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평_
[논평] MBC 사측의 노조 전임자 전원 업무복귀 명령에 대한 논평(2015.12.22)
MBC, 저열한 노조파괴 공작 중단하라
MBC 경영진이 타임오프(노조전임자 근로시간면제) 종료를 일방적으로 선언하는 등 노조 탄압 차원을 넘어 노조 파괴공작을 본격화 하고 있다. MBC 경영진은 지난 14일 전국언론노동조합 MBC 본부(이하 MBC본부) 조능희 본부장을 비롯한 5명의 노조 전임자들에게 21일 자로 업무복귀 명령을 내렸다.
MBC 경영진은 2013년 김종국 사장 시기에 합의한 2년(연 1만 시간)의 타임오프 기간이 경과돼 MBC 본부가 교섭대표 자격을 상실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임금협상 중 전임자 전원에 대한 업무복귀 명령은 협상 자체를 파탄 내겠다는 것이나 다름 아니며, 노조를 대화상대로 인정하지 않겠다는 저열하고 추악한 의도를 드러낸 것이다.
MBC 경영진이 타임오프 종료에 맞춰 치밀하게 기획했다는 정황도 곳곳에서 드러난다. 경영진이 올해에만 무려 5명의 노무사를 채용했음에도 또 채용공고를 냈다는 점에서 모종의 노조파괴 공작을 모의해 왔다고 짐작할 수 있다. 아니나 다를까 노조는 11월부터 임금협상을 요구했지만 사측은 차일피일 미루더니 12월 초 임금협상 개시 이후에는 17개 지역 방송사까지 포함한 ‘공통협상’을 깨고, 각 지역사별 ‘개별협상’을 주장하면서 논의를 공전시켰다. 전형적인 시간끌기로 허송세월하더니 타임오프 종료에 맞춰 갑작스레 노조 전임자 전원에 대한 업무복귀 명령을 내려 협상력을 무력화시킨 것이다. MBC 경영진은 타임오프 취소를 임금협상 타결까지만 유예해 달라거나 협상이라도 하자는 MBC 본부의 요구마저 일축했다. 심지어 경영진은 협상준비는 이틀이면 충분하다며 “협상 당일과 전날만 업무에서 제외해 주겠다”는 궤변을 늘어놓았다. 이는MBC 구성원들의 업무환경을 좌우할 중차대한 임금 협상 대표들의 논의할 시간을 줄여 자신들에게 유리한 상황을 만들겠다는 속셈이 빤히 보이는 수작이다. 또 MBC 경영진은 MBC 내 복수노조와의 전임자 배분이라는 명분을 내세우면서 타임오프를 단협에서 논의하자고 했다. 하지만 MBC는 3년 째 무단협 상태로 언제 타결될지 모르는 단협을 핑계로 노조 집행부를 기약 없는 공백상태로 몰아갔다.
한편 MBC 경영진이 들고 나온 지역사별 ‘개별협상’도 20년간 유지해 온 공동교섭을 거부하겠다는 것으로, 단일노조 전통을 유지해 온 MBC 본부의 해체 수순을 밟겠다는 의도가 읽힌다. 이런 꿍꿍이가 아니라면 갑자기 그동안 유지해왔던 공동교섭을 깨고 나올 하등의 이유가 없다. 이는 임금협상 중인 지난 10일, MBC 본사가 긴급히 17개 지역사 전국경영국장 회의를 소집한 직후 ‘본사와 교섭하지 말고 자신들과 교섭하자’는 내용의 지역사 명의 공문이 지역노조에 전달된 것과 맥을 같이 한다.
국민의 알권리를 보장했던 공영방송 MBC는 MB 정부 이후 정권의 눈엣가시가 되었고, 이명박, 박근혜 정권은 방문진 이사장과 MBC 사장 등을 통해 꾸준하게 사측의 노조와해 공작을 펼쳐왔다. 특히 2012년 170일에 달하는 파업 투쟁 이후 MBC 본부 고사작전을 처절하게 추진해왔음은 국민 모두가 안다.
그러나 박근혜 정권과 MBC 경영진은 25년여에 이르는 MBC 본부의 방송민주화투쟁의 역사가 그리 호락호락하지는 않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 2012년 파업 이후 갖은 탄압에도 불구하고, MBC 본부의 조합원 수는 그대로 유지되었다. 21일 MBC 본부는 28년 노조 역사상 초유의 전임자 업무복귀 사태에 맞서 해고자들까지 합류한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했다. 우리는 MBC의 공정성과 공영성을 지켜 낼 MBC 본부의 견결한 투쟁을 응원하며 사측의 저열한 노조파괴 공작에 맞서 끝까지 연대할 것이다. 그것이 정권에 빼앗긴 국민의 방송 MBC를 국민의 품으로 가져올 수 있는 일임을 분명히 알고 있기 때문이다. <끝>
2015년 12월 22일
(사)민주언론시민연합