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 모니터_
5월 15일자 주요일간지 일일 모니터 브리핑(2009.5.15)1. 서울시 ‘자전거길 추가 조성’ … <중앙> 1면 톱기사로 부각
2. ‘신영철 파문’ 확산에도 <동아> “신 대법관 사퇴론 소수에 그쳐”
3. 조중동, 코드 맞는 ‘언론단체’ 띄우기
14일 서울시가 2014년까지 서울시 주요간선도로에 구축되는 자전거도로를 연결하는 순환형 자전거도로 88km를 추가 조성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15일 신문들은 모두 이 소식을 다뤘는데, 특히 중앙일보는 1면 톱기사로 “서울 종로가 자전거와 보행자 중심의 길로 탈바꿈한다”고 부각해 보도했다.
<남산엔 자전거 엘리베이터… 한강은 지하도 뚫어 연결>(중앙, 5면)
<“자전거 통학 모든 학생에게 자전거 기증”>(중앙, 5면)
5면에서는 “서울시가 구축하는 88km의 자전거 전용도로는 ‘도로 다이어트’ 방식으로 추진된다”면서 “남산에는 자전거 엘리베이터가 놓이고 한강은 지하도를 뚫어 자전거길을 연결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백낙환 인제대 이사장이 100명의 학생에게 자전거를 기증하면서 “자전거 통학을 하는 모든 학생에게 자전거를 기증하겠다”고 밝혔다고 보도했다.
<페달 밟고 종로를 지나 남산을 돌아 한강으로…>라는 기사에서 조선일보는 “서울시는 2011년까지 종로와 태평로 등을 거쳐 도심을 도는 자전거 순환도로 24km를 완공하고, 2014년까지는 강북 지역을 크게 한 바퀴 도는 외곽 자전거 순환도로 38km를 만들기로 했다”고 부각했다.
<자전거 날자 자동차 모터까지…>(동아, B1면)
한편 경제섹션 1면에서 동아일보는 자전거 관련 테마주가 정부에서 녹색성장 정책의 일환으로 최근 잇달아 내놓고 있는 자전거 관련 정책 때문에 급등하고 있다고 부각하면서, “자전거 테마주의 과열 양상이 지속되면서 인터넷 투자정보사이트에는 아직 ‘덜 오른’ 자전거 테마주 찾기에 혈안이 된 투자자들의 글이 줄을 잇고 있다”고 덧붙였다.
기사는 관련 전문가들의 인터뷰 등을 통해 ‘국내 부품 산업 육성’이 필요하다고 지적하는 한편, “소비자들이 일상생활에서 자전거를 많이 쓰도록 하는 정책”이 시급하다며, “자전거를 일상적 교통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어야 고급형 자전거의 수요도 늘고 산업도 커질 수 있다”고 보도했다.
2. ‘신영철 파문’ 확산에도 <동아> “신 대법관 사퇴론 소수에 그쳐”
<중앙> “판사회의 ‘신 대법관 거취’ 놓고 격론”
<조선> ‘색깔공세’ 등 판사들 맹비난, 신 대법관에겐 ‘미묘한 주문’
경향신문은 1면 톱기사로 “서울중앙지법 단독판사들이 14일 신영철 대법관의 재판 개입 논란에 대한 판사회의를 열어 ‘신 대법관이 대법관 직무를 수행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며 사실상 사퇴를 촉구했다”고 보도했다.
<申에 ‘최후통첩’… 거부땐 사법파동 가능성>(경향, 3면)
<‘단독판사’는 독립적 재판부… 사법개혁 때마다 ‘선봉’>(경향, 3면)
<‘강제 사퇴’ 국회 탄핵뿐>(경향, 3면)
3면에서는 “신영철 대법관의 재판 개입 파문이 이용훈 대법원장의 엄중경고 조치와 신 대법관의 사과에도 불구하고 이에 반발하는 법관들의 집단행동이 확산되고 있다”며 “일선 판사들이 신 대법관의 사퇴를 촉구하고 나섬에 따라 이제 공은 신 대법관에게 다시 넘어간 양상”이라고 전했다. 또 “신 대법관이 이를 거부할 경우 사태는 걷잡을 수 없이 확산돼 5차 사법파동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고 덧붙였다.
