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 모니터_
4대강 ‘녹조확산’에 대한 방송3사 저녁종합뉴스 모니터 보고서(2012.8.13)- 수질관리부터 사후대책까지 총체적 부실…입 다문 방송3사
○ 모니터 기간: 7월 27일~8월 9일(북한강에 조류주의보 발동한 7월 27일부터 한강에 조류주의보 발동한 8월 9일까지)
정부는 녹조확산을 두고 ‘폭염’을 주요원인으로 지적하고 있다. 이상기온현상으로 ‘폭염’이 지속되어 강물 수온이 올라가 생긴 현상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환경단체는 4대강사업으로 인한 ‘유속저하’에 주목하며 녹조확산의 원인으로 4대강사업을 지목하고 있다. 4대강사업의 일환인 보 증설로 인해 강 유속이 느려져 정체시간이 길어진데다, 강 유역의 무분별한 개발이 강의 자정능력을 저해하는 물리적 환경이 조성됐기 때문이라는 주장이다. 환경단체가 6일 발표한 자체조사 결과에 따르면, 4대강사업이 집중된 낙동강 유역의 경우 8개의 보 건설로 4대강사업 이전에 비해 유속이 10배나 느려졌고, 낙동강 중류에 남조류가 발견된 것도 4대강사업 이전엔 없던 현상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녹조발생의 요인 중 ‘수온증가’를 제외하곤 ‘유속저하’, ‘오염물질 유입’ 등 다른 원인들에 대해선 제대로 규명하지 않고 있다. 더욱이 녹조에서 독성물질을 분비하는 남조류까지 검출돼 국민 건강권마저 위협받고 있음에도 정부는 우려를 해소할 만한 명확한 안전성 검증, 수질개선 등 관련 대책을 내놓지 않아 국민 불안을 더욱 가중시켰다. 환경부는 “심각한 상황은 아니”라며 ‘취수․식수의 안전성’만을 강조할 뿐 “냉장 보관했다가 끓어먹으면 안전하다”, “비가 내리면 해결될 것”등 피해가 없을 것이라는 주장만 되풀이했다.
북한강에 ‘조류주의보’가 발동한 7월 27일~8월 9일까지 2주간 방송3사의 보도를 모니터한 결과 방송3사는 각각 8건의 관련보도를 내놨다. 보도는 한강에 녹조가 확산된 6일 이후 보도가 집중됐다.
또한 ‘녹조확산’을 방관한 정부의 안일한 태도나 미흡한 수질관리 및 사후처리 등에 대한 문제제기에 대한 보도도 찾기 힘들었다. 방송3사는 낙동강도 ‘위험수준’의 녹조확산을 겪고 있고, 금강‧영산강도 녹조확산이 발생되고 있지만 한강 및 수도권의 녹조확산 등을 집중 보도했다.
방송3사는 녹조확산의 원인을 ‘폭염’으로 꼽으며 정부관계자의 발언을 주요하게 실었다.
그러나 8월 1일부터 보도는 ‘폭염’을 녹조확산의 주요 원인으로 부각시켰다. 1일 <녹조 확산…식수원 위협>는 “최악의 폭염 사태는 먹는 물마저 위협하고 있다”며 상황을 전달했고, 2일 <하늘서 본 녹조…‘심각’>은 헬기로 팔당호, 소양호 등을 비추며 “폭염으로 수도권의 주요 식수원에서 녹조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고 전했다.
… MBC “녹조확산 원인, 중요한 게 아니다”?
방송3사는 녹조확산의 원인으로 ‘폭염’이외의 원인을 지적하거나 규명하는 데 매우 소홀했다. 환경단체가 연일 “4대강사업이 강의 자정작용을 방해한 탓”이라며 관련 자료를 제시하고 있지만, 방송3사는 이를 제대로 전달하거나 검증하지도 않았다. 특히, 8월 6일 환경단체는 자체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독성 남조류 마이크로시스티스가 낙동강 중류를 넘어 50만명의 취수원인 구미정수장 인근까지 번졌으며 4대강사업 이전에는 발생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러나 방송3사는 ‘구미정수장 인근까지 남조류가 번졌다’는 환경단체의 자제조사결과는 보도하지 않은 채 ‘보가 유속을 느리게 했다’고 주장한 부분만 간단히 언급했다. 이마저도 정부의 반박을 곧바로 전달해 결과적으로 환경단체의 주장을 외면하는 보도행태를 보였다.
