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포커스(~2023)_
미디어 공공성 재논의가 필요하다.
김서중 (민주언론시민연합 정책위원장)
등록 2019.08.12 15:51
조회 435

스크린샷 2019-08-12 오후 1.43.49.png

 

2,30대 이하 세대에게 유튜브는 삶의 공간이다. 40대 이상의 유튜브 이용도 급증하고 있다. 유튜브만이 아니다. OTT(Over The Top)인 넷플릭스의 한국 진출도 무서운 속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디즈니, 구글, 애플 등 세계적인 미디어 그룹들의 OTT 진출 소식도 들린다. 그 와중에 신문은 물론 전통적인 방송 산업도 사양 산업이 되고 말았다. 신뢰성 하락과 수용자 이탈 현상 속에서 기존 미디어들의 영향력은 급속히 하락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런 상황을 맞이하여 시민사회 진영에서는 미디어 공공성을 중심으로 미디어개혁이 필요함을 주장하고, 정부나 국회가 미디어개혁위원회를 설치할 것을 요구하고 이를 추진할 미디어개혁시민네트워크를 출범시켰다.

 

소수의 미디어가 내용 생산을 독과점하고 수용자는 일방적, 수동적으로 받아 소비만 하던 과거와 달리 이용자 개개인의 개별 선택의 폭이 무한정 넓어지고 더 나아가 소비자가 생산자가 되는 새로운 미디어 이용환경에서, 미디어 ‘공공성’이니 개혁과 같은 주장들이 구시대적이라는 느낌을 지울 수는 없을지도 모른다. 시민단체들은 왜 이런 구태의연해 보이는 화두를 꺼냈을까? 물론 신문과 방송이 과거에 누렸던 영화를 되찾아주자는 의도는 아닐 것이다.

 

소통의 본질은 변하지 않았다.

 

미디어 이용 환경은 급속도로 변하지만 사회적 소통의 본질은 변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민주주의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정보, 올바른 관점 그리고 의견의 교환이라는 사회적 소통이 여전히 중요하기 때문이다. 각 개인이 지닌 주권은 현실에서는 위임될 수밖에 없다. 권력은 집중되고 감시·감독이 없는 한 부패할 수밖에 없다. 형식과 제도를 갖추더라도 민주주의는 올바른 소통 없이 성립할 수 없다. 만약 새로운 미디어 이용 행태가 기존 미디어가 수행하던 민주주의적 소통 기능을 대신할 수 있다면, 그리고 새로운 미디어들이 등장하고 확장되는 과정에서 이런 상황이 자연스럽게 형성된다면 미디어 공공성이니, 개혁이니 하는 화두는 불필요할 것이다. 하지만 현실은 그리 희망적이지 않다.

 

요즘 화두 중 하나는 가짜 뉴스다. 마치 세상에 가짜 뉴스가 처음 나온 것처럼 떠들썩하다. 하지만 가짜 뉴스는 늘 있어 왔다. 과거 유언비어라 불리던 것이 가짜 뉴스와 다를 바 없다. 더군다나 민주주의 소통 기능을 담당해야 할 제도 언론이 의도적이던 비의도적이던 오보(가짜 뉴스)를 생산한 적도 부지기수다. 그런데 지금 가짜 뉴스 현상은 다르다. 가짜 뉴스의 본질이 달라진 것이 아니라 가짜 뉴스의 소통방식이 달라졌다. 그들만의 공간에서 확증 편향을 공유하면서 가짜 뉴스를 소비하기 위해 기다리는 사람들에게 이전과 비할 바 없는 속도로 강력하게 전파된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를 검증할 신뢰할 수 있는 언론으로부터 수용자들이 이탈하고 있는 실정이다. 가짜 뉴스 대책으로서 신뢰할 수 있는 언론 구축과 더불어 신뢰할 수 있는 언론의 ‘소비 증대’가 필요하다. 미디어 공공성의 화두다.

 

지금 우리는 과거 소량의 콘텐츠 생산과 대량 소비 행태였던 신문, 방송 현상과 달리, 무한히 널려 있는 것처럼 보이는 콘텐츠를 보유한 플랫폼에서 개별 선택을 통해 소비하는 다품종 소량 소비의 세계에 와 있는 것처럼 보인다. 과거 신문과 방송의 소비행태와 질적으로 다르다. 그런데 개별 생산이 극대화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는 다양한 플랫폼에서 소비하는 정보들의 1차 생산자는 여전히 아직까지는 언론이다. 1인 방송을 하는 전문가들의 정보와 의식은 어떻게 획득하고 형성한 것일지 그 근원을 따져보면 언론의 영향력은 개별 수용자에게 직접적이지 않을 뿐이지 여전히 막강하다. 미디어 공공성과 관련한 논의가 여전히 필요한 이유다.

 

언론이 주요 정보원이라고 해서 언론으로부터 받은 이런 정보를 실제로 전달하는 다양한 소통 행위자들은 사회적 책임을 지지 않아도 될까? 이들의 소통 행위는 기존 언론 못지않게, 아니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들의 소통 행위는 개별적이지만 그 결과는 사회적이다. 미디어 공공성은 전통적인 언론에게만 해당하는 것은 아니다. 모든 소통행위가 공공적인 것은 아니지만, 언론이 아닌 소통행위도 미디어를 통한 공공적 행위일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새로운 소통 행위도 미디어 공공성의 화두다. 

 

시민 중심의 새로운 논의가 필요하다

 

지금 논의되고 있는 미디어 공공성의 재구축은 시민을 위한, 시민이 중심이 되는 논의여야 한다. 과거 언론 환경에서 미디어 공공성은 언론의 책임이자 특권이었다. 하지만 애초 그런 접근은 민주주의적이 아니었다. 이제 미디어 공공성 논의는 시민의 주권을 향상시키는 방식으로 논의해야 한다. 자본이 주도하는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 속에서 시민 변수는 항상 주변적이고, 시혜적이었다. 이제는 시민 중심의 미디어 공공성 논의가 꼭 필요하다. 물론 미디어 현상에는 다양한 주체들이 상호작용한다. 그들 사이에 민주주의적 소통을 통한 대타협이 필요하다. 시민단체들이 미디어개혁위원회 설치를 요구하는 이유다. 

 

*언론포커스는?
<언론포커스>는 언론계 이슈에 대한 현실진단과 언론 정책의 방향성을 모색해보는 글입니다. 언론 관련 이슈를 통해 시민들과 소통하고 토론할 목적으로 민주언론시민연합이 마련한 기명 칼럼으로, 민언련 공식 견해와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편집자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