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 모니터_
7월 26일 방송3사 저녁종합뉴스 일일브리핑(2011.7.27)물가 폭등에도 KBS는 ‘서민 부담 완화’ 타령
- 전기요금 4.9% 인상, KBS는 ‘서민 부담 완화’ 부각
서민생활에 밀접한 상품으로 선정된 10개 품목은 지방공공요금(시내버스, 지하철), 외식비(삼겹살, 돼지갈비, 김치찌개, 된장찌개, 설렁탕, 자장면), 채소류(배추, 무) 등 10가지다. 이명박 정부 출범초기 ‘물가를 잡겠다’며 내놓았던 ‘MB물가지수’(52개 생활필수 품목의 물가지수를 추산)와 큰 차이가 없어 ‘신MB물가지수’로 불린다. 정부가 윽박질러서 물가를 잡을 수 없다는 것이 실패한 ‘MB물가지수’에서 드러났지만 정부는 또다시 비슷한 성격의 ‘신MB물가지수’를 내놓았다. 공정위는 담합 조사를 받는 기업들이 스스로 가격을 내리면 과징을 경감해줬는데 가격인하를 위해 앞으로는 이 경감 폭을 더 확대하는 방향으로 고시를 개정하기로 했다. 하지만 정부는 물가폭등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받고 있는 고환율·저금리 정책에 대해서는 아무런 대책을 내놓지 않았다. 전문가들은 수출기업들을 위한 고환율 정책은 수입 원자재값 상승과 맞물려 물가 인상의 폭을 키웠고, 한국은행이 저금리 기조를 고집해 대출을 부추기고 유동성 증가를 가속화했다는 분석이다.
KBS와 MBC는 정부 물가관계 장관회의 내용을 보도하지 않고 전기요금 인상만 다뤘는데, 보도에서 차이를 보였다. KBS는 ‘서민 요금’은 적게 오르고 대기업 요금은 많이 올랐다는 점을 강조하는데 그쳤다. MBC도 ‘서민 요금’이 적게 오른다고 보도하긴 했지만, 이어진 보도에서 대기업 전기요금이 아직도 싸다며 “산업용 전기 요금 적자를 국민 세금으로 메우는 형태”라는 시민단체의 비판을 전했다.
SBS는 정부 물가관계 장관회의 내용을 전하며 ‘실효성’에 의문을 표했다. 하지만 고환율·저금리 정책 등 정부 정책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따지지는 않았다. 전기요금 인상은 단신으로 간단하게 전했다.
<한 달에 8백원 오른다>(MBC, 한동수)
<집중취재/산업용 아직도 싸다>(MBC, 박주린)
<삼겹살·배추 특별 관리>(SBS, 홍순준)
<가구당 월평균 8백원 인상>(SBS, 단신)
보도는 “평균 인상폭은 4.9%지만 주택용은 물가 상승률 전망치의 절반인 2%만 올리기로 했다”, “집중호우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농가 사정을 감안해 농사용 요금은 동결되고, 전통시장 영세상인용 저압요금도 동결”되고 기초생활수급자 등 취약계층은 “월 8천원 정액할인으로 바뀐다”고 전했다. ‘서민요금’은 적게 오른다는 점이 강조됐다. 이어 “반면 대형건물과 대기업용 고압요금은 6.3% 오른다”고 전한 뒤, “생계형 취약 부문은 소폭, 대기업과 대형건물 부문은 중폭으로 차등 인상해서 서민층의 부담을 완화한 것이 특징”이라는 최중경 지식경제부 장관 인터뷰를 실었다. 그리고 소비자물가에 미칠 영향 등을 덧붙였다.
<집중취재-산업용 아직도 싸다>(박주린 기자)에서는 정부가 대기업들의 전기요금을 많이 올리긴 했지만 아직도 싸다고 지적했다.
보도는 원가에 못미치는 전기요금 때문에 “지난 3년간 한국전력의 누적 적자는 무려 6조 1천억원”에 이른다며 “이번 인상분을 감안해도 산업용 전기요금은 원가의 92%에 불과”하다고 전했다. 이어 전체 전기생산량의 절반 이상을 기업들이 차지하고 있다며 “전체 전력 소비의 절반 이상이 산업용이기 때문에 결국 산업용 전기 요금의 (적자를) 국민의 세금으로 메우는 형태”(이헌석 에너지정의행동 대표)라고 비판하는 인터뷰를 실었다. 또 한국 기업들의 전기 요금은 “OECD 평균의 절반 수준”으로 “연간 2조 1천억원의 혜택을 보는 셈”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전기요금 인상률이 정부 부처간 이견으로 당초안보다 낮아졌다며 “산업용 전기 요금 현실화는 여전히 숙제로 남게 됐다”고 전했다.
단신 <가구당 월평균 800원 인상>에서는 전기요금 인상 소식을 간단하게 전했다.
제주 강정마을 해군기지 건설은 시작부터가 잘못됐다. 주민들은 해군기지 건설이 비민주적으로 이뤄졌다고 주장한다. 강정마을은 지난 2007년 4월 강정마을회가 87명의 주민들만 모인 자리에서 총회를 열어 해군기지 유치를 결정했고 제주도가 이를 받아 해군기지 건설 후보지로 강정마을을 최종 결정했다. 뒤늦게 사실을 안 마을주민들은 그해 8월 총회를 열어 참가자 725명 중 680명이 해군기지 유치를 반대하기로 결의했고 지금까지 4년째 반대운동을 벌이고 있다. 강정마을에 실제 살고 있는 주민들이 1000여명이어서 사실상 주민 대다수가 해군기지 건설에 반대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도 해군 등은 절차상 문제가 없다며 해군기지 건설을 밀어붙이고 있다.
방송3사가 제주 해군기지 건설에 주민들이 왜 반대하는지, 해군기지 건설이 안고 있는 문제는 무엇인지 등을 다룰 것이라고는 기대조차 하지 않았다. 하지만 계엄을 방불케 하는 경찰력 투입으로 주민들이 불안에 떨고 있는데도 이런 기본적인 상황 전달도 하지 않는 것은 심각한 직무유기다. 이러다가 공권력이 투입되고 농성주민과 공권력의 충돌 등 최악의 상황이 빚어진다면 방송3사 역시 언론의 책임을 다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비판을 면치 못할 것이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