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방송 모니터_
SBS‧종편4사‧조중동‧한국‧경제지, 이동관 청문회 검증도 전무
등록 2023.08.23 17:07
조회 187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의 국회 인사청문 경과보고서 채택이 불발됐습니다. 이동관 후보자의 적격성을 놓고 여야 평가가 엇갈리면서 보고서 송부 시한인 8월 21일을 넘겼기 때문입니다. 대다수 언론은 윤석열 대통령이 임명 강행 절차를 밟을 것으로 예측했는데요. 이동관 후보자는 이명박 정부 언론장악 주도 이력, 아들 학교폭력 무마 의혹, 재산형성 의혹, 배우자를 통한 부정 인사청탁 의혹 등 각종 의혹이 제기됐지만, 국회 인사청문회 이후에도 제대로 소명된 것은 없는 상황입니다.

 

민주언론시민연합은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 국회 인사청문회가 열린 8월 18일부터 20일까지 지상파3사와 종편4사, 6개 종합일간지와 2개 경제일간지를 대상으로 포털사이트 네이버에서 ‘이동관’으로 검색했을 때 나온 보도를 분석했습니다.

 

종편3사‧조중동‧한국‧경제지, 청문회 이후에도 보도량 적었다

이동관 후보자 관련 보도가 가장 많은 곳은 KBS(43건)입니다. 다음으로 MBC(41건), SBS(38건), 경향신문(36건), TV조선(16건)순입니다. 이동관 후보자 관련 보도의 15개 언론사 평균은 약 16건이지만, 지상파3사와 경향신문, TV조선을 제외한 나머지 언론의 보도량은 평균에 미치지 못했습니다. 조선일보는 2건으로 보도량이 가장 적습니다.

 

이동관 후보자는 지명 이후부터 불거진 각종 의혹에 “여러 가지 보도가 많이 나오던데 청문회 과정에서 소명하겠다”는 입장으로 일관했습니다. 소명되지 않은 의혹이 다수 존재하는 상황에서 인사청문회가 열렸습니다. 언론은 후보자에게 제기된 의혹은 무엇이고 후보자 답변과 제출자료가 의혹을 소명하는 데 충분한지 평가해서 보도해야 합니다. 그러나 JTBC, 채널A, MBN,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국일보, 매일경제, 한국경제는 청문회 이전은 물론 이후에도 보도량이 평균에 미치지 못했습니다. 후보자 적격성을 판단할 수 있도록 충분한 보도를 제공했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보도건수.jpg

 

‘여야 공방’ 치중한 청문회 보도, 질문조차 ‘학폭 공세’로 폄하

청문회를 시작으로 관련 보도 상당수는 청문회 이전보다 더욱 ‘여야 공방’에 치중했습니다. 이동관 후보자의 방송통신위원장 적격성을 놓고 여야가 ‘공방’을 벌인다거나 ‘격돌’한다는 등 부적절한 표현이 사용됐습니다. 매일경제 <국회, 오늘 이동관 청문회…‘언론장악‧학폭 의혹’ 격돌 전망>(8월 18일 이상현 기자), 동아일보 <이동관 인사청문회 ‘아들 학폭-방송장악 의혹’ 공방>(8월 18일 정성택 기자) 등이 그러합니다.

 

여야 공방에만 초점을 맞추다 보니, 인사청문회 중 나온 질문을 ‘정치 공세’로 깎아내린 경우도 있는데요. 한국경제 <이동관, 학폭 공세에 “아들에 10번 이상 물었는데 아니라고”>(8월 18일 신현보 기자)는 이동관 후보자 아들 학교폭력에 대한 질문을 ‘학폭 공세’라며 야당의 정치공세로 폄하했습니다.

 

모두 ‘여야 공방’에만 초점을 맞춘 것으로 후보자 검증과는 거리가 멉니다. 이런 청문회 보도는 후보자 적격성을 평가하는 데 도움을 주기는커녕 정치혐오와 피로감만 더할 뿐입니다.

 

한겨레‧경향‧MBC‧KBS만 검증‧비판보도

언론사별로 이동관 후보자 관련 전체보도 중 후보자를 검증하거나 후보자 잘못을 비판하는 보도가 얼마나 되는지 비율을 살펴봤습니다. 한겨레가 55.6%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경향신문(38.9%), MBC(24.4%), KBS(18.6%)순입니다. 15개 언론사 전체 평균도 청문회 이전 12.6%에서 청문회 이후 15.4%로 더 높아졌습니다.

 

그러나 한겨레, 경향신문, MBC, KBS를 제외한 나머지 언론에서는 이동관 후보자 검증 및 비판 보도를 찾아볼 수 없습니다. 이런 결과는 7월 28일 이동관 후보자 지명 이후부터 인사청문회를 앞둔 8월 17일까지의 보도 분석결과와 다르지 않습니다. 후보자 검증‧비판 보도의 전체 평균이 높아졌지만 이들 언론은 여전히 검증보도를 하지 않은 것입니다.

