1%

3.2%

기타

51

59

106

97

69

76

458

17.2%

19.7%

26.4%

37.2%

23.6%

23.5%

24.5%

합계

297

299

401

261

292

323

1873

△ <표5> 매체별 4・15총선 관련 보도에서 보도 주제(2/17~3/21) ©민주언론시민연합

※각 주제별로 중복 집계

 

그나마 ‘자질검증’ 보도 많이 한 조선일보, 일부는 ‘정치적 의도’ 뚜렷

매 선거마다 언론이 외면하는 ‘정책‧공약’, ‘후보자 자질’ 보도는 이번 선거에서 더욱 찾아보기 어렵다. 특히 ‘후보자 자질’ 보도는 자타가 공인하는 언론의 책무이지만 6개 신문에서 총 54건(2.9%)에 불과했다.

그나마 20건을 낸 조선일보고 두드러졌는데 조선일보의 경우 검증보다는 비난에 초점을 맞춘 사례가 있었다. 조선일보 <민주 비례 19번 엄마 찬스 논란거기에 기름 부은 비례 4번 김홍걸>(3/17)의 경우 박은수 민주당 전국대학생위원회 부위원장이 딸의 정치 스펙을 만들어 주는 ‘엄마 찬스’ 논란에 휩싸였다고 전했는데, 여기다 굳이 “고(故) 김대중 대통령의 삼남인 김홍걸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상임의장”을 거론해 김홍걸 의장에게 쏟아진 “부모 찬스의 원조(元祖)가 등장했다”, “30억 뇌물 받고도 금배지 다는 코미디”, “양심이 없다” 등의 비난 댓글을 덧붙였다. 조선일보 <정봉주·손혜원 비례당 김의겸·최강욱 공천>(3/21)은 열린민주당의 후보들을 열거하며 “친문·친조국 일색”이라 규정하는 것 외에 별다른 ‘검증’의 의미가 없는 보도다. 공천된 후보들을 비판하고 자질을 따지는 보도는 항상 필요하지만 이런 식의 보도는 해당 언론의 정치적 의도가 개입된 것은 아닌지 우려될 수밖에 없다.

 

5. 거대 양당 중심 보도 여전…비례정당 관심 쏠리니 원내정당 등장은 줄어

선거 보도에서 정당을 언급한 1,511건(80.7%)의 보도 중에서 더불어민주당이 69.5%, 미래통합당이 62.5%로 가장 빈번하게 언급됐다. 중앙일보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한국일보에서는 미래통합당 등장 비중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그 다음으로 등장빈도가 높은 정당은 정의당(18.2%), 미래한국당(17.5%), 자유한국당(11.7%), 민생당(9.3%), 국민의당 (9.2%), 열린민주당(6.7%), 더불어시민당(6.0%) 순으로 나타났다. 한겨레는 정의당, 경향신문은 미래한국당, 중앙일보는 자유한국당을 상대적으로 많이 언급했다.

