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보도_
[일일브리핑]문 대표 향해 국민 피곤케 하지 말고 진작 물러났어야 했다는 조선 (D-84 신문보도 일일브리핑)
등록 2016.01.20 14:56
조회 203

■ 1월 20일(D-84) 신문 총선 보도 개요 
20일 신문 총선보도량은 경향신문 12건, 동아일보 13건, 조선일보 12건, 중앙일보 12건, 한겨레 11건, 한국일보 14건이었다. 이날 주요 이슈는 △문재인 대표 사퇴의사 표명 △한상진 ‘이승만’ 발언 사과 △조경태 의원 탈당 △한국노총의 총선(여당) 심판 동투 △각당 인사 영입 등이었다.

 

■ 문재인 대표, 국민 피콘케 하지 말고 진작 물러났어야 했다는 조선
문재인 대표 사퇴의사 표명과 관련, 조중동은 모두 ‘총선 패배 시 정계은퇴’를 부각했다. 조선은 <사설/야권 연대 제안한 문 대표, 그럴 거면 분당은 왜 방치했나>(31면)에서 문 대표가 기존 분당사태에 대해 "진작 물러났더라면 국민을 피곤케 하는 이런 일이 아예 없었을 것이라는 얘기가 나올 수밖에 없다"고 거세게 비판했다. 정계 은퇴와 관련한 발언에 대해서는 “대선에 대한 생각을 접겠다는 뜻으로 들린다. 당연한 얘기”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동아와 중앙은 더민주의 ‘친노’ 색채를 반복적으로 언급했다. 중앙은 <강찬호의 직격 인터뷰/"최고위원·친노 간섭하면 위원장직 즉각 물러나겠다">(26면, 논설위원)에서 김종인 선대위원장을 인터뷰하면서 “문재인을 대통령으로 만들기 위해 더민주에 들어간게 아닌가”, “왜 친노인 문재인 세력과 손을 잡았는가”, “당 주류인 친노의 저항이 만만치 않을 텐데”라는 식의 질문을 쏟아냈다. 동아는 <"총선 여과반 저지 목표…패배땐 정계은퇴 한다고 봐도 돼">(4면, 민동용·한상준 기자)에서 문재인 대표를 인터뷰하며 "김종인 선대위원장 영입에 대해 '노무현 대통령이 살아계셨다면 절대 동의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비판했는데", "당내 친노 인사들의 불출마 선언이 있어야 대표 사퇴의 진성정이 입증된다는 얘기도 있는데"라며 친노, 노무현 등을 언급한 질문을 끼워 넣었다. 중앙은 <사설/문재인 사퇴, 친노 패권주의 청산 계기 돼야>(30면)에서 “늦었지만 잘 된 일”이라고 평가하면서도 "문 대표는 종종 언행의 불일치와 메시지의 혼선을 일으키곤 했다"고 강조했다. 한국도 사퇴 시기가 너무 늦었다는 지적과 함께 야권 세력과 함께할 길을 찾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경향은 “총선 승리를 위한 승부부”, “기득권 해체 요구에 대한 응수” 등으로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한편 정의당 등에 통합을 제안한 상태라며 새로운 시작임을 강조했다. 다만 이런 “극약처방”이 성공할지는 아직 미지수라고도. 사설에서는 야권 후보가 난립하지 않도록 통합이나 선거연대 가능성을 닫지 말라고 주문했다. 한겨레 역시 이번 사퇴를 야권 혼돈을 정리할 변곡점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 한상진 국민의당 위원장 ‘이승만 국부 발언’ 사과에는 침묵한 조선
한상진 국민의당 위원장이 ‘이승만 국부 발언’을 사과한 것에 대해 조선은 한 위원장의 사과는 보도하지 않고, 문 대표의 한 위원장 비판(“대한민국 정통성을 훼손하는 말씀”)만을 소개했다. 그 조차 “비난”했다는 식이었다. 동아는 한 위원장의 사과는 사진기사로 처리한 뒤, 김종인 위원장의 ‘과거사’ 관련 안철수 의원의 “직격탄”을 소개하며 이를 “양측 간 충돌”로 보도했다. 중앙은 국민의당 인사가 혁신과 거리가 멀다는 내용의 보도 말미에 한 위원장의 사과 행보를 덧붙였다. 경향은 “결국” 사과했다며, 그의 “불필요한 발언”이 국민의당에 누가 됐다고 평가했다. 한겨레는 안철수 의원의 ‘김종인 비판’ 발언이 한 위원장 발언으로 불거진 ‘국민의당 정체성 논란’을 누그러뜨리려는 ‘전략’일 것이라 분석했다. 한국일보는 한 위원장의 발언을 비롯해 국민의당이 ‘우클릭’에 나서고 있음을 지적했다.

 

■ 1월 19일 1면 머리기사, 의회 무시한 대통령을 비판하기는커녕 법안 처리에만 혈안이 된 조선일보
조선일보는 <서명운동으로 촉발된 ‘3角 정치’>(관련기사 3건)에서 경제계의 천만 서명운동이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는 내용이 톱보도였다. 조선은 더민주 문재인 대표와 국민의당의 반응을 묶어 “3각 정치”라 표현했고, 박 대통령의 서명운동이 ‘경제활성화’ 법안의 새 국면을 열었다고 했다. 논란이 되고 있는 법안에 대해 국회를 설득하지 않고 압박만 가하는 청와대의 태도에 대한 문제제기는 없었다.

