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 모니터_
3월 6-8일 방송 3사 저녁종합뉴스 일일 브리핑(2009.3.9)KBS는 주식 낙폭이 주요국에 비해 크지 않고, 원화가치 하락으로 외국 자본 투자가 늘고 있다는 ‘긍정적 소식’을 적극 보도했다.
SBS는 미국 등의 경기부양책을 소개하고, 한국은 ‘추경’으로 경기를 부양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반면, MBC는 외신이 한국 경제를 비관적으로 전망하는 이유를 전하고, 정부 경제정책을 비판한 정운찬 서울대 총장 인터뷰를 실었다.
7일 첫 꼭지 <고환율…한국 투자 확산>(박영관 기자)은 “최근의 원화 가치 하락은 이런 해외 투자 유치의 촉매제가 되고 있다”며 호주 멕쿼리 그룹과 북미 기업들이 투자의향을 비치고 있다고 전하고, “원화 약세를 거꾸로 기회로 삼아 지난해의 117억 달러 보다 많은 125억 달러의 해외 투자를 유치하겠다는 게 올해 정부의 목표”라고 보도했다.
<심층취재-비관적 전망 왜?>(이진희 기자)는 이코너미스트와 파이낸셜타임즈, NHK 등 외신들이 한국경제를 ‘위기’로 진단했다고 전했다. 이어 한국정부는 외환보유고 대비 순외채 비율이 75%로 불안하지 않다고 주장하지만 ‘중국 7%, 말레이시아 15%, 멕시코 39% 등 다른 신흥국에 비해 2배~10배 높은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또 “은행의 대출이 예금보다 많은 나라도 아시아에선 한국이 유일”하며, 무역수지 흑자 전망도 ‘수출감소보다 수입이 더 감소해서 오는 흑자’라고 설명했다. 보도는 “한국 경제에 대한 해외 언론의 평가가 지나치게 비관적이라면, 이에 대응하는 우리 정부의 태도는 반대로 지나치게 낙관적인 것은 아닌지 따져봐야 할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7일 <“서비스업 집중해야”>(서민수 기자)는 ‘추경예산은 토목공사보다 장기적 일자리가 나올 수 있는 서비스 산업과 교육, 의료에 투자해야 한다’, ‘정부가 환율시장에 개입하면 안 되고, 금산분리 완화도 세계적 추세에 맞지 않다’는 등 정부 경제정책을 비판한 정운찬 서울대 교수 인터뷰를 전했다.
KBS는 신대법관을 옹호하는 듯 한 이 대법원장 발언과 진상조사위 구성 문제를 지적했다. 그러나 신 대법관의 헌재 접촉 의혹에 대해서는 ‘진실게임 양상’으로 다루는데 그쳤으며, 6일 이후 관련 보도가 급격하게 줄었다.
MBC는 신 대법관이 판사들에게 개별 메일을 보내고 전화를 걸어 판결취지를 물었다는 등 추가 의혹과 내부 비판목소리 등을 적극적으로 보도했다.
SBS는 진상조사위의 조사 대상과 내용을 중심으로 보도했다.
<조사단 활동 개시>(정윤섭 기자)는 진상조사단이 꾸려졌지만, 신 대법관이 이메일을 지워 증거 확보가 어렵고, 진상조사위 구성에도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진실게임’ 양상>(노윤정 기자)은 신 대법관이 야간집회 위헌심판 관련해 헌재 판결을 언급한 이메일에서 언급한 날짜가 취재결과 모두 엉터리였다고 전했다. 이어 헌재측은 신 대법관과 만나지 않았다고 부인하고, 신 대법관은 제대로 답변을 하지 않고 있다며 두 기관의 ‘진실게임’이 벌어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7일 <“재판에 영향”>(김경진 기자)은 신 대법관의 ‘이메일’ 때문에 재판부가 ‘선고를 연기하겠다’고 했다가 입장을 번복해 재판에 불이익을 받았다는 김종웅 변호사 주장을 다뤘다.