구분

경향신문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한국일보

합계

더불어민주당

168

184

229

154

143

172

1050

68.9%

71.0%

69.0%

81.1%

62.4%

66.9%

69.5%

미래통합당

149

168

195

117

133

182

944

61.1%

64.9%

58.7%

61.6%

58.1%

70.8%

62.5%

정의당

55

31

37

42

62

48

275

22.5%

12.0%

11.1%

22.1%

27.1%

18.7%

18.2%

미래한국당

52

40

47

34

41

51

265

21.3%

15.4%

14.2%

17.9%

17.9%

19.8%

17.5%

자유한국당

25

31

33

33

27

28

177

10.2%

12.0%

9.9%

17.4%

11.8%

10.9%

11.7%

민생당

24

24

30

19

19

24

140

9.8%

9.3%

9.0%

10.0%

8.3%

9.3%

9.3%

국민의당

19

24

29

18

14

25

129

7.8%

9.3%

8.7%

9.5%

6.1%

9.7%

8.5%

비례민주당

35

11

22

13

18

30

129

14.3%

4.2%

6.6%

6.8%

7.9%

11.7%

8.5%

바른미래당

25

20

25

19

15

18

122

10.2%

7.7%

7.5%

10.0%

6.6%

7.0%

8.1%

새로운보수당

16

17

27

16

5

16

97

6.6%

6.6%

8.1%

8.4%

2.2%

6.2%

6.4%

더불어시민당

19

14

21

11

12

16

93

7.8%

5.4%

6.3%

5.8%

5.2%

6.2%

6.2%

정치개혁연합

18

14

19

10

13

14

88

7.4%

5.4%

5.7%

5.3%

5.7%

5.4%

5.8%

녹색당

21

7

13

9

19

14

83

8.6%

2.7%

3.9%

4.7%

8.3%

5.4%

5.5%

대안신당

10

9

13

6

7

8

53

4.1%

3.5%

3.9%

3.2%

3.1%

3.1%

3.5%

그 외

정당 언급 있음

244

259

332

190

229

257

1511

정당 언급

없음

53

40

69

71

63

66

362

17.8%

13.4%

17.2%

27.2%

21.6%

20.4%

19.3%

△ <표6> 매체별 4・15총선 관련 사진에서 등장정당(2/17~3/21) ©민주언론시민연합

※ 기사에서 한 번이라도 언급된 정당은 모두 집계

주차별 선거 보도에서 정당의 등장 비중을 비교하면 더불어민주당과 미래통합당의 등장 비중이 일관되게 높고, 정의당은 4주차까지 증가하였지만 5주차에는 줄었다. 미래한국당은 꾸준하게 언급량이 늘었다. 더불어시민당은 5주차에 갑자기 등장빈도가 크게 는 것이 특징이다. 열린민주당은 언급량에서 총 50건을 넘지 않아 표와 그래프에 표기되지 않았다.

구분

경향신문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한국일보

합계

더불어민주당

39

33

44

43

28

60

247

43.3%

50.0%

41.5%

50.6%

41.8%

50.0%

46.3%

미래통합당

29

37

49

40

29

53

237

32.2%

56.1%

46.2%

47.1%

43.3%

44.2%

44.4%

정의당

14

5

4

9

11

9

52

15.6%

7.6%

3.8%

10.6%

16.4%

7.5%

9.7%

국민의당

5

7

10

8

2

9

41

5.6%

10.6%

9.4%

9.4%

3.0%

7.5%

7.7%

미래한국당

6

5

8

8

2

10

39

6.7%

7.6%

7.5%

9.4%

3.0%

8.3%

7.3%

민생당

7

5

6

5

3

1

27

7.8%

7.6%

5.7%

5.9%

4.5%

.8%

5.1%

그 외

정당 언급 있음

90

66

106

85

67

120

534

정당 언급

없음

207

233

295

176

225

203

1339

69.7%

77.9%

73.6%

67.4%

77.1%

62.8%

71.5%

△ <표7> 매체별 4・15총선 관련 사진에서 등장정당(2/17~3/21) ©민주언론시민연합

※ 기사에서 한 번이라도 언급된 정당은 모두 집계

그림5.jpg

△ <그림5> 4・15총선 관련 신문의 주차별 정당 등장빈도 비중(2/17~3/21) ©민주언론시민연합

사진에 정당이 등장한 534건(28.5%) 중에서 더불어민주당은 46.3%(247건), 미래통합당이 44.4%(237건)을 차지해 비슷한 등장을 보였다. 그 다음으로 정의당이 52건이 있었고, 국민의당 41건, 미래한국당이 39건, 민생당이 27건 등장했다.

주차별로 사진이나 이미지에 정당의 등장 비중을 살펴보면 더불어민주당 등장이 항상 우세한 것으로 나타나지만 미래통합당이 3주차에는 약간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기도 했다. 미래한국당의 등장이 꾸준히 늘어서 18.4%까지 등장 빈도가 3번째로 많은 정당이 됐다. 더불어시민당은 5주차에 등장이 증가했으나 전체 빈도로 보면 9건이었으므로 표와 그래프에서 제외했다. 사진에서 정의당의 등장이 20.3%까지 뚜렸하게 증가세를 보였지만 8.1%까지 꺾여 줄었다. 국민의당은 2주차에 상승세가 있었지만 다시만 7.2%까지 줄었다가 유지 중이다. 민생당은 등장빈도가 4주차에 2.7%까지 줄었다가 5주차에 6.6%로 회복했다.

