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 모니터_
4월 27일자 주요일간지 일일모니터 브리핑(2010.4.27)일일브리핑은 제 시민단체와 정당, 언론사와 구독을 원하는 누리꾼과 일반 시민들에게도 메일로 배포할 예정입니다. 신문 일일브리핑을 받아보기 원하는 분들은 ccdm1984@hanmail.net으로 신청하시면 됩니다.■ 오늘의 브리핑
1. <동아> 새만금 끌어들여 ‘4대강 밀어주기’
2. 선관위, ‘4대강 반대․무상급식’ 꽁꽁 묶어 … <경향>만 비판
1. <동아> 새만금 끌어들여 ‘4대강 밀어주기’
용도 바뀐 ‘대형 기업도시’ 새만금 준공…조중동 “명품도시” 대대적인 홍보
26일 농림수산식품부는 앞으로 △농업용지 △산업용지 △관광레저용지 △국제업무용지 △과학연구용지 △신재생에너지용지 △도시용지 △생태환경용지 등 8개 용지로 나눠 새만금 단지를 개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1991년 착공된 새만금방조제 공사는 애초 1987년 대통령선거에서 노태우 후보가 전북지역의 표를 모으기 위해 선거공약으로 내세운 것이다. 새만금 사업을 둘러싸고 해양 생태계 훼손과 수질 악화 우려 등으로 반대 여론이 거세지자 1999년 민관 공동조사단이 구성되고 공사가 중단됐으나 2001년 정부가 ‘사업 계속 추진’을 결정해 2006년 4월 새만금방조제 33km구간이 이어졌다.
이명박 정부 출범 후 2009년 6월에는 ‘새만금사업촉진을 위한 특별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자 정부는 후속 조처로 ‘새만금 종합개발 계획’을 확정하고 기업 유치를 위한 산업용지 비중을 늘리고, 농업용지를 대폭 축소했다. 이는 2006년 대법원이 ‘농지목적’을 전제로 새만금 간척사업이 타당하다는 최종판결을 뒤집은 것으로, 농지 조성의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 이루어진 환경영향평가법에도 어긋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한편, 새만금 사업은 수질개선 문제, 재원조달 문제, 인접 지자체들의 행정구역 다툼 문제 등 앞으로 풀어야할 과제가 많다.
<‘서해의 만리장성’ 새만금 길 열렸다>(동아, 1면)
<19년 전 바다에 그은 선, 동북아 경제허브 향한 큰 획으로>(동아, 3면)
<“전북도민 응어리 풀려… 세계적 명품도시 박차”>(동아, 3면)
<“신재생에너지 연구 등 새만금 싱크탱크로”>(동아, 3면)
<새만금을 돌아보며 4대강을 내다본다>(동아, 사설)
이어 “새만금 방조제 완공을 보면서 4대강 사업을 생각하게 된다”고 새만금과 4대강을 연결시키더니 “4대강 사업은 이명박 대통령의 대운하 건설 공약의 대안이지만 대운하와 무관하게 필요성이 인정된다”며 4대강 사업에 힘을 실었다.
또 “해당 지역 주민과 자치단체장들은 ‘죽은 강을 살릴 것’이라며 이 사업에 적극 찬성하고 있다”면서 반대의 목소리에 대해 “썩은 강을 방치하는 게 환경보전은 아니다”, “‘하느님의 생명과 창조질서 보전을 거스르는 사업’이라는 종교계 일각의 비판을 지나치게 감상적으로 느껴진다”고 비난했다.
사설은 “경부고속도로 건설을 비롯한 과거 국책사업들에 대한 반대 사례를 돌아보면 미래를 내다보지 못한 채 반대가 곧 애국인양 착각한 사람들도 많았음을 알 수 있다”며 “환경근본주의와 반대지상주의가 결합하면 과학적, 경제적 분석이 어려워진다”고 주장했다.
