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 모니터_
5월 19일 방송 3사 저녁종합뉴스 일일 브리핑(2009.5.22)MB ‘죽창’ 발언, 방송3사 ‘단순 전달’·‘옹호’
그러나 방송3사는 대통령의 발언을 단순 전달하고, 대나무 깃대를 ‘죽창’으로 표현한 것을 옹호하기도 했다. KBS는 대통령의 ‘죽창’ 발언을 의식해 ‘죽창이냐 죽봉이냐 용어논란이 일기도 했다’고 ‘논란’으로 언급했다. MBC는 대통령이 ‘죽봉’을 ‘죽창’이라고 표현한 이유가 ‘불법시위는 좌시하지 않겠다는 단호한 의지 표현’이라고 해석했다. SBS는 대통령의 강경한 발언이 “경제 살리기 등 시급한 국정과제 수행에 큰 장애가 될 수 있다는 인식에 따른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어 “이명박 대통령은 오늘 국무회의에서 여전히 과격 폭력 시위가 벌어지는 것이 안타깝다며 강력하게 경고하고 나섰다”며 “긴 죽창을 들고 대대적으로 수천명이 시위를 했다는 것이 전 세계에 전파를 타면 한국 이미지가 흐려진다”는 대통령의 발언을 실었다. 그리고는 이 대통령이 “폭력시위, 노사분쟁, 북핵문제가 국가 브랜드를 떨어뜨리는 3가지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국가 브랜드를 높이려면 불법 폭력시위 같은 후진성은 반드시 극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며 대통령의 발언을 단순 전달한 뒤, 정부가 후속 대응조치를 논의할 예정이라고 단순 보도했다.
이어 “시위에 쓰인 대나무 깃대에 대해 검찰과 경찰은 ‘죽창과 다를 바 없는 흉기’라면서도 공식적으로는 ‘죽봉’으로 부르고 있다”며 “그럼에도 이 대통령이 직접 굳이 ‘죽창’이라는 표현을 써 가며 시위 문화 전반을 질타한 건, 불법 시위는 절대 좌시하지 않겠다는 정부의 단호한 의지를 보여야 한다는 판단 때문으로 보인다”고 ‘정부의 단호한 의지 표현’이라고 해석했다. 그리고 한승수 국무총리가 관련 부처 장관 회의를 소집했다고 단순 전달했다.
보도 말미에 “이 대통령이 폭력시위 엄정 대처 의지를 거듭 강조한 것은 이 문제를 잘못 다룰 경우 경제살리기 등 시급한 국정과제 수행에 큰 장애가 될 수 있다는 인식에 따른 것”이라며 ‘경제살리기’를 거론하며 의미를 부여했다.
그동안 이명박 정권은 전 정권에서 임명된 공기업 기관장, 공공기관장 등에게 노골적으로 사퇴를 압박하고, 사퇴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는 경우에는 ‘표적감사’로 꼬투리를 잡아 결국 물러나게 했다. 이미 김윤수 국립현대미술관장과 김정헌 한국문화예술위원장 등이 정권의 압력으로 물러난 바 있다. 이번에도 문화부가 한예종의 문제라고 공개한 것은 ‘학교발전기금 600만원 유용’과 근무지 무단이탈 등이다. 그러나 기금 유용은 영수증 처리가 잘못된 것이고, 휴일과 휴가 때 자비로 외국에 다녀온 것을 ‘근무지 무단이탈’로 몰아붙이는 것은 억지에 가깝다. 또 통섭교육이나 이론 및 서사창작 과정 설치 등이 설립취지에 맞지 않다며 학교의 자율적인 교과과정 운영까지 문제 삼고 나선 것이다.
그러나 방송3사는 이명박 정권의 파행적인 ‘지난 정권 인사 솎아내기’의 문제점을 제대로 지적하지 않았다. KBS는 단신으로 황 총장의 기자회견 내용을 전하는데 그쳤다. MBC는 황 총장 사퇴 과정을 보도하며 “이제 문화계의 주요 기관장은 물갈이가 마무리됐다”고 단순 보도했다. SBS는 관련 보도를 하지 않았다.
이어 ‘학교발전기금 6백만 원 유용, 업무 추진비 증빙 영수증을 제대로 갖추지 않은 점, 사전 승인 없이 해외여행을 다녀온 점 등’이 한 달 간의 정기 감사에서 지적됐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황 총장은 “기금을 유용한 적이 없고, 영수증 처리 과정에서 일부 실수가 있었다”고 해명 했지만 문화부의 압박이 계속되자 사퇴 의사를 밝혔다고 상황을 전했다.
보도는 “지난해 이른바 ‘코드 인사’ 논란 끝에 물러난 김정헌 전 한국문화예술위원장과 김윤수 전 국립현대미술관장에 이어, 황지우 총장까지 도중하차하면서 이제 문화계의 주요 기관장은 물갈이가 마무리됐다”고 전하는데 그쳤다.
시민사회단체들은 “한 여성 연예인의 죽음을 둘러싸고 벌어진 사회 특권층의 온갖 추악한 행위, 그 실체적 진실이 거짓 없이 밝혀져야 하고 관련자가 사슬처럼 얽힌 권력층의 뒤에 숨어 책임과 처벌을 면하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는 국민적 요구”를 담아 특검을 청원한다고 밝혔다. 특검청원에는 5천명이 넘는 국민들이 동참했다.
그러나 MBC, SBS는 청원 사실조차 제대로 보도하지 않았고, KBS만 ‘단신’으로 다뤘다.
19일 MBC는 심층취재를 통해 경찰의 ‘집회 불허’ 방침이 지난 3월 말 ‘방어적 질서유지’에서 ‘적극적 법집행’으로 기조를 전환한데 따른 것이라며 경찰 조처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보도는 이 지침 이후 “민주노총 뿐 만 아니라 언론노조나 촛불 관련 단체, 특히 용산 참사 대책위의 경우 16번의 집회 신고를 냈지만 한 차례도 받아들여진 적이 없다”며 “현행법상 신고제로 돼 있는 집회 시위를 경찰이 사실상 허가제로 운영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고 지적했다.
또한 기자회견도 불법집회로 몰아 참가자들을 연행하는 일이 늘었다며 “기자회견이냐 집회냐에 대한 판단이 주관적일 수밖에 없어 똑같은 내용이나 비슷한 시기의 기자회견이 그때그때 합법과 불법을 넘나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폭력시위를 막고, 평화적인 시위 문화를 정착시키겠다는 데 반대하는 목소리는 없다”, “하지만 집회시위가 헌법에 보장된 만큼 이를 제한하는 데는 좀 더 납득할 만한 기준이 필요해 보인다”고 꼬집었다.<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