 

검증 비판 보도.jpg

 

검증보도 폄하하고, 왜곡된 언론관 비판도 안 해

청문회 당일 이동관 후보자는 언론의 검증보도에 대해 “흠집 내기에 주력하고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에 KBS와 MBC는 언론의 후보자 검증보도를 문제 삼은 이동관 후보자의 태도를 비판했습니다. KBS <검증 보도에 “흠집 내기” 여당 엄호엔 “감사”>(8월 18일 고은희 기자)는 “(이동관 후보자가) 언론의 검증 보도를 구체적으로 반박하는 대신 ‘흠집 내기’라고 매도”했다고 지적했습니다. MBC <“공영방송 교정해야”‥“점심 먹으며 생각”>(8월 18일 신준명 기자)도 “(이동관 후보자가) 자신을 향한 언론의 검증 보도에는 ‘흠집내기’라며 깎아내렸다”고 비판했습니다. 그러나 일부 언론은 이동관 후보자 발언을 단순 전달하며 아무런 비판도 하지 않았습니다.

 

MBC, 경향신문, 한겨레는 이동관 후보자 답변에서 나타난 왜곡된 언론관도 지적했습니다. MBC <기사 삭제‧수정 요청‥“이 정도는 기본 직무”>(8월 18일 김건휘 기자)는 “이명박 정부 시절 이 후보자가 언론에 부당하게 개입했다”는 질의에 “이 후보자는 그 정도는 ‘기본 직무’라고 답했고, 자신은 ‘스핀닥터’의 역할을 한 거라면서 아무 문제없다는 취지로 일관”했다고 전했습니다.

 

경향신문 <이동관 후보자가 말하는 가짜뉴스, ‘정권에 불리한 뉴스?’>(8월 18일 김기범 기자)는 “이 후보자가 청문회를 앞두고 국회에 제출한 서면 답변서에서 꼽은 가짜뉴스 사례는 모두 정부와 여당에 비판적인 내용들이라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며 “정권에 불리한 뉴스를 가짜뉴스로 규정해 비판적인 언론들을 압박하려는 신호탄이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된다고 전했습니다. 한겨레 <이동관 “격려전화 하시라, 대통령 바꿔드려” 친정부 언론인 관리 시인>(8월 18일 최성진 기자) 역시 이동관 후보자가 ‘VIP 전화격려 대상 언론인’ 문건 실행을 시인하며 “친정부 언론인 관리를 시인”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청문회 실시간 중계로 이동관 입장 보도 증가

언론사별로 이동관 후보자 관련 전체보도 중 후보자 입장을 전달하거나 옹호한 보도가 얼마나 되는지 살펴봤습니다. SBS, 채널A, 중앙일보, 한국일보를 제외하고는 청문회 이전보다 후보자 입장을 전달하거나 옹호하는 보도가 크게 늘어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매일경제가 71.4%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조선일보‧한국경제(각 50.0%), 동아일보(40.0%), MBN(37.5%), TV조선‧경향신문‧한국일보(각 25.0%) 등의 순서입니다.

 

입장 전달, 옹호 보도.jpg

 

특히 매일경제를 비롯한 8개 언론사의 후보자 입장 위주 보도비율은 15개 언론사 전체 평균 21.2%를 훨씬 웃돌았는데요. TV조선, MBN, 동아일보, 조선일보, 한국일보, 매일경제, 한국경제는 청문회 이전 이동관 후보자 검증보도를 전혀 하지 않은 언론이기도 합니다.

 

MBC, JTBC, 한겨레는 전체 평균에 미치지는 못하지만, 후보자 입장을 전달하는 보도가 청문회 이전보다 늘었습니다. 청문회 이전 후보자 입장 위주 보도 비율이 평균을 밑돌던 경향신문(2.1%), KBS(5.6%)도 청문회 이후에는 각 25.0%와 20.9%로 증가했습니다. 청문회에서 나온 후보자 답변을 실시간으로 전하는 속보성 기사가 늘어난 탓인데요.