경향신문과 동아일보는 중국국가통계국의 발표를 인용해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6.9%에 그쳤다는 점에 주목했다. 경향신문은 <무너진 ‘바오치’(保七, 7%대 성장 유지)>(관련기사 5건)에서 중국 경제의 구조와 방향이 딜레마에 빠졌다고 보도했다. 동아일보는 <중국의 ‘六’(6%대 저성장)과 ‘合’(해외기업 합병)…한국경제 더블쇼크>(관련기사 7건)에서 둔화된 경제 성장률과 함께 적극적인 해외기업 합병 움직임이 있다고 보도했으며, 국내 경제에 미칠 영향을 우려했다.


중앙일보는 <“인구 1억명 사수 마지노선은 출산율 1.8”>(관련기사 5건)에서 일본 내각에 신설된 인구정책 담당 장관 가토 가쓰노부의 인터뷰를 실었다. 한겨레신문은 <중진공 채용 청탁 의혹, 최경환 말고 8명 더 있다>(관련기사 5건)에서 중소기업진흥공단의 내부 문건을 분석해 이 같은 의혹을 제기했다. 문건에 등장하는 청탁 인물들은 모두 최종 합격됐다고 보도했다. 한국일보는 <보육대란 시작…학부모 지갑 열어 매운다>(관련기사 4건)>에서 누리과정 예산 문제로 인해 보육 현장의 고충이 커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 좋은 보도
경향신문 <박 대통령 또 ‘거리정치’>(1면, 이용욱 기자, https://me2.do/55Vdaxz7)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18일 경제단체 주도 거리 서명운동에 동참하고 이후 서명운동과 총선 심판론을 보다 직접적으로 연계시키는 듯한 언급을 쏟아낸 것에 대해, 박대통령이 총선을 염두에 둔 정략적인 ‘거리정치’를 핀 것이라 비판했다.


한겨레 <세상 읽기/빚을 내서 교육하란 말인가?>(31면, 전광필 전 이우학교 교장, https://me2.do/FoCD82Dp) 누리과정 예산 논란과 관련 정부의 교육청 압박 양상에 대해 “총선, 대선을 앞두고 보수세력을 결집하기 위해 교육감들을 표적으로 삼아 정치 공세를 하는 것”이라는 의혹을 제기했다. 박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였던 누리과정 예산 논란을 교훈삼아 이번 총선에서는 “부도 수표가 된 공약을 반드시 확인하자”고도 강조했다.


한겨레 <김동춘 칼럼/정치 빅뱅이 일어나야 한다>(30면, 김동춘 성공회대 사회학과 교수, https://me2.do/5SoeT6Vf) “영입된 새 인물에만 주목하는 언론 보도는 눈속임이다. 몇 명의 영입 인사가 정치를 바꿀 수 없다. 선거 이전에 대중의 참여, 정책 논쟁의 전면화를 통해 실질적 정치 빅뱅이 일어나야 한다”며 현 선거보도 양상을 비판하고 거대 정당 체제를 벗어날 방안에 대한 의미 있는 고찰을 제시했다.

 

■ 나쁜 보도
조선일보 <사설/야권 연대 제안한 문 대표, 그럴 거면 분당은 왜 방치했나>(31면 https://me2.do/xYlxuuTv) 문재인 대표의 대표직 사퇴 발언과 김종인 선대위원장 영입 등에 대해 “제 얼굴의 흉은 들여다보지 못하고 있다”, “문 대표가 진작 물러났더라면 국민을 피곤케 하는 이런 일이 아예 없었을 것이라는 얘기가 나올 수밖에 없다”, “대선에 대한 생각을 접겠다는 뜻으로 들린다. 당연한 얘기다“라며 비아냥댔다.


중앙일보 <126일 만에 파국…청년 일자리 15만개 날아갈 판>(3면, 김기찬 기자, https://me2.do/5lUFzEwr) 노사정 대타협을 파기하고 총선 동투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발표한 한국노총에 대해 “기득권 중의 기득권으로 인식되는 정치권과 노동계의 결합에 국민이 어떻게 반응할지는 미지수”, “선거를 의식한 정략적 판단과 이기주의가 결합하면서 비정규직을 피해자로 전락시켰다”고 비판했다. 그러나 노사정 대타협 파기의 근본 원인에 대한 설명이나 분석은 전무했다. 


중앙일보 <문재인 사퇴, 친노 패권주의 청산 계기 돼야>(30면, https://me2.do/5Vndv3LZ) “친노 패권세력은 정치를 끝없이 선과 악, 아군과 적군으로 나누는 이분법적 사고, 진영논리를 바탕으로 국가적 정의보다 분파적 이익을 추구하는 집단으로 국민에게 투영”한다며 실체가 불분명한 친노 패권주의를 기정사실화하며 비판했다. “그동안 운동권·시민단체 출신 대신 신선한 실용적 전문가들을 영입해왔다. 이런 것이 진정한 변화로 이어지려면 공천과 선거 운용에서 친노 세력은 뒤로 물러나야 한다”고 운동권 시민단체 출신과 실용적 전문가들을 대치시키고 있다.

 

* 모니터 대상 : 경향신문,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한국일보 종이신문에 게재된 보도에 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