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 모니터_
6월 16일자 주요일간지 일일 모니터 브리핑(2009.6.16)일일브리핑은 제 시민단체와 정당, 언론사와 구독을 원하는 누리꾼과 일반 시민들에게도 메일로 배포할 예정입니다.신문 일일브리핑을 받아보기 원하는 분들은 ccdm1984@hanmail.net으로 신청하시면 됩니다.■ 오늘의 브리핑
1. 종교계 대규모 잇단 시국선언 … 조중동 외면
2. MB의 ‘남탓’ 라디오 연설 … 조중동, ‘국정기조 전환은 NO, 국면돌파는 YES’
<동아> “상습시위꾼” 부각
<중앙> 인권위 비난 강희락 경찰청장 인터뷰
<경향> “시국선언 참여자 1만여명”
<한겨레> “‘참회없는 정부’에 경종”
뿐만 아니라 조선일보는 “나라 전체를 삼켜 버릴 듯했던 조문정국의 열기가 예상보다 빨리 식고 있는 분위기”라고 보도했다.
△ 조선일보 6면
그러면서 기사 말미에 “거리에서 아무리 외쳐도 꿈쩍 않는 이명박 정부의 ‘민심 불감증’도 한 요인일 것이라는 정반대 해석”을 덧붙였다.
동아일보는 3면 <서울 도심집회 ‘상습시위꾼’ 131명 입건 … 그들은 누구인가>에서 “서울 도심은 한동안 주말마다 폭력시위로 얼룩졌다”면서 이른바 ‘상습시위꾼’을 ‘분석’하는 기사를 실었다. 기사 옆에는 복면을 하고 파이프를 휘두르는 ‘시위꾼’의 그림을 크게 부각하기도 했다.
<“복면 시위 괜찮다고 말하는 인권위 막상 피해 생기면 일절 책임 안 져” 강희락 경찰청장 인터뷰>라는 인터뷰 기사에서 강 청장은 “복면 시위가 괜찮다고 말하는 인권위다. 그런 인권위가 막상 사람들이 다치고 피해가 발생하면 일절 책임지지 않는다”, “복면 착용은 ‘익명성 뒤에 숨어 폭력을 저지르겠다는 의도가 담긴 것’으로 파악해야 한다”는 등의 주장을 폈다.
<중도성향 종교인까지 … ‘참회없는 정부’에 경종>(한겨레, 1면)
<시국에 대한 걱정, 성·속이 따로 없다>(한겨레, 사설)
사설에서 한겨레신문은 성직자들의 시국선언 동참이 “숫자만으로 보면 6월 항쟁 때의 두 배에 가깝다”면서 “오늘의 사태가 얼마나 위중한 상태인지 잘 보여주는 수치”라고 개탄했다. 사설은 “이들을 불러낸 것은 다름 아닌 이명박 대통령”이라고 지적하면서 “민주주의를 더는 후퇴시키지 말고, 돈보다 생명을 존중하며, 부자보다는 중산층 서민을 위해 달라는” 국민들의 소박한 요구에 “이 정권은 아예 눈을 감고 귀를 닫았다”고 비판했다.
또 이 대통령이 15일 라디오 연설에서 “민심이 이념과 지역으로 갈라져 있다느니 정쟁의 정치문화가 사라지지 않고 있다느니 주장했다”며 “자신과 정부의 잘못으로 말미암아 발생한 지금의 사태를 이념, 지역, 혹은 정쟁으로 돌리려 한 것”이라고 꼬집었다.
사설은 “이번 종교인의 고언이 마지막 시국선언이 되길 바란다”면서 “이 정권은 크게 회심하고 크게 거듭나야 한다”고 촉구했다.
2. MB의 ‘남탓’ 라디오 연설 … 조중동, ‘국정기조 전환은 NO, 국면돌파는 YES’
<동아> “정권의 정체성에 맞는 국정기조의 큰 틀은 유지”
<중앙> MB가 “일관되게 ‘경청과 숙고의 기조’를 밝혀왔다”?
<경향> “MB, 도대체 뭘 듣고 있나”
<한겨레> “정부 잘못, 이념·지역·정쟁 탓”
<이 대통령, 도대체 뭘 듣고 있다는 건가>(경향, 사설)
이어 이 대통령의 발언이 “이념과 지역에 기반한 반대와 야당의 발목잡기 등이 정부의 원활한 국정운영에 장애가 되고 있다는 인식”에 기반한 것이고 “이 때문에 현 국면의 해법은 대대적 인사쇄신 등이 아니라 국민의식의 변화와 정치문화 개선이 돼야 한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이 대통령이 “이제 흩어진 마음을 한 데 모으고 안보와 경제를 위해 힘을 모아야 할 때”라고 말한 데 대해서도 “귀국 후에도 경제와 안보를 중심으로 한 기존의 국정기조를 밀고나갈 것임을 내비쳤다”고 전망했다.