<“재판독립 침해행위 위법”… 신대법관 향한 압박수위 높여>(한겨레, 3면)
<“재판개입, 사법 존재이유 흔들어” 판사들 이념․세대 넘어 위기감>(한겨레, 3면)
<3차 사법파동 산물… 판사 과반 찬성땐 의결 가능>(한겨레, 3면)
3면의 또 다른 기사에서는 “일부 보수언론이 사법부 내부에 대한 ‘편가르기’에 나섰다”고 보도했다. <한겨레>는 “일선 법관들은 신 대법관의 재판 개입 사태에 대한 대응과 이념적 지형은 상관이 없다고 말한다”면서 서울지역 법원의 한 부장판사가 “신 대법관의 행위가 심각한 잘못이라는 데 이견이 있는 판사는 많지 않은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아울러 “지위와 성향에 따른 반응의 차이가 거의 없는 까닭은, 법관들이 이번 사태에서 심각한 위기감을 느끼고 있기 때문”이라면서 “사법부의 존립 근거인 국민의 신뢰가 흔들리고 있다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 “이날 서울남부지법에서 열린 단독판사회의에서도 ‘대법원장의 결정을 받아들이고 제도 개선에 힘쓰자’는 신중론이 사퇴 요구 주장보다 많았다”면서 “이에 따라 이번 사태가 조만간 진정 국면으로 들어설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고 보도했다. 그러면서 “법원 핵심관계자는 ‘법관의 다수를 차지하는 단독판사 이하의 경우 현재까지 사퇴의견과 반대의견 비율이 6대 4 정도로 갈리며, 반대로 지법 부장판사들은 2대 8, 고법 부장판사 이상은 1대 9정도로 나뉘는 분위기라고 전했다”고 덧붙였다.
<현직 부장판사 “집단행동땐 司法에 외부개입 빌미 제공”>(조선, 10면)
<판사들의 집단행동, 線 넘어선 안 된다>(조선, 사설)
같은 면의 또 다른 기사에서는 “현직 부장판사가 14일 신영철 대법관의 사퇴를 촉구하려는 단독판사들을 향해 ‘신 대법관이 사퇴하면, 반대 세력이 전 정권에서 임명된 이용훈 대법원장을 사퇴시키려 할 것’이라며 집단행동을 말리는 글을 올렸다”고 보도하고 그 내용을 소개했다.
사설에서 조선일보는 “이번 ‘신영철 파동’의 핵심이 사법 행정권에 의한 재판독립 훼손에만 있다고 볼 수는 없다”는 주장을 폈다. 2006년 2월 9일 이용훈 대법원장이 재벌 총수들에 대한 관대한 판결을 질타하는 발언을 한 것에 대해 “신 대법관의 ‘재판 신속진행 촉구’ 이메일과 비교할 수 없을 만한 강도의 재판 관여였다고 볼 수도 있다. 하지만 당시 이 대법원장의 발언을 놓고 불평불만을 표시했던 판사는 없다”고 강변했다.
사설은 이어 “이번 재판 개입 논란을 촉발시킨 사람은 작년 10월 촛불시위 관련 재판에서 집시법의 ‘야간 옥외집회 금지’ 조항에 대해 위헌 심판을 제청한 판사”라면서 “그의 사표 직후 판사들이 신 대법관의 이메일을 언론에 유출시키는 일이 벌어졌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법원 내부 통신망에 신 대법관을 몰아세우는 글을 올린 사람들 가운데 특정 이념 성향을 갖는 ‘우리법 연구회’ 판사들이 많다고 한다”며 “판사들이 다양한 시각을 가질 수는 있지만 이념과 성향에서 확실한 색깔을 가진 판사 그룹이 존재한다는 것은 우려할 만한 일”이라고 ‘이념공세’를 되풀이했다.
사설은 대법 윤리위의 신영철 ‘면죄부’ 결정을 언급하면서 “신 대법관으로선 일단 후배 법관들이 공격한 수준의 재판권 침해는 아니었다는 판정을 받음으로써 최소한의 명예를 지켰다고도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그렇다면 신 대법관은 사태를 불러온 당사자로서 최소한의 책임 있는 행동이 무언가를 생각해 볼 일이다”라고 미묘한 언급을 덧붙였다.
사설 말미에 조선일보는 “소장 판사들이 자기들 손으로 법원의 권위를 허물면 언젠가는 자기들 어깨를 집어넣어 무너지는 법원을 지탱해야 할 날이 올지 모른다”고 경고했다.
3. 조중동, 코드 맞는 ‘언론단체’ 띄우기
<방송개혁시민연대 ‘좌파정권 방송장악 충격보고서’ 출간 “편파-왜곡 10년, 국민 가치관 흔들어”>(동아, 6면)
<“지난 10년 TV 보며 끓어올라… 방송 견제할 것”>(중앙, 14면)
그러면서 “김대중 5년 동안 방송을 인적으로 장악하여 정권홍보를 위한 충성경쟁을 했고, 노무현 5년 동안에는 이회창 병역비리를 과다보도하며 권력과 방송의 밀월시대를 즐겼다”, “방송이 김대중, 노무현 정권 10년 동안 좌편향 프로를 집중 편성했다”는 등의 주장을 전했다.
또 ‘방송개혁시민연대’ 간부들이 “방송들이 노무현 전 대통령 시절 탄핵규탄 편향방송을 했다”면서 “MBC의 ‘이제는 말할 수 있다’는 대표적인 좌편향 프로그램이다”, “KBS 드라마 ‘서울 1945’도 편향성을 보였다”라고 주장했다고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