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포커스(~2023)_

‘진보언론’이라면 팩트 뒤에 숨어있는 진실을 드러내야

진보언론에는 적폐가 없나?
등록 2017.03.30 14:42
조회 2538

촛불혁명의 민심은 적폐청산으로 새로운 시대를 열라는 것이다. 정치는 이 역사적 과제를 온전히 짊어지고 있다. 정치가 미덥지 않은 사람들은 갖가지 의견을 내고 있지만 결국은 정치인과 정당이 해결해야 한다. 그것이 대의민주주의의 숙명이다. 그러나 그것뿐일까? 아니다. 언론의 역할도 못지않게 중요하다. 특히 진보의 타이틀이 붙은 언론의 역할은 막중하다. 그런 의미에서 진보언론의 대표 격인 한겨레신문을 살펴보기로 한다. ‘진보’언론에 대한 정의는 생략한다.

 

뉴스가 되는 팩트, 언론은 ‘진실’을 확인해야

 

2월 22일 자 <‘선비형’ 문재인, ‘지사형’ 안희정, ‘투사형’ 이재명…민주당 주자들 3색 화법>이란 제목의 기사를 보자. “전문가가 본 민주당 주자들 3색 화법”이라는 설명과 함께 “문재인 ‘모호함’, 안희정 ‘추상성’, 이재명 ‘불안감’ 극복과제”라는 부제를 달았다. 융합의 시대에 전문가의 진단은 역시 공허하다. 전문가라는 게 거의 점술가 수준이다.

 

102호-언론포커스_01_web.jpg

 

하나만 예를 들어보자. 한성안 영산대 교수(경제학)는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문 전 대표를 가리켜 “겸손한 성품과 따뜻한 인성을 갖춘 사람”이라면서도 “(언론 인터뷰를 보면) 유연성이 전혀 없다. ‘지성’이 부족하다. 다른 말로 하면 실력이 없다.”고 평했다고 한다. 무슨 기준으로 이런 평가를 했을까? 무슨 언론인지 모르겠으나 언론 인터뷰를 근거로 자신의 판단을 공개한다는 것도 무모하다. 어쨌건 전문가라고 하는 사람의 평가는 팩트로서 일단 뉴스로서의 가치를 부여하는 경향이 있다. 가치부여의 주체는 기자다. 그러니 기사의 책임은 전문가가 아닌 기자의 몫이다. 

 

언론의 사명은 사실의 전달과 더불어 그 사실에 대한 확인에 있다. 예를 들어 박근혜가 정초에 기자들과의 다과회에서 “모든 것이 엮은 것”이라고 했을 때, 그 말은 팩트로서 뉴스가치가 있지만 그 말의 진실에 대한 확인을 해야 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객관보도가 곧 진실보도

 

뉴스는 객관적이어야 한다고 한다. 기자의 주관이 개입되어서는 안 된다는 의미다. 대다수의 언론학자들은 게이트키핑 운운하며 객관적인 저널리즘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천만의 말씀이다. 객관적인 보도는 부정하면서 진실보도는 강조한다. 앞뒤가 안 맞는다. 진실은 객관의 영역에 있지 주관의 영역에 있지 않다. 객관보도가 곧 진실보도다. 객관적 실재를 확인해 보도하는 것이 기자가 해야 할 일이다. 

 

한성안 교수의 평가는 주관적이다. 그럴 수 있다. 그러나 기자가 그런 주관적 평가를 옮길 때는 객관적이어야 한다. 이 기사를 객관적이라고 할 수 있을까? 기자가 주관적으로 하고 싶은 말을 전문가라는 사람의 말을 빌린 것은 아닐까? 한겨레신문의 정치기사에는 이런 사례들이 비일비재하다. 하나 더 보자.

 

3월 16일자 기사 <3당 원내대표 ‘반문’ 개헌 기습합의…반나절 만에 물거품>을 보자. 궁지에 몰린 구여권(정우택·주호영)에 국민의당(주승용)이 가세해 “대선때 개헌 투표”하기로 합의했다는 내용의 기사다. “개헌필요성 상존·문재인 태도 모호, 일단 불발됐지만 다시 떠오를수도”라는 부제를 달아놓았다. 이 부제는 그 흔한 인용표시도 없다. 관련내용을 보자.

 

102호-언론포커스-02_web.jpg

 

차기 집권 가능성이 높은 문재인 전 민주당 대표의 개헌에 대한 태도 역시 변수다. 민주당의 또다른 개헌파 다선의원은 “문 전 대표가 ‘2018년 개헌안 국민투표’를 약속했지만, 개헌세력 내부에는 문 전 대표가 집권 뒤 약속을 지킬 것인지에 대해 의구심이 상당하다”며 “개헌을 고리로 ‘반문재인 연대’가 형성되는 것을 막으려면 문 전 대표 스스로 개헌 의지가 확고하다는 점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고 했다.  

 

한겨레신문은 개헌파 의원들의 대변지인가? 이 기사도 팩트 전달에 머물러있다. ‘정론(正論)’을 표방하는 ‘진보언론’이라면 팩트 뒤에 숨어있는 진실을 드러내 주어야 한다. 3당 원내대표들의 의도는 명약관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겨레신문은 진실의 확인은 제쳐두고 주관적인 편협함으로 입맛에 맞는 팩트의 선택과 전달에 열심이다. 다음 정부가 적폐청산을 차질 없이 추진하고 새 정치에 대한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는 개헌을 하기 위해서는 진보언론의 역할이 막중하다. 그러나 이런 태도는 촛불민심과는 거리가 멀다. 

 

촛불민심은 자유민주주의의 완성을 지향한다. 자유민주주의의 완성이란 지배계급을 위한 자유주의에 대한 민중의 민주화 요구를 반영하는 것이다. 촛불혁명은 그 과정이다. 부패한 나눠먹기식 계파정치와 대기업집단, 관료들은 민주화의 장애물이다. 언론의 역할이 중요한 곳은 바로 여기다. 한겨레신문은 이 맥락을 이해하면서 역사적 사명에 충실한가? 계파정치와 한패는 아닌가? 기자도 정치에 대해 주관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기사는 주관을 배제하고 객관적으로 써야 한다. 각성을 촉구한다.

 

김동민(단국대 커뮤니케이션학부 외래교수)

 

*언론포커스는? 언론포커스는 고정 언론칼럼으로 매주 회원들을 찾아갑니다. 언론계 이슈를 다루면서 현실진단과 더불어 언론 정책의 방향을 제시할 것입니다. 각자 자신의 영역에서 열정적으로 활동하면서도 한국사회의 언론민주화를 위한 민언련 활동에 품을 내주신 분들이 '언론포커스' 필진으로 나섰습니다. 앞으로 고승우(민언련 이사장), 김동민(단국대 외래교수), 김서중(성공회대 교수), 김은규(우석대 교수), 김평호(단국대 교수), 박석운(민언련 공동대표), 박태순(언론소비자주권행동 공동대표), 신태섭(동의대 교수), 안성일(MBC 전 논설위원), 이용성(한서대 교수), 이완기(민언련 상임대표), 이정환(미디어오늘 사장), 정연구(한림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정연우(세명대 교수), 최진봉(성공회대 교수)의 글로 여러분과 소통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