 

앞서 말했듯 언론은 후보자에게 제기된 의혹은 무엇이고 후보자 답변과 제출자료가 의혹을 소명하는 데 충분한지 평가해서 보도해야 합니다. 후보자 답변을 빠르게 보도하는 것만으로는 후보자를 검증하고 적격성을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매일경제 “서둘러 이동관 임명해 공영방송 국민 품으로”

매일경제는 이동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나온 각종 의혹 관련 질의응답을 아예 전하지 않았습니다. 청문회 이전 <국회, 오늘 이동관 청문회…‘언론장악‧학폭 의혹’ 격돌 전망>(8월 18일 이상현 기자)에서 이동관 후보자 의혹을 두고 여야가 ‘격돌’을 벌일 것이라 전망하면서도 정작 관련 소식은 전하지 않은 것입니다. 그러더니 청문회를 놓고는 <이동관 “포털 신뢰성·투명성 제고…스스로 사회적 책임 다해야”>(8월 18일 김혜진 기자), <“공영방송, 밑 빠진 독 물붓기…공정해져야 지원”>(8월 18일 이호준‧위지혜‧정호준 기자), <“포털 가짜뉴스 막겠다”>(8월 18일 정호준 기자) 등으로 이동관 후보자가 방송통신위원장이 되면 선보일 청사진을 전하는 데만 집중했습니다.

 

<사설/이동관은 무조건 안된다는 민주당, 속내는 뭔가>(8월 18일)에서는 이동관 후보자를 두둔하고 옹호했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이 18일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에서 자녀 학교폭력과 언론 장악 의혹 등을 문제 삼으며 공세”를 펼쳤지만 “그동안 드러난 사실로 미뤄 이 후보자가 방통위원장을 맡지 못할 만큼 흠결이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단언했습니다.

 

MBC <단독/하나고 상담 교사 “학폭에 너무 힘들어 했다”>(8월 16일 지윤수 기자) 등을 통해 이동관 후보자 아들 학교폭력이 제대로 해결되지 못한 정황이 드러나고 있지만, 매일경제는 “자녀 학폭 논란은 이 후보자 아들이 피해자와 화해해 일단락된 상태”라고 단정 지었습니다. 이동관 후보자의 언론장악 이력은 비단 ‘국정원 문건’에만 그치는 것이 아님에도 “김규현 국정원장도 17일 국회에서 ‘이 후보자와 관련된 국정원 문건을 본 적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며 신빙성이 떨어진다고 깎아내렸습니다.

 

또한 “언론의 자유와 독립을 훼손하고 언론 장악에 앞장선 것은 민주당과 문재인 정권”이라며 “공영방송이 특정 정치세력에 휘둘려 정파적 보도를 일삼는 것은 민주주의를 흔드는 무책임의 극치이자 국민의 대한 배신”이므로 “이 후보자 임명을 서둘러 더 늦기 전에 공영방송을 국민의 품으로 돌려줘야 한다”며 이동관 후보자 임명을 강하게 주장했습니다. 이동관 후보자의 언론장악 이력과 아들 학교폭력 의혹과 관련해 드러난 사실을 외면하고, 매일경제가 선택한 사실만 골라 전하며 ‘이동관 후보자 임명’ 입장만 대변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동관, YTN 추가 형사고소와 5억 손배소

YTN <단독/“이력서 받아” vs “기억 없어”…이동관 해명 오락가락>(7월 30일 황윤태 기자)을 통해 부인이 인사청탁 받은 정황이 보도되자 이동관 후보자는 ‘사실 무근’이라며 YTN에 유감을 표명하고, “법적 대응 등 가용한 조치를 강구할 예정”이라고 밝힌 데 이어 8월 20일에는 YTN 임직원을 형사고소하고 5억 원의 손해배상청구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언론의 검증보도에 대한 이동관 후보자의 법적 대응은 처음이 아닙니다. 8월 10일, YTN이 분당 서현역에서 차량 돌진 및 흉기 난동을 일으킨 최원종 관련 보도를 전하는 배경화면에 이동관 후보자 사진을 10초가량 게재하자, 8월 16일 이동관 후보자는 YTN 임직원을 형사고소하고 3억 원의 손해배상청구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당시 경향신문은 “언론중재위원회 등 구제 절차를 거치지 않고 바로 민‧형사 소송을 제기”하는 것은 “언론에 위축 효과를 줄 수” 있으며 “(언론에 대한) 압박으로 볼 수 있다”고 지적한 바 있습니다.

 

이번에도 경향신문 <‘의심·검증하라’던 이동관 “YTN, 사회적 흉기” 손배·형사 고소>(8월 20일 강한들 기자)는 이동관 후보자가 기자들에게 “언론 영역은 검증하고 의심하고 확인해서 최대한의 객관적인 공정한 진실을 전달하는 게 언론 본연의 역할”이라며 “내가 이야기하는 것도 의심하고 검증하라”고 말했다고 전했는데요. 언론 본연의 역할을 강조한 이동관 후보자가 검증보도에 법적 대응으로 일관하고 있는 것을 우회적으로 비판한 것입니다.

 

* 모니터 대상 : 2023년 8월 18일~20일 포털사이트 네이버에서 ‘이동관’으로 검색했을 때 나온 KBS, MBC, SBS, JTBC, TV조선, 채널A, MBN, 경향신문,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한국일보, 매일경제, 한국경제 보도 전체

 

<끝>

 

monitor_20230823_085.hw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