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 모니터_
10월 23-25일 방송 3사 저녁종합뉴스 일일 브리핑(2009.10.26)■ 오늘의 브리핑
1. 박근혜 ‘세종시 수정 반대’…KBS는 ‘계파 결속 차원’에 초점
2. KBS, 국감 마지막까지 ‘쟁점’ 외면…‘파행’은 부각
KBS, 마지막까지 ‘무능·파행 국감’ 부각에만 급급
MBC <“원안대로”‥수정론 급제동>(김수진 기자/10.23)
<승부수의 파장은?>(박성호 기자/10.23)
SBS <“원안대로 추진해야”>(김윤수 기자/10.23)
<수정안 제동‥당혹>(남승모 기자/10.23)
23일 방송3사는 박 전 대표의 발언을 보도했는데 차이를 보였다. MBC와 SBS는 뉴스 첫 꼭지로 박 전 대표의 발언을 전하며, 발언 배경과 의미, 향후 정치권에 미칠 파장 등을 자세하게 분석했다. 그러나 KBS는 7번째 꼭지로 보도하면서 박 전 대표의 발언 배경을 ‘계파 결속 차원’으로만 다뤘다.
그리고는 한나라당은 “선거를 앞둔 탓인지 당론과 같다며 짧은 입장을 내놨다”고 전한 뒤, “여권 내에서는 박 전 대표의 발언이 예상보다 훨씬 강도가 세다며 파장을 우려하고 있다”고 언급하는데 그쳤다.
<승부수의 파장은?>(박성호 기자)에서는 박 전 대표가 “세종시법에 합의해줄 당시 당 대표였고, ‘신뢰’를 표어로 삼아온 정치인으로서 ‘자기 부정’이나 마찬가지인 ‘세종시 수정’은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것”, “세종시가 수도권 과밀해소라는 점에선 오히려 효율적이라는 소신도 작용한 것”이라고 발언의 배경을 분석했다. 이어 김무성 의원의 세종시 수정 주장에 대한 ‘계파 결속’ 차원 등의 배경도 언급했다.
보도는 “야당의 결사 반대에다 60석 안팎의 여당 내 친박계를 감안하면, 세종시 수정에 기운 여당 주류는 의회 내 소수파가 될 상황”이라고 달라진 정치권 내 구도 변화 등을 전했다.
<수정안 제동‥당혹>(남승모 기자)에서는 정치권에 미칠 파장을 다뤘는데, “야권 전체가 반대하는 상황을 감안할 때 60명에 이르는 친박계 의원 가운데 23명만 박 전 대표를 따라 원안 고수에 가세해도 세종시 계획 수정을 위한 법 개정은 불가능하다”고 전했다.
<“아프간 지원, 모든 방안 대비”>(단신종합/10.23)
MBC <‘관치금융’ 추궁>(박영회 기자/10.23)
<외고 논란 가열>(백승규 기자/10.23)
<파행 또 파행>(이언주 기자/10.23)
<“아프간 경제지원·파병 종합 검토”>(단신/10.23)
SBS <‘외고 폐지’ 논란>(한승희 기자/10.23)
<구태 여전>(허윤석 기자/10.24)
그러나 방송3사는 이번 국정감사의 성과와 한계를 면밀하게 평가하지 않았다. 국감 파행 사례를 중심으로 ‘국감 무용론’을 거론하는데 그쳤다. 특히, 4대강, 정운찬 총리 문제 등 주요 쟁점을 외면해 온 KBS는 국감 마지막 날에도 여야공방과 막말 등을 부각하며 ‘무능국감’, ‘파행국감’을 부각하는데 앞장섰다. 그러면서 이날 제기됐던 관치금융 등 주요 국감 쟁점은 전혀 보도하지 않았다.
24일 <구태 여전>(허윤석 기자)에서는 이번 국감을 평가했다. 보도는 “증인채택 공방”, “‘막말-반말’ 국감”, “호통치기 국감” 등에서 국감 파행 장면을 나열하며 “야당은 4대강과 세종시 문제의 정치쟁점화에 주력했고, 여당은 정부 편들기에 급급하면서 정작 중요한 정책 국감은 뒷전으로 밀렸다”고 여야를 싸잡아 비난했다. 그리고는 “20일 만에 4백78개 기관을 감사하는 벼락치기 일정에다, 피감 기관의 불성실한 자료 제출은 내실 있는 국감을 더욱 어렵게 했다”며 “본연의 기능을 담보하기 위해선 ‘상시 국감’ 체제로 전환하거나 의원들의 활동을 점수화해 공개하는 방안 등의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외고 논란 가열>(백승규 기자)에서는 ‘외고 폐지’에 대한 논란이 벌어진 교과부 국감 내용을 전했다.
<파행 또 파행>(이언주 기자)에서는 마지막 날에도 파행을 거듭한 환경노동위 국감을 전하며 교과위와 문방위 등 파행이 잦았던 다른 상임위도 함께 문제로 지적했다. 이어 “한나라당은 국감 성과를 자평하면서 ‘야당보다 더 매섭게 정부를 추궁했다’, 민주당은 ‘4대강 사업 등 쟁점을 정리할 계기를 만들었다’고 각각 주장했다”며 “하지만 국회 내에서조차 자조 섞인 국감 무용론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