8일 <판사 20명 조사>(김귀수 기자)는 진상조사위에서 일부 판사가 ‘심적 부담을 느꼈다’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전했다. 이어 판사들에게 개별 이메일을 보내고, 전화를 걸었다는 의혹도 조사할 예정이라는 등 진상조사위 조사계획을 보도했다.
<“법대로”..“억지논리”>(강민구 기자)에서는 ‘법대로 했다’는 신 대법관의 주장에 대한 민변 등의 반박을 전했고, <조사 신뢰성 논란>(이정은 기자)은 진상조사단 구성 문제를 지적했다. <“자진 사퇴 안한다”>(김연국 기자)는 신대법관이 자진 사퇴의사가 없음을 단호하게 밝혔다며 대법원이 진상조사로 시간을 벌며 여론의 추이를 살피고 있다고 보도했다.
<“탄핵검토”..“지켜보자”>(백승규 기자)는 상반된 정치권 입장을 전했다.
7일 <“전화도 걸었다”>(강민구 기자)는 신 대법관이 촛불사건 담당 판사에게 개별적으로 메일을 보냈고,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기소된 전교조 교사 2명 무죄 판결 한 판사에게 전화를 걸어 이유를 물어봤다고 추가 의혹을 제기했다.
<유출 경위 조사?>(김연국 기자)는 신 대법관의 컴퓨터 하드를 복구하지 않고 삭제된 이메일을 개별 판사들에게 제출 받기로 했다는 진상조사위 입장을 비판하고, 진상조사가 엉뚱하게 ‘이메일 유출 경위 조사’로 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보도했다.
8일 <“대법원도 알았다”>(이정은 기자)는 대법원이 촛불사건 몰아주기 배당과 신 대법관이 이메일을 보낸 것을 알고 있었다며 “또 다른 은폐 의혹이 불거지고 있다”고 전했다.
<판사 20명 조사>(박충희 기자)는 서울남부지법의 김형연 판사가 신 대법관 사퇴를 촉구하는 글을 올렸다고 소개하고, 진상조사위는 판사 20명을 조사했다고 전했다.
<“보석 허가하면 사회 혼란”>(이승재 기자)은 신 대법관이 판사들을 소집한 회의에서 ‘촛불사건 피고인들을 보석으로 풀어주고 재판을 미루면 사회에 혼란이 커진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고 보도했다. 이어 <자신 사퇴 촉구>(최선호 기자)는 정치권 입장을 전했다.
7일 단신 <‘재판개입’ 본격 조사>는 신 대법관의 ‘이메일 지침’이 재판에 영향을 줬는지를 진상조사단이 본격 조사하고 있다고 전했다.
8일 <내일 신영철 대법관 조사>(이승재 기자)는 진상조사위가 촛불집회 재판을 맡았던 판사들을 조사했지만 ‘이메일 지침’이 재판에 영향을 줬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고 전하고, 신 대법관과 허만 전 형사수석부장판사를 조사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KBS만 두 꼭지를 보도했는데, 경찰의 부상 상황 등 경찰 측 주장을 적극 보도했다.
SBS는 경찰 주장을 중심으로 보도하면서도 용산참사 범대위측 입장을 함께 실었다.
MBC는 경찰 부상 상황과 범대위 측의 반론을 함께 전했고, 분실카드 사용자의 신원에 대해서도 조심스럽게 접근해 차이를 보였다.
<카드 빼앗아 사용>(유동엽 기자)은 혜화경찰서 정보과 박모경사가 지갑을 빼앗겼는데 50대 남성이 박 경사의 카드로 옷과 담배를 샀다고 전했다. 이어 이 남성이 담배를 사는 CCTV 장면을 보여주고 옷을 산 의류매장 직원 인터뷰를 실은 뒤, ‘호주머니가 깊어 분실했을 가능성이 없다’는 박 경사 인터뷰를 실었다. 보도는 “경찰은 카드를 사용한 50대 남성이 박경사 폭행에 개입했고 시위에 참석한 정황을 일부 확보했으며 카드에 남겨진 지문을 근거로 이 남성을 추적하고 있다고 밝혔다”고 경찰측 주장을 전하는데 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