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 모니터_
9월 14일 방송 3사 저녁종합뉴스 일일 브리핑(2009.9.15)
등록 2013.09.24 17:19
조회 386
 
 ■ 9월 14일 방송3사 저녁종합뉴스 브리핑
1. KBS, ‘위장전입 의혹’은 소홀, ‘우리법연구회 색깔공세’는 부각
2. 신종플루...KBS, “지나친 공포감이 문제” MB발언 실어
3. MBC, 성과 중심의 ‘MB식 교육정책’ 문제 지적
 
 
9월 14일 방송 3사 저녁종합뉴스 일일 브리핑
KBS의 이상한 ‘대법관 청문회’ 보도
 
 
1. KBS, ‘위장전입 의혹’은 소홀, ‘우리법연구회 색깔공세’는 부각
 
 
 
 
 
 
14일 국회는 민일영 대법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시작했다. 이날 청문회에서는 민 후보자 부부가 수차례에 걸쳐 주민등록법을 위반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민 후보자 부부가 6개월간 전매가 제한되는 부인(자유선진당 박선영 의원) 소유의 서초구 사원아파트를 팔기위해 서초구와 대구 등으로 위장전입을 했다는 것이다. 청문회 장에서 민 후보자는 이런 의혹 제기에 대해 명쾌한 답변을 내놓지 못한 채, 위장전입 사실을 시인하며 사과했다. 위장전입 문제에 대해서는 여당인 한나라당 내부에서조차 비판이 제기됐는데, 송광호 최고의원은 “스스로 용퇴하는 것이 예의”라고 말했다.
반면 일부 한나라당 의원은 ‘우리법연구회의 이념적 편향성’ 운운하면서 민 후보자가 대법관이 되면 우리법연구회를 조사해야 한다고 주문하는 등 사실상의 ‘물타기 행태’를 벌이기도 했다.
 
KBS는 민 후보자의 위장전입 의혹보다, 뜬금없이 일부 법조인들을 향한 색깔공세를 편 한나라당 의원의 주장을 더 부각했다.
KBS는
<위장 전입 인정>(김덕원 기자)에서 시작부터 “우리법연구회가 정치적, 사법적 중립성을 훼손하고 있다”며 민 후보자에게 대법관이 되면 ‘우리법 연구회를 조사하라’고 한 한나라당 조해진 의원 등의 주장을 전했다. 우리법연구회에 대한 근거 없는 색깔공세를 대법관 후보자 청문회에서 들고 나온 것 자체가 문제였다. 그럼에도 KBS는 조해진 의원의 질의는 물론 “각별히 유의하겠다”는 민 후보자의 답변까지 전했다.
반면 민 후보자 인사청문회의 최대 쟁점이었던 위장전입 의혹은 다른 방송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홀하게 다뤘다. 보도는 “민주당은 민일영 대법관 후보자의 부동산 투기 의혹을 제기했다”며 위장전입 문제를 ‘민주당의 문제제기’로만 전했다. 또 다른 방송사와 달리 ‘위장전입’을 사과하는 민 후보자의 모습은 비추지 않고, 투기의혹에 대해 “그럴 생각 전혀 없었다. 저희가 형편 피면 그리로 갈 생각 이었다”는 민 후보자의 해명만 전했다.
 
SBS는 <위장 전입 사과>(심영구 기자)에서 여야의원들이 민 후보자 부인의 위장전입 의혹을 집중 추궁했고, 후보자 본인의 위장전입 의혹도 제기됐다며 민 후보자의 사과 장면을 실었다. 이어 사원아파트 전매제한 규정을 피하기 위해 대구로 위장전입 한 것 아니냐는 민주당 전현희 의원의 질문과 이를 부인하는 민 후보자의 답변을 나열했다.
 
MBC는 <위장전입 사과>(이정신 기자)에서 민 후보자의 위장전입 의혹을 비교적 상세하게 보도했다. 보도는 민 후보자의 아내 박선영 의원이 서울 여의도 집에서 도화동에 있는 시댁으로, 사원아파트 분양을 위해 도곡동으로 위장전입을 했고, 위장전입이 들통나 주민등록이 취소됐지만 다시 재등록까지 하며 또다시 도곡동으로 위장전입을 한 뒤, 다시 대구로 주소지만 옮기는 등 민 후보자 부부가 사원아파트를 분양받고 파는 과정에서 수차례 위장전입을 했다고 자세하게 전했다.
<‘이중잣대’ 논란>(박성호 기자)에서는 위장전입 문제에 대한 여야의 달라진 잣대를 꼬집었다. 그러나 이 보도 역시 문제가 있었다.
보도는 민 후보자와 법무장관 및
노동부장관 후보자가 위장전입을 했다는 공통점이 있다며 “현 정부 들어 총리, 장관, 검찰총장까지 이 문제에 휘말렸지만 자리가 날아가진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전 정권에서는 여당이었던 민주당은 관대했고, 한나라당은 엄격했다고 전한 뒤, “주민등록법위반으로 재작년 일반 시민은 무려 7백여 명이 재판에 넘겨졌지만, 정치권에선 때로는 결격 사유로 때론 경범죄 다루듯 일관성 없는 잣대를 들이댔다”며 정치권 전체를 비판했다. 그러나 보도는 과거 참여정부 시절에는 위장전입 등을 비롯해 도덕적 문제가 제기되거나 의혹이 불거진 고위공직 후보자 다수가 낙마한 반면, 이명박 정부 들어서는 ‘대수롭지 않은 일’로 치부되었다는 사실은 제대로 지적하지 않았다.
그러면서 “여야 간 이중 잣대 시비가 사라지려면 엄격하되 합리적 기준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고 덧붙이는 데 그쳤다.
이 때문에 이 보도는 ‘여야 모두 이중 잣대’라는 지적에 그쳤을 뿐 ‘이명박 정부 아래 고위공직자의 도덕성 기준이 일관성을 잃고 느슨해졌다’는 점은 꼬집지 못했다.
 
