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평_
언론탄압 언급하지 않은 대통령, 질문조차 없는 언론 절망적이다
등록 2024.05.10 13:03
조회 366

1년 9개월 만의 대통령 기자회견을 계기로 윤석열 정부의 국정 쇄신과 소통 의지를 바랐던 국민의 기대는 무참히 깨졌다. 윤석열 대통령은 5월 9일 대통령실에서 취임 2주년을 맞아 ‘윤석열 정부 2년 국민보고 및 기자회견’을 열었다. 취임 100일 기자회견 이후 631일 만에 열린 두 번째 기자회견이자 2022년 11월 출근길문답 중단 뒤 18개월 만이다.

 

윤 대통령은 “언론과 소통을 더 자주 갖겠다, 정부 정책을 국민에게 설명 드리고 소통하는 것이 많이 부족했다”며 ‘소통’을 강조했지만, 내용은 ‘불통회견’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자회자찬, 책임회피, 일방주장으로 가득했다. 특히 90분 넘는 기자회견에서 윤석열 정부의 무자비한 언론탄압에 대한 유감은커녕 단 한 마디의 언급조차 없었다.

 

언론통제를 넘어 해체 수준에 이른 KBS·MBC·YTN·EBS·TBS 등 공영방송 파괴, 방송통신위원회와 방송통신심의위원회를 앞세운 비판언론 탄압, 황상무 전 시민사회수석의 ‘회칼테러 협박’ 등 시대착오적 언론장악 행태가 계속되며 민주주의를 유린하고 있다. 국경없는 기자회가 발표하는 세계 언론자유지수에서 한국은 윤석열 정부 출범 직전 43위였다가 올해 62위로 추락했다.

 

윤 대통령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회담에서 “언론을 장악할 방법은 잘 알고 있지만 그럴 생각이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언론말살에 가까운 언론탄압은 도를 더하고 있다. 그런데 정작 당사자인 기자들의 질문은 하나도 나오지 않았다는 현실이 더 절망적이다. 언론은 역대 대통령 기자회견에서 정권에 따라 자세가 달랐다. 보수정권에 소극적으로 질문하고, 때론 ‘공손’하던 기자들의 태도는 이번에도 크게 변하지 않았다. 탄압받는 언론과 언론인 스스로가 자신들의 입을 틀어막는 정권에 묻지도 따지지도 않는다면, 언론자유를 지켜내는 길은 요원할 수밖에 없다.

 

정부·여당의 실정에 분노한 민심은 제22대 총선에서 ‘정권심판론’에 불을 붙였고, 여당참패로 이어졌다. 여기엔 무도한 언론탄압과 언론·표현의 자유 침해 상황도 크게 작용했다. 윤석열 대통령과 정부여당은 이제라도 총선에서 나타난 국민의 뜻을 겸허히 받아들여 언론탄압 폭주를 멈추고, 언론자유 보장을 약속하라. 그것이 국민이 바라는 진정한 소통이자 제대로 민심을 경청하는 첫 걸음이다.

 

2024년 5월 10일

 

(사)민주언론시민연합 (직인생략)

 

comment_20240510_028.hw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