그림6.jpg

△ <그림6> 4・15총선 관련 신문의 사진에서 주차별 정당 등장빈도 비중(2/17~3/21) ©민주언론시민연합

 

6. 유익보도, ‘시민질의논평’‧‘선거법 관련’ 많았다

선거보도의 유익성 여부는 △정책을 제공하는지 △비교 평가를 제공하는지 △팩트체크가 포함되었는지 △시민사회 여론이나 자발적 운동을 소개했는지 △신진후보나 군소정당을 단독으로 소개했는지 △시민의 질의나 평가를 소개했는지 △시민들의 정치참여 방법을 소개했는지 △선거 관련법을 소개하거나 해설했는지 등 총 8개 기준으로 분류해 집계했다.

유익보도는 총 331건(22.5%)을 꼽을 수 있었다. ‘시민질의논평’을 포함한 보도가 124건(37.5%)으로 가장 많고, 바뀐 선거제도와 관련해서 설명하거나 투표 관련 안내를 담은 ‘선거법 관련’ 보도가 75건(22.7%)이 두 번째로 많았다. ‘시민사회여론운동’이 9건(20.8%)이 있고, ‘신진후보/군소정당’을 소개한 보도는 58건(17.5), ‘정책제공’ 보도 52건(15.7%)이 있었다(<그림7>참조). 신문별 유익보도를 비교하면 경향신문은 시민사회여론운동, 동아일보는 정책제공 보도, 한겨레는 신진후보/군소정당 소개 보도가 상대적으로 많았다(<표8> 참조).

구분

경향신문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한국일보

합계

정책제공

11

10

7

2

11

11

52

16.4%

31.3%

11.9%

5.0%

16.9%

16.2%

15.7%

비교평가정보

1

3

0

0

2

2

8

1.5%

9.4%

0.0%

0.0%

3.1%

2.9%

2.4%

사실확인검증

0

0

0

0

0

1

1

0.0%

0.0%

0.0%

0.0%

0.0%

1.5%

.3%

시민사회여론운동

23

3

12

5

16

10

69

34.3%

9.4%

20.3%

12.5%

24.6%

14.7%

20.8%

신진후보군소정당

13

8

10

3

15

9

58

19.4%

25.0%

16.9%

7.5%

23.1%

13.2%

17.5%

시민질의논평

22

6

21

21

23

31

124

32.8%

18.8%

35.6%

52.5%

35.4%

45.6%

37.5%

온라인 추가정보

3

0

0

0

2

1

6

4.5%

0.0%

0.0%

0.0%

3.1%

1.5%

1.8%

선거법

관련

14

8

12

10

15

16

75

20.9%

25.0%

20.3%

25.0%

23.1%

23.5%

22.7%

합계

67

32

59

40

65

68

331

보도수 대비비중

22.6%

10.7%

14.7%

15.3%

22.3%

21.1%

17.7%

△ <표8> 매체별 4・15총선 관련 유익보도(2/17~3/21) ©민주언론시민연합

※각 항목별로 중복 집계

그림7.jpg

△ <그림7> 4・15총선 관련 신문의 유익보도 비중(2/17~3/21) ©민주언론시민연합

 

7. 유해보도, ‘익명취재원’‧‘따옴표큰제목’ 언론 고질병 그대로

선거보도의 유해성 여부는 △우열에만 초점을 맞춘 경마성 보도 △지엽적인 가십성/이벤트 중심 보도 △폭로성 주장을 일방적으로 다루는 보도 △폭로나 인신공격으로 갈등을 빚는 양측의 주장을 사실관계 확인 없이 단순 보도 △양대 정당 중심 보도 △정치혐오성 보도 △전쟁이나 군사용어로 선거 판세를 표현하는 전투형 보도 △지역/연고주의 보도 △익명 취재원 보도 △따옴표 보도 △오보 등 총 11개 기준으로 구분해 집계했다.

지난 5주 간 ‘익명취재원’(468건, 46.9%)이 가장 많았으며 ‘따옴표큰제목’(261건, 26.2%), ‘양대정당중심’(246건, 24.6%), ‘정치혐오’(161건, 16.1%), ‘지역연고주의’(108건, 10.8%)가 뒤를 이었다. 익명취재원과 따옴표큰제목 보도의 경우 선거가 아니더라도 언론이 늘 노출하는 문제 보도 양상이며, ‘양대정당중심’ 보도 역시 선거마다 반복되고 있다.