사설에서는 “뒤늦게나마 독선·독주 국정운영의 문제점을 들여다보는 것 같아 주목”면서도 “문제는 민심과 동떨어진 현실 인식”이라 지적했다. 사설은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를 계기로 분출한 민주주의와 민생, 남북관계 회복 촉구가 이념과 지역의 문제이고, 정쟁의 산물이란 말인가”, “또 ‘네 탓’이라니 민심의 실체를 모르는 것 같아 안타깝다”고 비판했다. 아울러 “눈과 귀를 여는 것도 필요하지만 민심을 제대로 보고 듣는 게 더 중요하다”고 꼬집었다.
한편 사설 <시국에 대한 걱정, 성·속이 따로 없다>에서는 이명박 대통령이 “민심이 이념과 지역으로 갈라져 있다느니, 정쟁의 정치문화가 사라지지 않고 있다느니 주장했다”며 “자신과 정부의 잘못으로 말미암아 발생한 지금의 사태를 이념, 지역, 혹은 정쟁으로 돌리려 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 MB “많은 얘기 경청 … 귀국후 판단”>(동아, 8면)
<이 대통령, 변화를 바라는 목소리에 답해야>(동아, 사설)
사설에서 동아일보는 이 대통령에게 “야권과 좌파세력은 국정기조의 변화를 주장하지만 이 정권을 선택한 민의를 감안한다면 사리에 맞지 않는다”면서 야당은 물론 각계에서 쏟아지고 있는 국정쇄신 요구를 비판하면서 ‘국정기조 고수’를 주문했다.
사설은 “다만 대한민국 및 정권의 정체성에 맞는 국정기조의 큰 틀은 유지하되 작금의 위기상황 타개에 도움이 될 민심의 수용과 변신은 필요”하고 “국면 전환도 필요한 시점”이라 봄으로써 사실상 ‘국정기조 변화 없는 국면 전환에 그쳐야 한다’는 시각을 분명히 했다.
<이 대통령의 ‘근원적인 처방’ 무엇인가>(조선, 사설)
사설에서 “대통령은 ‘근원적 처방’의 구체적 내용은 언급하지 않았다. 그러나 지역과 이념으로 갈려 극한투쟁을 일삼는 한국정치의 고질병을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는 생각에는 공감하는 사람이 적지 않을 것”이라면서 대통령의 발언에 힘을 실었다.
사설은 대통령이 무엇을 쇄신해야 하는지 분명하게 언급하지 않았다. 그저 “우리 사회가 처한 문제의 근원이 무엇인지는 누구나 알고 있다”, “고질적 지역 대립은 모든 문제를 빨아들이는 블랙홀이 된 지 오래고, 대선만 끝나면 ‘권력 독점측’과 ‘극단 저항측’이 나뉘어 죽기 살기로 싸우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이 대통령이 ‘근원적 처방’을 생각하고 있다면 대통령과 정권이 할 수 있는 일부터 하는 것이 순서다. 그런 다음이라면 국민의 눈은 자연스레 극한적 반발을 일삼는 세력으로 옮겨갈 것”이라고 주장했다.
4면 기사에서는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후 이어진 각종 국정쇄신 요구에 대해 이 대통령이 직접 언급을 하고 나섰다는 점에서 주목됐다”면서 “노 전 대통령 서거를 정치적으로 이용하려는 세력에 휘둘리지 않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이라는 분석과 “‘근원적 처방’이란 정치를 둘러싼 법·제도 개선 쪽에 초점을 맞춘 얘기”라는 해석을 전했다.
기사는 이 대통령이 한미 정상회담을 위해 출국했다는 소식을 함께 묶어 보도했는데, 이 대통령 내외가 출국하면서 인사하는 사진을 나란히 실었다. 사진 기사의 캡션은 “잘하고 오겠습니다”로 달았다.
<‘경청과 숙고 기조’ 확인한 이 대통령>(중앙, 3면)
< MB 쇄신책, 이번만은 실기해선 안 된다>(중앙, 사설)
이어 3면에서는 “청와대가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이후 일관되게 밝혀온 ‘경청과 숙고의 기조’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고 평가해, 현 정권이 시민의 의견과 여론을 경청하고 숙고해 온 듯이 다뤘다.
사설에서도 “안팎의 쇄신 요구에 오불관언해온 대통령이 마음을 열고 태도를 바꾼 것은 늦었지만 다행스러운 일로 환영”한다고 밝혔다. 또 “청와대 홈페이지 게시판을 꼼꼼히 볼 정도로 민심을 들으려 한다”는 이 대통령의 자세를 “민심을 정확하게 진단해 효율적인 쇄신책을 내놓으려는 노력으로 해석”하면서 높게 평가했다.
나아가 “대통령의 진단에는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여러 문제에 대한 대통령의 입장이 은유적으로 담겨 있는 것 같다”면서 “전직 대통령이 반정부 봉기라는 시대착오적 행태를 부추기고, 야당이 보름 넘게 국회를 보이콧하고 있으며, 반정부 시민세력은 계속 대중집회 투쟁을 계획하고 있는 게 현실”이라고 주장해 대통령의 발언에 힘을 실었다.
한편 ‘쇄신’의 내용과 방향에 대해서는 “기왕이면 대통령의 쇄신안 발표가 기자회견을 통해 이뤄지고, 여야 지도자들과의 허심탄회한 소통의 이벤트로 계속 발전해 나가길 기대한다”는 주문에 그쳤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