최근 속속 드러나고 있는 4대강 사업 공사현장 주변의 부작용에는 침묵으로 일관해 온 동아일보가 “과학적, 경제적 분석” 운운하며 4대강 사업 반대 목소리를 “환경근본주의”, “반대 지상주의”로 몰아붙인 것이다.
<새만큼, 세계로 뻗다>(조선, 1면)
<열렸다, 33㎞ 세계로 뻗어라>(조선, D1면)
<외곽 20년 마치고 명품개발 20년 새장정>(조선, D2면)
<새 문명을 여는 물의 도시 여기는 아리울입니다>(조선, D2면)
<“선진국 대사 모두 큰 관심 최적투자에 높은 수익 제시”>(조선, D2면)
<“가족·대중·품질... 모두 만족시킬 것”>(조선, D3면)
<‘녹지’ 둘러싸인 수출형 산업단지>(조선, D3면)
<“소득4만달러 견인... 정부 의지·국민 지지에 달려”>(조선, D3면)
<33만 깃발 물결에 ‘새만금 염원’ 모은다>(조선, D5면)
<‘첨단농촌 에코빌리지’ 미래 농업관광 1번지>(조선, D6면)
<新산업허브, 근대문화거리 돌고 64개 섬 유람>(조선, D6면)
<방조제와 변산 비경으로 관광 시너지 최대화>(조선, D7면)
<“복분자·풍천장어 알죠” 3000억 소득 이룬다>(조선, D7면)
또 별도의 새만금 특집 섹션을 발행하고 △새만금 진로 △경제자유구역 △새만금 깃발축제 △새만금 관광 등을 주제로 8면에 걸쳐 새만금의 사업성을 대대적으로 부각했다.
<새만금, ‘기회의 땅’ 만들기는 이제부터다>(중앙, 사설)
이어 재원조달과 수질문제를 대한 비판을 짧게 언급했다.
<‘33.9㎞’ 새만금방조제 19년만에 마침표>(한겨레, 12면)
<갈길 먼 새만금사업>(한겨레, 12면)
또 “새만금 사업의 추진 과정은 우리사회에 신뢰와 소통의 부재라는 문제점도 드러냈다”며 애초 새 간척지를 농지로만 쓰겠다고 공언했던 농림부가 2006년 대법원 승소 판결이 나오자마자 ‘지역발전과 국익을 감안해 다른 용도 개발 방안도 검토하겠다’고 태도를 돌변했고, 시민단체들과의 요식적인 대화마저 두절됐다고 비판했다.
이어 새만금의 행정구역이 군산, 김제, 부안 등으로 갈려 지방성부 사이에 갈등이 불거진 일도 풀어야 할 문제라고 지적했다.
<새만금 방조제 준공… 세계 최장 33.9㎞ 19년 만에 열렸다>(경향, 16면)
2. 선관위, ‘4대강 반대·무상급식’ 꽁꽁 묶어 … <경향>만 비판
천주교·불교 등 4대강 사업 저지를 선언한 종교계의 경우엔 △4대강사업 관련 현수막 게시 △선거구민을 대상으로 한 4대강사업 찬반 홍보책자 배부 및 서명 △미사·법회·예배 등에서 특정정당 후보자의 지지, 반대를 호소, 유도하는 발언 등이 금지사례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시민단체들의 무상급식 캠페인, 종교계의 4대강 반대 운동과 관련한 사실상의 모든 활동이 ‘선거법 위반’으로 제약을 받게 됐다.
시민단체들은 선관위의 이같은 방침이 ‘정부 정책에 반대하는 운동을 원천봉쇄하려는 것’이라며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6.2지방선거 핵심공약으로 4대강 사업 반대, 무상급식을 채택한 야당들도 원천적으로 불리한 조건에 놓였다.
<선관위 ‘정책선거 족쇄’ 파장>(경향, 1면)
<‘정권심판론’ 의제 봉쇄 ‘新관권선거’>(경향, 4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