익명 취재원의 인용은 그 자체로 근거의 신빙성이 부족하지만 추측성 보도를 양산하거나 확인되지 않은 소문을 사실처럼 확산시킬 가능성도 크다. 간혹 이를 악용하는 기사들도 있다. 취재원 보도 등의 이유로 익명 보장이 필요한 경우가 있을 수 있겠으나 취재의 원칙을 지키지 않고 습관처럼 ‘관계자’, ‘모 의원’, ‘한 의원’. ‘당내 의원들은’ ‘익명을 요구한 의원’이라는 표현을 남발하는 것이 문제다. 이러한 선거에서의 익명 보도는 현역 의원, 예비 정치인, 후보자의 책임성을 떨어뜨리고 당파성을 강조하게 될 우려가 있다.

구분 

경향신문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한국일보

합계 

경마 중계성

1

2

3

13

2

11

32

.7%

1.2%

1.2%

8.9%

1.8%

6.4%

3.2%

가십

이벤트

3

4

6

2

2

2

19

2.0%

2.4%

2.4%

1.4%

1.8%

1.2%

1.9%

일방중계

0

5

10

2

1

2

20

0.0%

3.0%

4.0%

1.4%

.9%

1.2%

2.0%

나열중계

1

0

2

4

0

0

7

.7%

0.0%

.8%

2.7%

0.0%

0.0%

.7%

양대정당중심

40

45

48

38

34

41

246

26.8%

26.6%

19.1%

26.0%

30.9%

23.7%

24.6%

정치혐오

26

21

52

24

10

28

161

17.4%

12.4%

20.7%

16.4%

9.1%

16.2%

16.1%

전투경기표현

18

15

17

9

13

25

97

12.1%

8.9%

6.8%

6.2%

11.8%

14.5%

9.7%

지역연고주의

18

17

13

12

18

30

108

12.1%

10.1%

5.2%

8.2%

16.4%

17.3%

10.8%

익명

취재원

63

85

135

61

51

73

468

42.3%

50.3%

53.8%

41.8%

46.4%

42.2%

46.9%

따옴표 큰제목

36

51

73

47

19

35

261

24.2%

30.2%

29.1%

32.2%

17.3%

20.2%

26.2%

오보

1

0

1

0

0

0

2

.7%

0.0%

.4%

0.0%

0.0%

0.0%

.2%

합계  

149

169

251

146

110

173

998

보도수 대비비중

50.2%

56.5%

62.6%

55.9%

37.7%

53.6%

53.3%

△ <표9> 매체별 4・15총선 관련 유해보도(2/17~3/21) ©민주언론시민연합

※각 항목별로 중복 집계함

양대 정당 중심 보도는 더불어민주당과 미래통합당 위주로 작성한 기사수를 집계했다. 두 거대 정당만 언급한 보도는 다당제 발전을 기대하기 어렵게 만들고 선거를 오직 기득권 경쟁으로 몰아가는 경향이 있다.

신문별 유해보도 비교를 살펴보면, 조선일보가 251건으로 가장 많고, 한국일보가 173건, 동아일보가 169건, 경향신문 149건, 중앙일보 146건이고, 한겨레가 110건으로 가장 적다 보도비중으로 보면, 선거 보도수 대비 비중으로 보면 조선일보가 62.6%로 가장 높고, 동아일보 56.5%, 중앙일보 55.9% 순이다(<표9> 참조).

그림8.jpg

△ <그림8> 4・15총선 관련 신문의 유익/유해보도 비중(2/17~3/21) ©민주언론시민연합

 

* 모니터 기간과 대상 : 2020/2/17~3/21 경향신문,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한국일보(*지면보도에 한함)

* 2020총선미디어감시연대가 시민 여러분의 후원을 기다립니다. 올바른 선거 보도 문화를 위한 길에 함께 하세요. 링크를 통해 기부하실 수 있습니다. https://muz.so/aatw

 

* 부적절한 선거 보도나 방송을 제보해주세요. 2020총선미디어연대가 확인하여 대응하도록 하겠습니다. 링크를 통해 제보를 하실 수 있습니다. https://muz.so/aatx

<끝>

양적분석 총괄 김수정 정책위원(02-392-0181)

 

vote_20200408_072.hw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