MBC는 4일, SBS는 8일 각각 ‘낙동강 녹조확산’을 전하며 4대강사업을 지적하는 환경단체의 주장을 짧게 전달한 데 그쳤다. 이마저도 곧바로 정부의 반박입장을 덧붙였다. 보도는 “정부가 고온 현상 탓이 크고 낙동강의 경우 고도정수처리 시설이 완비돼 있어 큰 문제는 없다고 반박했다”, “북한강 댐들이 30년 전에 건설됐는데 왜 이제야 녹조가 나타나느냐고 반박했다”고 전했다. 심지어 “녹조 원인을 놓고선 의견이 분분하지만, 중요한 건 우리에게 얼마나 피해를 주느냐”라며 원인규명의 중요성을 외면하는 모습을 보이기까지 했다.
∎ 정부, “수돗물 안전하다”?…MBC, 정부입장 적극 두둔
- 수질관리의 ‘총체적 부실’, 비판 안해
뿐만 아니라 정부가 수질관리 및 사후대책 미흡 등의 문제를 드러냈음에도 이를 지적하지 않았다. 방송3사는 독성물질 검출을 전하면서도, 취수식수의 안전성을 강조하는 정부의 주장을 검증 없이 전달했다. 특히 MBC는 취수식수의 ‘안전성’을 강조하는 정부주장을 검증 없이 되풀이한 것은 물론 조류주의보로 인한 ‘위험성’을 일축했다. 심지어 “수상스키 타고 하는 데 평상시하고 큰 차이는 못 느끼고 있다”는 한강 수상레저 업체의 인터뷰까지 실으며 안정성을 강조했다. KBS도 정수처리를 강화해 수돗물은 안전하다는 정부의 입장을 적극 전달했다. 그나마 SBS가 서울시에 고도정수처리 시설이 서울 전역에 단 1곳이며 정수관리시스템의 문제를 지적했다.
MBC는 4일 <[집중취재]전국에 녹조‥먹는 물 비상>는 남조류의 위험성을 전한 뒤, “정부는 아직 팔당호에서 독성물질이 검출된 적은 없다고 해명했다”고 전했다. 그러다 6일 독성물질이 검출되자 <[현장M출동] 서울까지 녹조 취수원 비상>을 통해 “조류주의보가 발령된다 해도, 당장 물고기가 폐사하거나, 인체에 해가 될 정도로 독성이 강한 건 아니”라는 해석을 달아 ‘위험성’을 일축했다. 그리고는 수상레저업체 대표를 인터뷰해 “수상스키 타고 하는 데 평상시하고 큰 차이는 못 느끼고 있다”는 발언을 싣기도 했다.
∎ 전국적인 녹조확산, 방송3사는 한강만 집중 보도
한강을 제외하고는 조류주의보가 발동되지 않고 있어 자칫 한강이 녹조확산의 위험이 가장 높은 것처럼 보이지만, 이는 낙동강‧영산강‧금강은 ‘조류경보제’보다 기준이 완화된 ‘수질예보제’를 적용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드러났다.
‘조류경보제’는 90년대 말부터 시행되어오던 제도이고, ‘수질예보제’는 4대강사업 이후 보의 수질을 관리하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다. ‘조류경보제’는 클로로필-a 농도와 남조류 세포수에 따라 ‘주의->경보->대발생’의 3단계로 나뉘고, ‘수질예보제’는 ‘관심->주의->경계->심각’ 4단계로 나뉜다. 그런데 조류경보제의 1단계인 ‘주의’의 기준은 조류지표물질 농도 15mg/㎥인데, 수질예보제 1단계 ‘관심’은 조류지표물질 농도 70mg/㎥이다. 따라서 수질예보제가 조류경보제에 비해 훨씬 완화된 기준임을 알 수 있다.
6일 환경단체는 자체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한강보다 낙동강이 더 심각한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환경단체의 조사에 따르면 구미정수장에 발생한 남조류를 분석한 결과 ‘조류경보제’의 ‘주의’단계를 넘어 ‘경보’단계 수준이라고 한다. 그러나 방송3사는 이를 제대로 취재하거나 검증하지 않고 있다.
방송3사는 ‘낙동강’에 대해 집중보도한 건 KBS는 7일 <[집중진단]한강‧낙동강 녹조 확산…취수 비상>, SBS는 8일 <‘녹조 범벅’낙동강..식수원 관리 비상> 각 1건씩에 불과했다. MBC는 4일 <[집중취재]전국에 녹조‥먹는 물 비상>에서 보도 후반에 ‘낙동강 녹조확산’을 짧게 전했다.
2012년 8월 13일
(사)민주언론시민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