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 모니터_
7월 7일 방송 3사 저녁종합뉴스 일일 브리핑(2009.7.8) ■ 오늘의 브리핑
1. 방송3사, ‘비정규직법 시행’의 긍정적 효과 외면
2. KBS·SBS, ‘KISDI 보고서 통계수치 조작’ 보도 안 해
3. 쌍용차 사태...KBS ‘장기화로 고통받는 상황 전달’, MBC ‘노사대타협·정부중재 촉구’ 차이
KBS·SBS, ‘KISDI 보고서 조작’ 보도 안 해
MBC 6일 <답답한 줄다리기>(이정신 기자)
7일 <최후통첩..반발>(장준성 기자)
SBS 6일 <미가입자도 실업급여>(김형주 기자)
7일 <“직권상정” “실력저지”>(남승모 기자)
이런 가운데 방송3사가 6일부터 비정규직 관련 보도를 눈에 띄게 줄였다. 6일 KBS는 관련 보도를 하지 않았고, MBC는 미디어법과 비정규직법을 둘러싼 여야 갈등을 전했다. SBS는 고용보험 미가입자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다고 보도했다. 7일에는 KBS가 ‘673명의 비정규직 노동자가 정규직으로 전환됐다’는 노동부의 조사결과를 단신종합에서 짧게 다루었을 뿐이고, MBC와 SBS는 미디어법 처리를 둘러싼 정치권의 갈등 상황을 전하며 비정규직법 처리 방향을 언급하는데 그쳤다.
그동안 방송3사는 법 시행으로 비정규직들이 해고되고 있다는 보도를 주요하게 내보냈다. 특히, KBS는 ‘해고 대란’을 부각하며 노골적으로 정부여당의 ‘법 시행 유예’에 힘을 실어 왔다. 하지만 비정규직법 시행 이후 우려했던 ‘해고대란’이 발생하지 않은 상황에서, 방송3사는 법 시행에 따른 효과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사용사유제한’ 등 현행 비정규직법의 부작용을 해결할 근본 대책을 모색해야 했지만 이런 보도는 하지 않았다.
방송3사의 이 같은 보도태도는 결과적으로 ‘비정규직법 유예’를 주장해 온 한나라당의 주장에 힘을 실어주는 것이나 다름없다. 비정규직법의 긍정적 효과가 부각될 경우 한나라당은 법안을 강행할 명분을 잃을 것이기 때문이다.
MBC <‘수치 오류’인정>(김재용 기자)
SBS <“직권상정” “실력저지”>(남승모 기자)
그런데도 KBS와 SBS는 ‘KISDI 보고서 조작’을 전혀 보도하지 않고 있다. KBS와 SBS는 7일에도 신문·방송법 개정을 둘러싼 여야의 입장차이만 나열하는데 그쳤다.
MBC만 KISDI 보고서의 문제를 지적했다. MBC는 지난 2일 <보고서 “통계조작”>(김재용 기자)에서 KISDI 보고서의 문제를 처음 보도했다. 7일 <‘수치 오류’ 인정>(김재용 기자)에서는 KISDI가 보고서의 ‘조작’을 인정하지 않고 오히려 MBC를 고발하겠다고 나섰다고 전한 뒤, “이 수치를 제공했던 ITU는 오늘 KISDI가 인용한 GDP는 ‘오래된’, 즉 ‘부정확한’ 수치임을 시인한다고 답변을 보내왔다”고 꼬집었다.
MBC <꽉막힌 쌍용차>(고현승 기자)
쌍용자동차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쌍용차는 물론이고, 하청 기업들의 줄도산 사태까지 우려되는 상황이다. 그러나 사태해결에 나서야 할 정부는 정작 나몰라라 하고 있다.
방송3사 역시 쌍용차 사태와 관련해 노사의 물리적 충돌 사태나 갈등 상황 등을 나열하는데 초점을 맞춰 왔으며, 쌍용차 사태 장기화에 따른 구체적인 문제나 정부의 무관심을 비판하는 보도는 제대로 하지 않고 있다.
이런 가운데 7일 KBS와 MBC가 쌍용차 관련 보도를 했지만 접근에서 차이를 보였다.
KBS는 <장기화에 고통>(최광호 기자)에서 쌍용차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고통받는 노동자 가족들의 상황을 ‘감성적’으로 접근했다. 보도는 쌍용차 해고 노동자 가족으로 임신 6개월의 몸으로 남편 대신 거리로 나선 이정아씨의 사연과 회사에 남게 됐지만 출근을 못해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이순열씨의 상황을 보여주며 양측 모두 고통을 겪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양 측은 모두 정부의 개입을 촉구하고 있다”고 ‘정부개입’을 언급하긴 했지만, “공권력 투입이냐 공적자금 투입이냐 엇갈린 주장만큼 양 측의 의견 차를 좁히기는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고 전하는데 그쳤다.
MBC <꽉 막힌 쌍용차>(고현승 기자)는 쌍용차의 생산 중단이 장기화되면서 판매망마저 붕괴되고 있다며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빚어진 쌍용차의 심각한 현실을 보여주었다. 이어 “감정싸움을 접고 대타협을 이뤄내지 못하면 결국 노사가 모두 지는 싸움이 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며 노사양측의 ‘대타협’을 강하게 촉구하고, “청산이냐 존속이냐 시장의 계산을 넘어 정부가 엄청난 사회적 손실을 고려해 서둘러 중재에 나서야한다는 목소리가 높다”고 정부 중재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그러나 중재 노력을 보이지 않고 있는 정부에 대한 비판은 부족했다.<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