 
2. 신종플루...KBS, “지나친 공포감 문제” MB 발언 실어
- MBC ‘병원 내 감염’·SBS ‘계절독감 백신 품귀’ 등 문제 제기
 
 
신종플루로 인한 사망자가 최근 이틀 새 세 명이나 늘어났다. 날씨가 추워지고 있고, 추석까지 앞두고 있어 신종플루가 확산되지 않을까하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방송3사는 신종플루 관련 보도를 3꼭지~5꼭지로 주요하게 다뤘다. 그러나 보도 내용에서는 방송사별로 차이를 보였다. KBS는 신종플루에 대한 “지나친 공포감이 문제”라는 대통령 발언을 실었다. MBC와 SBS는 각각 ‘병원 내 감염’과 ‘계절독감 백신 품귀현상’을 주요하게 다루며 신종플루로 새롭게 대두된 문제점을 제기해 차이를 보였다.
 
KBS는 이틀 새 숨진 세 명의 신종플루 사망자가 ‘고위험군 환자’였다며 고위험군 환자들의 신종플루 불안감을 전하고, 신종플루 대책에서 일반감염자와 고위험군을 차별적으로 대처해야 한다는 내용 등을 주요하게 다뤘다.
또 KBS는 단신 <“지나친 공포감 문제”>(단신)에서 “신종플루에 경계심을 가지지 않는 것은 문제지만 지나친 공포감이 조장되는 것도 심각한 문제”, “언론이 전체 감염자 수와 희생자들에게 관심을 집중하고 있는데 대부분의 감염자가 치료를 받고 낫고 있다는 사실도 국민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협조를 요청하라”는 이명박 대통령의 관련 발언을 전했다.
 
MBC는 <9살 어린이 입원 중 감염>(박재형 기자)에서 병원 내 신종플루 감염 문제를 다뤘다. 60대 입원환자가 거점병원에서 신종플루에 감염된 데 이어, 피부이식을 위해 이 병원에 입원했던 9살 어린이 환자와 같은 병동에 근무하던 의료진 한 명도 신종플루에 감염됐다며 병원 내 감염 대책 필요성을 제기했다.
 
SBS는 신종플루 공포로 계절독감 백신마저 품귀현상을 빚고 있다며 정부 대책의 필요성을 전했다. <고위험군 우선 접종 검토>(조동찬 기자)에서는 올해 우리나라가 확보한 계절독감 백신은 모두 1,100만 명분인데, 신종플루 여파로 수요가 예년에 비해 30% 늘어 ‘400만 명분’ 정도가 부족하다고 상황을 전했다. 이어 “신종플루 백신을 만드느라 국외 제약사들이 생산량을 30%줄인데다 가격 상승으로 국내 제약사들이 수입을 줄였기 때문”이라고 독감백신 부족 이유를 전했다. 보도는 “계절독감으로 미국에서는 해마다 2만 명이 목숨을 잃고, 우리나라도 수천 명이 희생되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신종플루 때문에 계절독감의 위험성이 간과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점검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3. MBC, 성과 중심의 ‘MB식 교육정책’ 문제 지적
 
 
MBC는 14일 <“성적 나쁘면 떠나라”>(심충만 기자)에서 학교 현장에서 빚어지는 비교육적·비인간적 행태를 지적했다. 보도는 한 초등학교 교장이 성적이 나쁜 40여명의 아이들을 불러 꾸짖으며 그 중 학군이 다른 학생들에게 전학을 권유한 사례를 전했다. 또 공부에 도움이 되지 않는 운동부를 없애겠다고 하고, 연합모의고사 날에는 운동부의 연습경기를 잡아 시험을 못보게 한 중학교 사례를 전하며 “각 학교에서 불거지는 이 같은 갈등은 개별적인 오해라기보다, 성과 중심의 현 교육제도에서 빚어진 예고된 현상”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KBS도 지난 12일 <점수 올리기 경쟁>(송수진 기자)에서 일제고사를 앞두고 특기적성 교육인 방과후 학교가 학부모 동의도 없이 시험 대비용 보충수업으로 변질된 상황을 전하며 “맞춤형 교육을 위해 도입했다는 학업성취도 평가. 그러나 학교 현장은 점수 경쟁으로 치닫고 있다”고 지적했다. <끝>
 
 
 
2009년 9월 15일
(사)민주언론시민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