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 모니터_
‘미국 쇠고기 수입 전면 개방’ 관련 조·중·동 보도 일일 모니터 브리핑(2008.5.24)
‘우리 동아일보’ 답다 |
|||
................................................................................................................................................. | |||
23일 국회 본회의에서 정운천 농림수산식품부 장관에 대한 해임건의안이 부결됐다. 한나라당을 제외한 야당과 무소속 의원 149명이 표결에 참석했으나 찬성표는 재적수 291명의 과반인 146표에 6표 모자라는 140표에 그쳤다. 절대 다수의 국민들이 미국산 쇠고기 전면 수입개방에 반대하는 상황에서도 민주당을 포함한 야당들은 국민의 건강권과 검역주권을 내준 졸속협상의 주무책임자인 정 장관 해임건의안을 통과시키지 못하는 무능을 드러냈다. 하지만 해임건의안이 부결되었다고 하여 정 장관이 면죄부를 받은 것은 결코 아니다. 이미 정 장관은 정치적 사망선고를 받은 것이나 다름없으며 정 장관에 대한 국민의 비판 여론은 조금도 수그러들지 않았다. 그럼에도 정 장관은 한 차례 연기했던 장관고시를 강행하겠다고 나섰다. 수구보수신문들은 정 장관 해임건의안 부결과 관련해 표결 결과와 각 당의 반응을 중심으로 보도했다. 미국 FDA의 ‘동물성 사료 금지조처’ 오역 문제가 불거졌을 당시 중앙일보는 ‘정 장관이 물러나야 한다’고 요구한 바 있고, 이명박 대통령의 대국민담화 직후 조선일보도 ‘인적쇄신’이 없는 점을 지적했지만 막상 해임건의안이 부결되자 이들은 상황이 종료된 것처럼 더 이상 책임을 묻지 않았다.
동아일보는 또 <“정치문제 돼 안타까워 쇠고기 고시 예정대로”>에서 정운천 장관 인터뷰까지 실어 “이번 문제가 정치적으로 흘러가는 것 같아 안타깝다”,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축산농가 대책 마련과 검역 강화, 음식점 원산지 표시제 단속 강화 등의 대책을 마련해 국민을 안심시키는 것”이라는 정 장관의 발언을 친절하게 소개했다. 2. ‘한미FTA 17대 국회 비준’에 안간힘 쓰는 동아·조선일보 동아일보와 조선일보는 사설에서 정 장관 해임건의안 부결을 계기로 ‘한미 FTA 국회 비준’을 압박하려는 의도를 더욱 노골적으로 드러냈다. 동아일보는 <17대 국회, 29일까지 명예회복 기회 남아 있다>에서 해임건의안 ‘가결에 실패’한 민주당을 향해 “이제 ‘쇠고기 정국’을 되돌아봐야 한다”며 ‘미 쇠고기 수입 재협상 문제’를 “한미 자유무역협정 비준동의안 처리와 연계해 17대 국회의 마지막이 될 수도 있는 5월 임시국회를 ‘소모의 장’으로 만든 건 위국위민과 거리가 멀다”고 주장했다. 그동안 “괴담’ 수준의 비이성적 여론에 편승한다면 공당의 지도자라고 할 수 없다”(5월 5일 사설), “국가 간 협상의 무효화와 재협상을 쉽게 입에 올리는 것은 책임 있는 공당의 자세가 아니다”(5월 6일 사설) 등 ‘공당’ 운운하며 야당의 ‘미 쇠고기 수입 재협상’ 요구를 비판했던 동아일보는 정 장관 해임건의안이 부결되자 “한미 쇠고기 협상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재협상을 주장한 것까지는 야당으로서 할 수 있는 일이라고 본다”고 여유로운 태도를 보이기도 했다. 그러면서 동아일보는 “아직 기회는 남아 있다”며 “마지막 임시국회를 다시 열어 FTA 비준동의안을 처리하는 게 민주당과 17대 국회가 함께 명예를 회복하는 길”이라고 끝까지 야당을 압박했다. 동아일보 보다는 ‘한 수 위’에 있는 조선일보는 <“한미 FTA 처리하자”는 민주당 일부 의원의 양심>을 통해 ‘민주당 분열 작전’을 썼다. 조선일보는 민주당 일부 국회의원들이 ‘17대 국회에서 한미FTA 비준안을 처리해야 한다’고 성명을 낸 것에 대해 “이들이 오죽 답답했으면 당론과 반대되는 성명을 발표하고 기자회견까지 했겠는가”라고 칭찬했다. 또 이들이 “쇠고기 파문 때문에 비준안을 처리하지 않는다는 것은 명분과 실리에서 옳은 선택이 아니다”고 주장한 것과 관련 ‘노무현 정권 때 시작한 한미FTA를 처리하지 않는다는 것은 명분에 맞지 않다’, ‘수출과 경제 성장을 높여 일자리를 창출할 한미FTA를 비준하지 않는 것은 실리가 아니다’며 힘을 실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